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aunsi(和韻詩) on the Poems of Tu Fu(杜甫) and Su Shi(蘇軾) Written by Simjae(深齋) Cho Geung-seop(曺兢燮) in the Turning Point of Modern Era

근대 전환기 심재 조긍섭의 두(杜)·소시(蘇詩) 화운시

  • Received : 2014.09.01
  • Accepted : 2014.09.26
  • Published : 2014.09.30

Abstract

This paper examined the poem world of Simjae(深齋) Cho Geung-seop(曺兢燮: 1873-1933) in the turning point of the modern era, focused on his Hwaunsi (和韻詩: Poems written by using the rhymes of other poets' poems). In his poems, there are lots of Hwaunsi on the poems of Tu Fu(杜甫) and Su Shi(蘇軾), especially. This makes him regarded as a medieval poet, engaged in Chinese poem creation in the most traditional method in the turbulent period. Looking at the Hawunsi(和韻詩) alone, Simjae's creative life became the starting point of turnaround at around 40 years old. Before the age of 40, the poets in the Tang Dynasty and Song Dynasty and Ming Dynasty and Qing Dynasty and Korean figures like Lee Hwang(李滉), as well as Tu Fu and Su Shi were the subjects of his Hwanunsi. After the age of 40, some examples of writing poems using the rhymes of other poets' poems, especially Korean figures related to regions, are often found, reducing Hwaunsi on Tu Fu and Su Shi. Simjae called Tu Fu the integration of poets, talking about the integrity of poetic talent and his being highly proficient in mood and view. As reflecting such an awareness, the themes and moods and views are demonstrated diversely in Simjae's Hwaunsi. Although, he did not reveal his thinking about the poems of Su Shi, he seemed to love Su Shi's poems to some degree. The closeness to the original poems, the poems of Tu Fu a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of Su Shi. Roughly speaking, Simjae tried to find his own individuality, intending to follow Tu Fu, but, he seemed to attempt to reveal his intention using Su Shi's poems, rather than trying to imitate. To carefully examine, Simjae wrote Hwaunsi, but he did not just imitate, but revealed the aesthetics of comparison and difference. In many cases, he made new meanings by implanting his intentions in the poems, while sharing the opportunity of creation, rather than bringing the theme and mood and view as they are. The Hwaunsi on Su Shi's poems reveal the closeness to the original poems relatively less. This can be the trace of an effort to make his own theme and individuality, not being dominated by the Hwaun(和韻: using the rhymes of other poets' poems) entirely, as he used the creative method having many restrictions. However, it is noted that the Hwaunsi on Tu Fu's poems was not written much, after the age of 40. Is this the reason why he realized literary reality that he could not cope with anymore with only his effort within the Hwaunsi? For example, he wrote four poems by borrowing Su Shi's Okjungsi(獄中詩: poem written in jail) rhymes and also wrote Gujung Japje(拘中雜題), in 1919, while he was detained. In these poems, his complex contemplation and emotion, not restricted by any poet's rhymes, are revealed diversely. Simjae's Hwaunsi testifies the reality, in which Chinese poetry's habitus existed and the impressive existence mode at the turning point of the modern era. Although, the creation of Hwaunsi reflects his disposition of liking the old things, it is judged that his psychology, resisting modern characters' change, affected to some degree in the hidden side. In this regard, Simaje's Hwaunsi encounters limitation on its own, however, it has significance in that some hidden facts were revealed in the modern Chinese poetry history, which was captured with attention under the name of novelty, eccentricity and modernity.

본고는 근대 전환기 심재(深齋) 조긍섭(曺兢燮)(1873-1933)의 시세계를 화운시(和韻詩)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의 시에는 화운시 특히 두보(杜甫)와 소식(蘇軾) 시에 대한 화운시가 많다. 이것은 그가 격변의 시기에 가장 전통적인 방법으로 한시창작에 임했던 중세적 시인이었음을 가늠케 한다. 화운시를 놓고 보았을 때 그의 창작 생애는 대략 40세가 전환의 기점이 된다. 40세 이전에는 두 소뿐만 아니라 그 밖에 당(唐) 송(宋) 및 명(明) 청(淸) 대(代) 시인들, 우리나라의 이황(李滉) 등 화운의 대상이 폭넓게 나타난다. 40세 이후에는 두 소에 대한 화운은 줄어드는 대신 지역과 관련된 우리나라 인물의 시에 화운하는 예가 종종 발견된다. 연령으로는 30대에 지은 것이 가장 많다. 심재는 시재(詩才)의 온전함과 의경(意境)의 통달함을 꼽으며 두보를 '시인의 집대성(集大成)'이라 일컬었다. 그런 인식을 반영하듯이 두시 화운시도 주제와 의경이 다양하게 드러난다. 소시(蘇詩)에 대해서는 그가 따로 생각을 밝힌 바 없으나 일정한 애호를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원시에 대한 밀착도는 두시가 소시보다 비교적 더 높게 나타난다. 거칠게 말하면 두보에 대해서는 닮고자 하면서 자기 개성을 찾아나가는 방향이라면, 소식에 대해서는 닮으려 하기보다 계기로 활용해서 자기 의사를 드러내려는 측면이 좀 더 많은 것으로 생각된다. 신중하게 보아야 할 것은 그가 화운시를 짓되 일방적인 모방에 그치지 않고 대조와 차이의 미학을 만들어 내고 있다는 점이다. 그 주제와 의경을 그대로 가져오기보다는 창작의 계기는 공유하되 시 안에 자기 뜻을 기탁해 새로운 의미를 만드는 경우가 많다. 소시 화운시는 전반적으로 원시와의 밀착력이 더 희박한 편이다. 이것은 화운이라는 제약이 많은 창작 방법을 활용하면서도 그에 전적으로 지배되지 않고 자신의 주제와 개성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 흔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두 소시 화운시가 40세 이후로는 별로 지어지지 않는다는 점이 주목된다. 이것은 어쩌면 화운시 '안'에서의 노력만으로는 더 이상 감당하기 어려운 문학적 현실을 자각한 때문은 아닐까. 예컨대 그는 1919년 소식의 옥중시(獄中詩)를 차운해 4수를 짓고 다시 <구중잡제(拘中雜題)[팔수(八首)]>를 지었다. 이것저것 읊은 이 잡제에는 누구의 운에도 제약되지 않은 그의 복잡다단한 심사와 정회가 다종하게 분출되어 있다. 심재의 화운시는 근대 전환기에 한시의 아비투스가 생존했던 현실과 그 인상적인 생존 방식을 증언해 준다. 화운시 창작은 분명 그의 호고(好古)적 성향을 반영하는 것이나, 이면에는 근대적 문자 변동에 저항하는 심리가 일정하게 작용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유의할 것은 그것이 두 소시에 대한 일방적인 모습(模襲)과 같은 반동적 방향으로 내닿지는 않았다는 사실이다. 그가 한계 속에서도 자기 개성과 목소리를 내기 위해 노력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의미 있게 새길 필요가 있다. 요컨대, 심재의 화운시는, 새로움과 기이함, '근대'라는 이름의 시도에 이목을 붙들렸던 근대 한시사에서 '접혀 있던' 한쪽 얼굴, 그 평면이 아닌 입체로서의 얼굴을 펼쳐 보게 하는 의의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