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석가금진료연구소 양계 질병 동향 - "이것 한번 생각해 봅시다"

  • 발행 : 2014.02.01

초록

키워드

1. 백신접종용역팀

농장의 크기가 소규모였던 과거에는 농가 가족 단위 인력위주로 백신 접종이 이루어 졌다. 그러나 농장이 현대화, 대규모화됨에 따라 가족 단위 인력으로 백신 접종을 하기에는 불가능해 졌다. 그로인해 백신접종을 전문으로 하는 백신접종 용역팀이 생겨났고 농장들은 백신접종을 외부 용역팀에게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 백신접종 용역팀의 차단방역관리 미흡에 의한 질병 전파가 이루어질 위험성이 더욱 높아졌다. 백신접종 용역팀은 거의 매일 닭을 취급하고 한 농장에서만 백신접종을 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농장을 돌아다니며 백신접종을 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백신접종 용역팀은 농장 간, 지역 간 질병전파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백신접종을 하는데 있어 접종자의 미숙으로 인하여 백신접종이 제대로 되지 않아 백신접종으로 인한 면역이 잘 형성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이번 호에서는 백신접종 용역팀에 의해 질병이 전파된 사례와 올바르지 않은 접종으로 인하여 개체 면역상태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은 사례를 통하여 백신 용역팀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1) 백신접종 용역팀으로 인한 질병 전파

종계나 산란계는 육성과정에서 백신접종 용역팀에 의한 백신접종이 약 10회 전후로 이루어진다. 그러다보면 간혹 질병에 감염되었거나 감염중인 계군을 접할 경우도 생기게 되고 그럴 경우 병원체가 백신접종 용역자의 몸에 묻게 된다. 백신접종 용역팀이 한 농장에서만 백신접종을 한다면 큰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백신접종 용역팀은 농장에서 농장을 이동하며 백신접종을 하게 된다. 질병에 감염된 농장에서 작업을 하다가 질병이 없는 농장으로 이동하여 백신접종을 하면 질병이 없던 농장에 병원체를 옮기는 원인이 된다. 만일 병원체에 민감한 시기의 일령의 닭이나 면역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은 닭을 접종하게 되면 병원체가 옮겨가고 질병이 전파되는 것이다. 또한 백신 용역팀은 지역 간 이동이 잦기 때문에 한 지역에서 발병된 질병을 다른 지역으로 전파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림1>은 백신접종 용역팀으로 인하여 질병이 전파된 사례를 보여준다. 백신접종 당시 C농장은 마렉병(MD)에 감염되어 있는 상태였다. 백신접종 용역팀이 이틀 간 C농장에서 백신접종을 하였는데 둘째 날 작업이 예정보다 일찍 끝났다. 백신접종 용역팀에서는 남는 시간을 활용하여 S농장에 백신접종을 하기 위하여 이동을 하였다. 백신접종 용역팀은 적절한 소독 절차 없이 S농장에 출입하였고 마침 50일령 경의 어린 병아리에 백신 접종을 하였다. 그 결과 1개월 후 S농장에서도 마렉병이 발병하였다. C농장에서 옮겨온 병원체는 주사기, 사람 등의 매개체에 의해 S농장으로 이동하였고 그로인해 S농장에 병원체가 옮겨져 질병이 발생한 것이다.

