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intent to work of people with disabilities: Uncovering the roles of positive expressions from family members, social network, and disability identity

장애인 취업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가족의 긍정적 의사표현, 사회적 관계망 그리고 장애정체감의 역할

  • 김재엽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이진석 (서울장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오세헌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Received : 2014.04.30
  • Accepted : 2014.05.23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s among positive verbal expressions from family members, social network, and disability identity as the determinant factors of intention to work. To achieve the goal, 453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with experiences of using facilities for the disabled were studied, who were recruited for the national survey of domestic violence in 2010. For the research subjects,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s among the major factors were examined by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ccording to the results, disability identity and intent to work tended to be higher as they had experienced more of positive verbal expressions from their families. Moreover, a more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increased disability identity, but not intent to work. Lastly, disability identity was found to be a determinant of intent to work. Based on the results, we provide suggestions to achieve social inclus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by raising the intent to work.

본 연구는 장애인들의 취업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서 가족의 긍정적 의사표현, 사회적 관계망, 그리고 장애정체감의 경로를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0년 전국가정폭력 실태조사 자료 중 장애인관련 시설을 이용하는 성인장애인 453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주요 변수들의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가족원의 장애인에 대해 긍정적 의사표현의 빈도가 높을수록 장애인의 장애정체감과 취업의사가 증가되었다. 또한 사회적 관계의 빈도가 높을수록 장애인의 장애정체감이 상승되었으나 취업의사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장애정체감은 취업의사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으로서 파악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의 낮은 취업의사로 인한 사회통합의 문제를 완화하고 예방하기 위한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