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명구, 김상현, 김재영, 김재호, 김준성, 김희준, 오윤선, 이경우, 이상원, 정병기, 정윤석(2008). 과학기술글쓰기.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권성규(2010). 공대생 글쓰기 과목에서 가르칠 내용. 공학교육연구, 13(1):3-16.
- 김귀분, 신경림, 김소선, 유은광, 김나초, 박은숙, 김혜숙, 이경순, 김숙영, 서연옥(2005).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현문사.
- 김성숙(2008). 미국의 대학 글쓰기 교육과정과 평가. 작문연구, 6:99-125.
- 김영천(2006). 질적연구방법론 I. 서울: 문음사.김혜경 (2010). 공학적 글쓰기의 교수방법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훈기(2010). 공학교육인증의 글쓰기 요구와 연구논문 작성: 서울대 공대 '과학과 기술 글쓰기' 강좌 경험을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13(4):3-14.7.
- 김훈기(2012). 대학 전공에 따른 국어 능력의 요구: 이공계 글 쓰기 및 공학인증 분석. 국어교육, 138:73-90.
- 남경완, 조철우(2012). 이공계 글쓰기 교육의 팀티칭 사례 연구. 공학교육연구, 15(1):9-17.
- 문수백(2009).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 박상민(2009). 이공계 글쓰기 교육의 특징과 과제. 배달말, 45: 301-326.
- 박상태(2008). 이공계 대학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율전캠퍼스 사례를 중심으로. 작문연구, 7:181-208.
- 신선경(2008a). 과학기술자를 위한 글쓰기 교육의 새로운 방향. 작문연구, 7:35-58.
- 신선경(2008b). 과학 탐구와 과학 글쓰기에 대한 텍스트언어학적 접근. 텍스트언어학, 24:75-99.
- 신형기, 정희모, 김성수, 이재성, 유현재, 김현주, 한경희, 박권수, 박진영(2006). 모든 사람을 위한 과학 글쓰기. 서울: (주)사이언스북스.
- 이진로 (2010). 이공계 대학(원)생의 과학기술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영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교육과학기술부.
- 이효녕, 이상숙, 이성수, 김남석, 박경숙, 권혁수, 임영구(2009). 공학 계열 글쓰기 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중등교육연구, 57(1): 167-186.
- 정소연, 김상철, 박준영, 유병준, 조용민 (2011). 이공계 전공 글쓰기 교육의 실태 및 현실적인 교육방안: 서울대학교와 해외 대학(MIT, Stanford)의 사례를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14(4): 20-28.
- 정희모(2004). MIT 대학 글쓰기 교육 시스템에 관한 연구. 독서연구, 11:327-356.
- 지현배(2012). 대학 글쓰기 강좌의 개선을 위한 교재와 강의 안 구성 시론. 교양교육연구, 6(1):125-151.
- 최재천(2012). 최재천 스타일. 서울: 명진출판.
- 최재천(2013). 통섭적 인생의 권유. 서울: 명진출판.
- Baig, B.(2011). 하버드 글쓰기 강의 [How to be a writer]. (박병화 역). 에쎄: 서울.(원전은 2010에 출판)
- Barrass. R.(2002). Scientists Must Write. London: Routeldge.
- Connolly, P.(1989). Writing and the ecology of learning. Writing to learn mathematics and science, 1-14.
- Day, S.(1989). Producing better writers in sociology classes: A test of the writing-across-the-curriculum approach. Teaching Sociology, 458-464.
- Emig, J.(1977). Writing as a mode of learning.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28(2):122-128. https://doi.org/10.2307/356095
- Flower, L. S.(1998). 글쓰기의 문제해결 전략[Problem-solving strategies for writing]. (원진숙, 황정현 역). 서울: 동문선. (원전은 1993에 출판)
- Gragson, D. E., & Hagen, J. P.(2009). Developing technical writing skills in the physical chemistry laboratory: A progressive approach employing peer review.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87(1):62-65.
- Gunel, M., Hand, B., & McDermott, M. A.(2009). Writing for different audiences: Effects on high-school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of biology. Learning and Instruction, 19(4):354-367. https://doi.org/10.1016/j.learninstruc.2008.07.001
- Hand, B., Lawrence, C., & Yore, L. D.(1999). A Writing in science framework designed to enhance science literac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10):1021-1035. https://doi.org/10.1080/095006999290165
- Hofmann, A. H.(2010). Scientific writing and communication; Papers, proposals, and presentations. NY: Oxford University Press.
- Holliday. W. G.(1992). Helping college science students read and write: Practical research-based suggestions.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21:58-61.
- Keys, C. W.(1999). Revitalizing instruction in scientific genres: Connection knowledge production with writing to learn to in science. Science Education, 83(2):115-130.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903)83:2<115::AID-SCE2>3.0.CO;2-Q
- Keys, C. W., Hand, B., Prain, V., & Collins, S. (1999). Using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as a tool for learning from laboratory investigations in secondary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10):1065-1084.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912)36:10<1065::AID-TEA2>3.0.CO;2-I
- Klein, P. D.(2004). Constructing scientific explanations through writing. Instructional Science, 32(3):191-231. https://doi.org/10.1023/B:TRUC.0000024189.74263.bd
- Rivard, L. P., & Straw, B. S.(2000). The Effect of Talk and Writing on Learning Science: An Exploratory Study. Science Education, 84(5):566-593. https://doi.org/10.1002/1098-237X(200009)84:5<566::AID-SCE2>3.0.CO;2-U
- Moore, R.(1994). Writing to learn Biology.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23(5):289-295.
- Moriaty, M.(2008). 비판적 사고와 과학 글쓰기 [Writing science through critical thinking]. (정희모, 김성수, 이재성 역).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원전은 1997에 출판)
- Ochsner, R., & Fowler, J.(2004). Playing devil's advocate: Evaluating the literature of the WAC/WID movement.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4(2):117-140. https://doi.org/10.3102/00346543074002117
- Paradis, J. G., & Zimmerman, M. L.(2002). The MIT Guide to science and engineering communication. Cambridge: The MIT Press.
- Robertson, I. J.(2004). Assessing the quality of undergraduate education students' writing about learning and teaching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6(9): 1131-1149. https://doi.org/10.1080/0950069042000177244
- Villareal, L. P.(2008). 비판적 사고와 과학 글쓰기 [Writing Science through Critical Thinking].(p.xii-xv) (정희모, 김성수, 이재성 역).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원서는 1997에 출판)
- Yore, L. D., Hand, B. M., & Prain, V. (2002). Scientists as writers. Science Education, 86(5):672-692. https://doi.org/10.1002/sce.10042
- 서울대학교(2014). 교과과정편람. http://www.snu.ac.kr/curriculum 에서 검색(검색일 2014.05.14.)
- 한국공학인증원(2014) 인증현황. http://www.abeek.or.kr/htmls_kr/contents.jsp?menu_l=2에서 검색(검색일 2014.05.14.)
- 한국과학기술원(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4). 2011.2012 KAIST 학사요람.http://www.kaist.ac.kr/html/kr/edu/edu_030302.html에서 검색(검색일 2014. 14.)
-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MIT)(2014). Undergraduate Education.http://web.mit.edu/catalog/overv.chap3.html에서 검색(검색일 2014.05.14.)
- Stanford University (2014). Undergrad Program in Writing and Rhetoric. https://undergrad.stanford.edu/programs/pwr에서 검색(검색일 2014.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