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Hyangcheong and Jakcheong's Official Duties and Personnel Practices of Anbyeon of Hamgyeong Province in the 19th century - Focusing on an article of 'a list of Hyangcheong and Jakcheong's officials' -

19세기(世紀) 함경도(咸鏡道) 안변(安邊)의 향청(鄕廳)·작청(作廳) 직임(職任)과 인사관행(人事慣行) - '향청·작청 직임 명단' 문서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14.01.30
  • Accepted : 2014.03.10
  • Published : 2014.03.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official duties and personnel practices of Hyangcheong(鄕廳),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n which sajok(士族) participate this office, and Jakcheong(作廳), hyangree(鄕吏)'s office, of Anbyeon of Hamgyeong Province in the 19th century. Although there have beeen somewhat of case study of Gyeongsang, Honam, etc., study on Hamgyeong Province has been almost nonexistent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materials. Hence, this paper specifically examined Hyangcheong and Jakcheong's official duties and personnel practices through an article of 'a list of Hyangcheong and Jakcheong's officials' of Anbyeon, newly found, which is in the possession of this writer. Especially, this study virtually traced individual ststus and family by analyzing Hyangcheong and Jakcheong's 40-official duties and a list of 330-ofiicial duties for sixs years. And then by comparing it against Jokbo(族譜), I have grasped 19-Famlily of them. Executives of Hyangcheong could be grasped as they were status of Yangban(兩班), but members of Jakcheong were hardly identified because they were status of hyangree, thus most of them were not enscrolled in Jokbo. Hyangcheong and Jakcheong's official duties could be found by compare it with other area in Ehubgi(邑誌) Hamgyeong Province. the features of officiak duties are as in the following. On gener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Sajok's Hayngcheong, Jakcheong as gener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nd Jangcheong(將廳) as police work existed. As Pyeongando and Hamgyeongdo were border areas, Jangcheong was independent and led other institutions. However, in Anbyeon, Hojang(戶長) of Hayngcheong and Jakcheong divided dudies and commanded. Hojang'role was higher than any other areas, Because Hojang is in charge of Jangcheong's functions. Jakcheong was centrally operated by Hojang, Eebang(吏房), and Hyeongbang(刑房), so-called 'Samgonghyeong(三公兄)', Whereas Anbyeon was operated by Hojang, Eebang, Chunchong(千摠). In the general areas, While Juasu(座首) Byeolgam(別監), Executive of Hyangcheong, manages each warehouse(倉) where the nation's tax revenues are kept, In Anbyeon besides Joasu, Hyangso(鄕所). The principle of Hyangcheong and Jakcheong's personnel practices was one-period, but there were many consecutive terms, every other year terms, or tranference into other area. Police work was assumed by specific persons because it was relatively specialized job, However in case of Ghamsaek(監色) of each warehouse(倉), Hyangso(鄕所) of Hyangcheong or Hojang of Jakcheong had held plural offices, and was solely responsible it. On the overall features of its operation, Hyangcheong held plural offices, but rotation was made only within Hyangcheong.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Jakcheong, Hojang, Eebang, and even Buriebang circulated their positions, but the other Hyangree rotated each Saek(色) and Guamguan of each warehouse(倉). This writer confirmed that unlike Gyeongsang and Hamgyeong, Hyangcheoung or duties of Hyangree were not hand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by several families and, many families shared their work by circulating positions.

이 연구에서 19세기 함경도 안변도호부의 부사 휘하 행정조직으로서 사족들이 참여하는 향청과 향리들의 작청조직의 직임과 인사관행을 분석하였다. 안변도호부의 신출(新出) '향청(鄕廳) 작청(作廳) 직임(職任) 명안(名案)' 문서를 통해 향청과 작청의 직임과 구성원의 역할, 인사관행 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실질적으로 이 연구에서 향청과 작청의 40개의 직임과 1848년부터 1853년 6년 동안 330여 명에 달하는 직임의 명단을 가지고 족보와 대조를 통해 개개인의 신분 및 가문을 추적하였다. 이들 성씨의 대동보(大同譜) 파보(派譜) 등을 무작위로 일일이 그 본관과 성명을 대조하여 그 중 19명의 가문을 파악할 수 있었다. 안변도호부의 향청 작청의 직임과 직역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지방행정 조직으로는 사족의 향청과 일반 행정 집행기관으로서의 작청(作廳)과 군사(軍事) 토포(討捕) 등의 업무로서의 장청(將廳)이 존재하는데, 안변에서는 장청의 기능을 향청의 감관과 작청의 호장이 분담하여 지휘하였다. 호장이 장청의 기능을 지휘함으로써 그 역할이 타 지역에 비해 높았다. 안변은 호장 이방 천총 중심의 운영으로 보여진다. 조세(租稅)수입을 보관하는 각창(各倉)은 일반적으로 향청 임원인 좌수(座首) 향소(鄕所)가 겸임하여 관리하는데 비해, 안변에서는 좌수 향소 이외에도 호장 이방 부이방 등이 겸직을 하기도 하고 역임 전후 겸임없이 각창(各倉) 감색(監色)을 단독으로 맡고 있다. 향청 작청 인사는 1주년(周年) 교체를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연임(連任)이 많으며, 격년(隔年)으로 맡거나, 다음 해에는 타 직임으로 전보(轉補)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6년 동안 330여 명의 직임을 171명이 맡은 데에서도 알 수 있다. 족보에서 찾은 19명을 중심으로 보면, 각 직임에 취임하는 나이는 좌수는 5-60대, 향소는 3-40대, 호장 육방들은 비교적 4-50대에, 각창의 색리들은 4-50대이고, 수통인은 20대에 직임을 맡는 것으로 파악된다. 군사(軍事) 토포(討捕) 등의 경찰 업무는 비교적 전문직으로서 자체 순환하여 맡고 있었다. 통상 상천(常賤)이 맡는 각 창의 색리는 감(監)과 색(色)으로 복수로 구성하여, 향청의 향소나 작청의 호장 육방이(六房吏)가 겸임하기도 하고 단독으로 맡기도 하여 신분에 구애 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된다. 인사운영의 전반적 특징은 향청 임원은 창감(倉監)을 겸임하기도 하지만 향청내에서만 순환하였다. 반면 작청의 상급 향리인 호장과 이방 직임은 서로 순환하여 맡을 수 있지만 특정 가문이라기보다는 신(申) 이(李) 박(朴) 3개 성씨만이 맡고 있다. 다른 향리들은 상하 구분없이 각색(各色)과 각창(各倉)의 감(監)과 색(色)을 겸임 또는 순환하여 맡고 있다. 경상 호남지역과 달리 향청이나 향리 직임을 몇몇 가문이 세전(世傳)하지 않고, 여러 성씨들이 직임을 돌려 가면서 직역을 분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