<그림1> 백신접종 용역팀으로 인한 질병전파 사례

이 사례에서 만일 C농장에서 S농장으로 이동할 때 작업자 소독, 주사기, 신발, 장갑 등을 새것으로 교체하는 등의 적절한 절차가 이루어 졌더라면 S농장에 질병이 전파되지 않았을 수도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백신접종 용역팀이 농장에 들어오기 전에는 반드시 적절한 소독 절차가 이루어 진 후 백신 접종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백신접종 용역팀이 농장에 들어오기 전에 사람과 장비를 농장의 차량으로 이동시켜 장비에 대해 철저한 소독을 하고 용역팀의 사람들은 목욕탕에서 목욕을 시키고, 농장에서 지급한 의복을 착용하게 한 후 대인소독을 마치고 백신접종을 하게 한다면, 이 농장은 철저한 소독 절차를 통하여 다른 농장에서 옮겨올 수 있는 병원체의 침입을 원천봉쇄하여 백신접종 용역팀으로 인한 질병전파를 막을 수 있는 것이다. 농장에서는 백신접종 용역팀이 질병 전파에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농장에 출입하기 전에 충분한 소독 절차를 거쳐 농장에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2) 백신접종 균일도의 차이

백신접종 용역팀의 구성원을 살펴보면 대부분이 외국인 근로자인 경우가 많다. 외국인 근로자와 의사소통이 잘 안 되는 경우 올바른 백신접종 방법을 익히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올바른 백신접종이 되지 않으면 아무리 백신을 접종하더라도 개체의 면역상태를 제대로 형성하지 못하게 되어 개체에 대한 차단방역 수준을 끌어올릴 수 없게 된다. 또한 용역팀 내에서도 숙련자와 비 숙련자가 존재하며 비 숙련자는 백신접종의 속도가 숙련자에 비하여 낮을 수밖에 없다. 비 숙련자는 숙련자의 작업 속도를 따라가기 위하여 작업 속도를 높이다 보면 올바른 백신접종이 안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생기게 된다. 이 경우에도 백신접종을 하여도 닭의 올바른 면역상태가 형성되지 않는 상황 벌어지게 된다.

<도표1>은 본 연구소에서 저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후 각 접종자 별 저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 항체 역가 형성수준을 분석한 표이다. 접종자 ⓐ, ⓑ가 접종을 하였던 계군의 개체별 AI 항체 역가 수준은 채혈을 실시하여 항체가 검사를 해본 개체 모두에서 4~5정도로 골고루 항체가가 형성된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접종자 ⓐ, ⓑ는 백신접종을 올바른 방법으로 백신을 누락하지 않고 접종을 하여 항체 역가가 제대로 형성되었다는 뜻이다. 그러나 접종자 ⓒ가 접종한 개체의 항체 역가를 보면 10마리 개체 중 4마리에서 항체 역가가 형성되지 않았다. 접종자 ⓒ의 경우에는 백신에 의한 항체가 전혀 형성되지 않은 개체들이 있어 백신접종이 누락된 개체들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접종자 ⓓ의 경우에는 10마리의 개체 중 3마리의 항체 역가가 형성되지 않았으며 항체가 형성된 개체 중에서도 충분한 수준의 항체 역가가 형성되지 않은 개체들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는데 이는 백신접종이 누락된 개체도 있고 접종방법이 잘못되어 올바른 백신 접종이 되지 않은 경우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백신접종이 누락된 개체나 잘못된 백신접종으로 면역상태가 충분히 형성되지 않는 개체들의 존재함으로써 개체에 대한 차단방역이 완벽히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이런 경우 질병이 농장에 들어오게 되면 면역 형성이 되지 않은 개체에서 질병이 발생 하게 되는 것이다.

<도표1> 백신접종 용역팀의 백신접종 후 저병원성 인플루엔자 항체 역가 형성 분석 사례

3) 백신접종 용역팀 관리

현재 백신접종 용역팀은 축산업 관련자로 분류되어있지 않은 상태이다. 즉 정부차원의 백신접종 용역팀에 대한 방역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농장 간의 질병전파를 예방하고 올바른 백신접종이 이루어지도록 정부차원의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농장에서는 백신접종 용역팀이 질병전파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백신접종 용역팀의 차량, 인원에 대한 소독절차를 철저하게 지켜 농장의 차단방역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백신접종 용역팀의 올바른 백신 접종으로 닭 개체에 대한 차단방역이 성공할 수 있도록 접종자들에 대한 철저한 백신접종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