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국의 근대초기 잡지 표지 디자인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Magazine Cover Design in Korea’s Early Modern Era

  • 조현신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 전문대학원 디자인학 전공)
  • Jo, Hyun Shin (Design Studies,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Kookmin University)
  • 발행 : 20140000

초록

연구배경 이 논문은 한국 근대초기 가장 새로운 매체인 잡지에 대한 연구로 1876년 개항부터 1910년까지 발간된 잡지 41종의 표지를 증심으로 목차 제호 등 그 디자인 특성을 범주화하고, 그것이 지니는 의미를 해석하였다. 이 연구는 디자인의 영역과 결과물이 다양하게 발전하는 현 시점에서 디자인 행위에 대한 성찰과 비평적 의식을 제고하고 한국 현대 디자인의 시각성을 규정한 원류를 찾아보는 의미를 갖고 있다. 연구방법 근대 초기의 사회적 상황과 출판 인쇄 상황을 살펴 본 후 잡지의 표지, 목차 페이지의 특성을 도출하는 귀납적인 연구 방식을 사용하였다. 잡지의 구성 요소 중 타이포 그래피, 일러스트레이션의 상징성, 지면 레이아웃, 색채 등 디자인 요소를 분석하되, 이것이 지닌 문화사회적 연관성을 유추하여 해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이 시기 잡지 디자인의 특성은 다섯 개로 도출되었다. 첫째 장식, 상징물, 일러스트레이션이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상징물로는 주로 태극, 한반도 지도 형상, 꽃 등이 사용되었다 둘째 제호를 중심으로 한자의 타이포 그래피적 다양성이 전개되었고, 셋째 <소년>이나 <조양보> 등과 같이 전문적인 디자인 의식을 보여주는 잡지가 등장하였다. 넷째 장식이나 상징 등을 차별적 사용하는 단초가 보이기 시작하며, 이는 독자층의 정체성을 차별화하는데 기여를 했다고 볼 수 있다. 다섯째, 색채 사용에 있어 녹색과 빨간색을 주로 사용했다. 결론 한국 잡지 디자인의 출발 지형을 결정한 요소는 당시 잡지가 추구하던 계몽과 교육, 애국에 대한 강조였으며, 그래픽적 조형행위는 이를 형상화하는 수단으로서의 성격이 강했다고 할 수 있다. 즉 민족 이데올로기가 도상의 상징성이나 제호의 크기 등을 통해 즉물적으로 형상화된 경향이 강한 것이다. 이런 이념적 특성이 강하게 드러났음에도, 이 당시 잡지의 표지나 목차 디자인은 다양한 시각성을 도입하면서 각각 뚜렷한 특성을 보이고 있다.

Background Korea Design recently have been developing fast. It is important to write the history of design in this situation, for design history is a threshold for design practice. This article researches the characteristics of magazine cover design in Korea’s early modern period. This study could provide a arguable perspective on Korean contemporary graphic design through looking back its starting point. Method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the magazines which published from 1876 to 1910 in Korea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through their various significances focused on cover and contents pages. The analysing main elements are sign, symbols, illustration, typography, page layout and colors. These elements were researched under the relation of their formation, and its social and cultural meaning. Results The particular points of magazine cover design in Korea’s early modern period are as follows; Firstly, decoration and symbolic visual elements were used along with illustration. Secondly, diverse Chinese typographies were shown especially around the title. Thirdly, professional design perception seemed to emerge even though it was rare. Fourth, magazine design played a part in differentiating the readers’ identities. Fifth, generally red and green were used often for the cover and contents pages. The enlightenment movement which was asked under the oppression of colonial period can be said to be basic factors for shaping the substance of the magazine design of this era. Conclusion The starting point of Korean magazine design is effected by the periodical circumstance, the restraint of colonial situation. It exposed strong nationalistic tendency. This perspective suggest a controversial perspective on Korean graphic design.

키워드

과제정보

This work was done by the Fund of 2011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