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Latter Baekje Dynasty Royal Tombs and Boundary of the Royal Tomb

백제 후기 능묘와 능원의 특성

  • Received : 2014.02.28
  • Accepted : 2014.05.14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The royal tombs of Baekje(백제), after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the Geumgang(riv)(금강) basin, changed to Songsanri(송산리) style(stone chamber) ${\rightarrow}$ Southern dynastic(남조) style(brick chamber) ${\rightarrow}$ Neungsanri(능산리) style(stone chamber). The most special feature of this process is the change of the ceiling structure. The ceiling had been changed from dome(Songsanri style) ${\rightarrow}$ tunnel ceiling(transition period of brick tombs and Neungsanri style) ${\rightarrow}$ a roof style(is Neungsanri style of three imitate type, trapezoid, triangle, flattened ceiling). The most special feature among this process is Neungsanri style(stone chamber), created especially in Baekje. The royal tombs of Baekje didn't lay stress on the mound, so the mound is not noticeable. It is result that they more stressed on basin of the boundary than showed off individual tomb, and this is count as an element of China Southern dynasty. Boundary of the royal tomb of Baekje, after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south, were changed from royal family's boundary to single independent's. Those are Songsanri's and Neungsanri's, these are the pair tombs(쌍릉) of Iksan(익산). That is influence of the Southern dynasty, reflect the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completely, this is influence of the China Sui(수) and the early Tang(당) dynasty's system of boundary of the royal tomb. Besides the royal tomb, they also buried a closely related person, in the boundary of the royal tomb. And facilities for memorial ceremony were existed too. An altar was equipped in Songsanri's boundary of the royal tomb, it was seen a kind of character of a sanctuary for progenitor. Neungsanri's boundary of the royal tomb were equipped with an open-aired altar that performed memorial ceremony about communal royal tombs, and also equipped a temple, was needed to pray for the happiness of the dead. This structure and arrangement are very similar to Seoakdong(서악동) of Silla(신라).

백제의 능묘는 금강유역으로 천도 후 송산리식의 횡혈식석실묘 ${\rightarrow}$ 남조식의 전실묘 ${\rightarrow}$ 능산리식의 횡혈식석실묘로 변천하였다. 이 변화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이 천장 구조의 변화이다. 천장은 궁륭천장(송산리식) ${\rightarrow}$ 터널천장(전실묘와 능산리식 과도기) ${\rightarrow}$ 집지붕천장(능산리식으로 제형, 삼각형, 평천장 세 아류의 형식)으로 변천했다. 이러한 변천과정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은 능산리식 횡혈식석실로 이는 백제에서 창출된 특수한 형식이다. 백제의 능묘는 봉분을 중시하지 않아 현저하지 않았다. 이는 개별 능묘를 과시하여 표지하고자 하는 의도보다는 능원의 영역을 중시하는 가족공동체적인 성격이 강화된 것이고 남조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백제의 능원은 백제가 남천한 후 왕가의 능원에서 단독의 독립능원으로 변천한다. 전자는 송산리와 능산리의 능원이고, 후자는 익산의 쌍릉이다. 전자는 완벽한 풍수지리와 함께 남조의 영향으로 볼 수 있고, 후자는 중국이 재통일된 수와 당초의 능원제 영향이다. 왕가의 능원에는 왕릉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그와 관련된 인물을 배장하였다. 그리고 능원에는 제의시설이 존재했다. 송산리 능원에는 제단이 설치되어 있었는데, 이는 시조묘적인 성격도 가지고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 능산리 능원에는 공동의 능묘에 대해 제의를 시행할 수 있는 노천의 제의 공간이 마련되었고, 이 제의를 담당하면서 선왕에 대한 명복을 빌기 위한 능사가 설치되었다. 이러한 배치나 구조는 신라의 서악동 능원과 아주 유사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