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Weathering Characteristics of Granitic Grus in Naesung Stream Drainage, Yeongju-Bonghwa Basin, Korean Peninsula

내성천 유역분지인 영주-봉화 분지 화강암 구릉대의 풍화 특색

  • Received : 2014.12.11
  • Published : 2014.12.30

Abstract

Naesung stream famous for 'sandy river', a tributary to the Nakdong River, flows through Yeongju-Bonghwa Basin, its drainage. If the dismantlement of granitic hills in basin is in final stage, weathering materials from hills into stream are finer materials like silty or sandy loam than coarse sand, because sand as weathering mantles is provided from granitic hills, in general. So the granitic hills in Yeongju-Bonghwa basin is dissecting present. As a results of the CIA analysis(A-CN-K and A-CNK-FM ternary diagram), chemical weathering of granitic grus in Yeongju-Bonghwa basin is too very weak for calcium and sodium to be dissolved and go as far as to be more weak than that of Jeongeup, Nonsan and Namwon, common granitic grus in Korean Peninsula. Therefore,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anitic hills in Yeongju-Bonghwa basin show that the alteration of weathering mantles just finished disintegration and is dissected at a standstill. Plenty of sands provided from granitic hills is filling the channel of Naesung stream.

낙동강의 지류인 내성천은 '모래강'이라고 불릴 정도로 유역분지인 영주-봉화 분지로부터 사질 물질의 공급이 많은 하천이다. 일반적으로 풍화물질로서의 모래는 화강암 구릉대가 해체되는 과정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내성천으로의 모래 공급이 활발하다는 것은 영주-봉화 분지의 화강암 구릉대가 현재도 활발히 해체되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CIA분석(A-CN-K와 A-CNK-FM 삼각도)을 통해 나타난 영주-봉화분지의 화강암 구릉대 풍화층은 칼륨을 비롯한 철분, 망간은 물론 화학적 풍화에 매우 약한 것으로 알려진 칼슘과 나트륨의 풍화마저 기반암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칼륨의 풍화는 미약해도 칼슘과 나트륨의 손실이 약간은 진전된 정읍, 논산, 남원과 같은 일반적인 화강암 구릉대에 비해서도 화학적 풍화는 거의 일어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영주-봉화 분지의 화강암 구릉대는 입상붕괴에 의해 풍화층이 형성된 이후 화학적 풍화는 거의 정지 상태에서 모래질로 이루어진 구릉대 풍화층이 제거되고 있는 과정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