DOI QR코드

DOI QR Code

건축문화유산 보존과 관련된 전통기술 논의 고찰 - 숭례문 복구에 있어서의 전통기술 적용 논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bate on traditional technique for Architectural Heritage conservation - Focusing on the dispute over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technique for the restoration of the Sungnyemun gate -

  • 강현 (국립문화재연구소 건축문화재연구실)
  • Kang, Hyun (Architectural Research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투고 : 2014.09.17
  • 발행 : 2014.09.30

초록

최근 2008년 화재로 소실되었다가 복구된 숭례문(崇禮門)의 단청 문제가 제기되면서 문화재 보존에 있어서의 전통기술 적용 문제가 논쟁거리가 되었다. 본고에서는 문화재 보존에 있어서의 전통기술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전통기술에 대한 이해는 기본적으로 '전통'에 대한 관념에 기초하고 있다. 전통은 '고정불변하는 존재'가 아니라 '계승 발전하는 존재'로 보아 '살아있는 존재'로 규정되며, 그에 따라 '무형문화재로서의 전통연행, 전통공예 등'은 '고정된 실체를 가지고 있지 않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문화재 보존의 기본원칙인 '원형 보존'에서 '원형'이라는 것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규정하기 어려운 존재로 보고 있다. 한국의 경우 이렇게 원형을 규정하기 어려운 '무형문화재로서의 전통기술'이 유형문화재의 보존현장에 적용될 때 그 개념이 명확히 하지 않음으로 인해 보존 현장에서 여러가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전통기술'의 적용범위와 한계에 대한 논의 없이 현장에 적용되기 때문이다. 즉 '전통재료'를 사용하여 '전통기술'로 수복을 하는 것이 허용되는 것은 어디까지이며 문화재의 보존에서 이것이 어떠한 의미를 갖는가에 대한 논의가 결여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전통기술의 적응문제를 국제적인 보존원칙 변화 과정의 검토와 함께 고찰해 보았다. 이러한 고찰 결과 '무형문화재로서의 전통기술'의 보존도 중요하지만 '유형문화재에 남아 있는 기술', 더 나아가 '제작 당시의 기술을 담고 있는 원래의 재료 보존'이 더욱 중요한 문제라는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Since the recent restoration of the Sungnyemun gate (South gate of Seoul) which was burnt down in 2008, there were dispute about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technique for the con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In this research, the definition of traditional technique for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is thought and mentioned. In general, the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technique is based on the idea of 'tradition'. Tradition is not defined as a 'eternal doctrine existence', but a 'development of succession' and a 'living existence'. Thus 'traditional performance and craft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defined as 'intangible' which also makes it difficult to define the 'original form/state' from 'the conservation of the original form' which is a major principle of cultural heritage. In case of Korea, if the 'traditional technique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put into application to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the unclear definition will cause many problems in the restoration/conservation site. This is because the site will apply this technique without any discussion of the range and limitation of 'traditional technique'. This means there will be the lack of discussion for the conservation of the cultural heritage which will not have a strict criteria for the allowable range of usage for the 'traditional material' using the vaguely defined 'traditional technique'. In this study, these application issues of the traditional technique were also considerecl, comparing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wnservation principles. As a result, the conservation of 'traditional technique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important, but the 'technique left inside the tangible cultural heritage' which is the 'material which is carrying the technique when it was firstly built' has more importance to preserve and need to be in the major consideration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