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Bronze Ceremonial Vessels of Xiaoheishigou Stone Cist Tomb 8501 seen through Comparison with the Chinese Zhongyuan Region

중국 중원 지역과의 비교를 통하여 본 소흑석구 8501호 석곽묘의 청동예기

  • Received : 2014.04.07
  • Accepted : 2014.08.08
  • Published : 2014.09.30

Abstract

The large stone cist tomb 8501 of Lingcheng prefecture Xiaoheishigou, according to Chinese chronology, was built during the late Western Zhou period. However in this tomb not only Chinese Zhongyuan style bronze ceremonial vessels but also indigenous style bronze ceremonial vessels and instruments and hybrid bronze ceremonial vessels with a mixture of both indigenous and Chinese styles were excavated in large numbers. The bronze ceremonial vessel assemblage of Xiaoheishigou, in comparison with the decorum regulations and bronze cauldron and coffer system of the Chinese Zhongyuan region of the same time period, belong to that of the lowest status category. However, in contrast to the lowest class category tombs of the Chinese Zhongyuan region, in this tomb, with the exception of cauldrons and coffers, the remaining food and wine vessels of the assemblage match the standard of emperors and feudal rulers of vassal states. This is reinforced by the burial of musical instruments. Of the bronze ceremonial vessels of Xiaoheishigou large stone cist tomb 8501, the indigenous and hybrid styles, in consideration of manufacture technology seem to have been manufactured locally. However, the form, pattern and also the standards of the Western Zhou style bronze ceremonial vessels are identical to those of the Chinese Zhongyuan region and therefore it is clear that they were manufactured in Western Zhou. The reason for these precious ceremonial vessels which were manufactured and used in the many individual vassal states of the Chinese Zhongyuan region being buried in Xiaoheishigou, seems to have been the result of economic exchange and friendly political relations between the Xiaoheishigou and other groups rather than these vessels having been plundered by the Xiaoheishigou group. A distinct cultural sphere existed between the Upper Xiajiadian culture and Western Zhou which interacted frequently with both sides.

영성현(寧城縣) 소흑석구(小黑石溝) 8501호 대형 석곽묘는 중국의 시기 구분으로 서주 후기에 조성된 무덤이다. 그런데 이 무덤에는 중국 중원식 청동예기는 물론 토착식 청동예악기와 토착식과 중원식이 혼합되어 있는 혼합식 청동예기가 다량으로 출토되었다. 소흑석구의 청동예기 조합은 같은 시기 중국 중원 지역의 예제와 정궤제(鼎?制)에 대비하여 볼 때 가장 낮은 신분인 사급(士級) 특일정(特一鼎)에 속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 중원 지역의 사급 고분들과는 달리 정(鼎)과 궤(?)를 제외한 다른 식기와 주기의 조합에서는 천자와 제후국(공국, 후국) 국군의 수준에 필적한다. 이러한 점은 악기가 부장되어 있는 것을 통해서도 드러난다. 소흑석구 8501호 대형 석곽묘의 청동예기 가운데 토착식과 혼합식은 현지의 금속기 제작 기술을 고려할 때 자체 제작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서주식 청동예기는 형태와 문양은 물론 규격까지 중국 중원 지역과 동일하여 서주에서 제작된 것임이 분명하다. 중국 중원 지역의 여러 제후국에서 제작하여 사용되던 해당 제후국의 보기(寶器)가 소흑석구에 부장된 배경은 하가점상층문화와 서주 사이에 양측과 빈번하게 교류하던 별개의 문화권이 형성되어 있었던 점 등을 고려할 때, 소흑석구 집단에 의한 약탈이라기 보다는 소흑석구 집단과 이들 집단 간의 경제적인 교역과 정치문화적인 상호 관계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