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우리나라 신도시의 인구 및 주거특성 변화: 분당, 일산 등 1기 신도시를 중심으로

Changes in Demographic and Housing Characteristics of New Towns in Korea: Focused on Five New Towns in Seoul Metropolitan Area

  • 윤정중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김은미 (고려대학교 행정학)
  • 투고 : 2014.08.17
  • 심사 : 2014.09.03
  • 발행 : 2014.10.30

초록

본 연구는 수도권의 1기 신도시가 건설된 이후 지난 20여 년간 신도시 내의 주거 및 인구특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995년부터 2010년까지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첫째, 신도시 건설당시의 계획목표와 현재를 비교분석한 결과, 인구목표는 평촌을 제외하고 2.1~28.6% 정도 초과하고 있는데 비해 세대수는 14.3~73.8% 증가하여 인구대비 세대수 증가가 더 많았다. 주택유형별로는 단독주택의 경우 면적대비 87.9%, 세대수 대비 130.3%로서 세대수 증가율이 더 컸으며, 이는 다가구 다세대주택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공동주택은 계획면적 대비 95.6%, 세대수 대비 113.4%로서 대체로 목표에 근접하였다. 2010년 신도시 총인구는 1,248천명으로 이는 1990년부터 2010년까지 서울시 인구 감소량 818천명의 152.6%, 경기도 인구 증가량 5,224천명의 23.9%에 해당하는 규모로서, 이는 간접적이나마 1기 신도시 건설이 서울 인구의 수도권 분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둘째, 5년 단위로 신도시의 인구 및 가구특성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인구는 도시가 완성된 이후 2005년을 정점으로 다소 감소 경향을 보였으며, 장년층 및 노령인구가 증가하였고, 여성인구가 다소 많은 대졸이상의 고학력 도시이며, 가구원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는데 특히, 1세대 가구의 증가와 1인 가구의 증가가 두드러졌다. 또한 총주택의 83~99%를 아파트가 차지하고 있으며, 대부분 건축년수가 20년이 경과되었다. 거주지역 외에 주택을 소유한 가구가 증가하였는데 이는 전국 및 수도권에 비해서 높은 수준이다. 전세가구 비율은 분당 및 평촌을 제외하고는 다소 감소하였고, 월세가구 비율은 신도시 모두 큰 폭으로 증가하여 '전세감소-월세증가'라는 임차주택시장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었다.

In the late 1980s, 5 new towns such as Bundang, Ilsan, Pyeongchon, Sanborn, Jungdong were constructed to solve housing problems and to disperse functions concentrated within Seoul. As the city got matured, it began to appear the initial signs of urban problems such as aging of high rise-density apartment sites, traffic congestion, lack of parking spaces and aging of infrastructure. Therefore, in order to cope with urban problems, it is very important to apprehend the process of urban growth, its change and the feature of physical/human elements. S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changes in housing and population characteristics for past 20 years by use of Census data from 1995 to 2010. First, the new town's goal of population and housing plan at the time of construction was analyzed how it was achieved, and it is close to the performance of the goal. And the trend of changes in the population and household characteristics was analyzed by every five year's data. As the result of analysis, it shows socio-demographic changes such as aged and elderly population growth, rapid increase in one generation's household and single person household, highly educated city, monthly rent household's increase and charter household's reduction. Results of this analysis can be utilized to aforethought management of new towns. But it is required more sustained and systematic urban monitoring and data analysis because the one-off analysis of the city's characteristics alone is difficult enough to grasp them.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2004), 지속가능한 신도시 개발을 위한 계획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보고서.
  2. 변병설, 주용준(2000), "신도시의 지속가능한 토지이용 지표설정 및 평가", 국토계획, 106.
  3. 송영섭, 이동규(1999), "수도권 신도시평가에 관한 연구: 분당, 일산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과학기술연구논문집, 10(A).
  4. 신원득 등(1996), 신도시 기능정상화를 위한 과제와 전망, 경기개발연구원.
  5. 윤정중 등(2013), "수도권 1기 신도시의 인구 및 가구특성 변화 분석", 2013 추계학술대회발표논문.
  6. 정종균(2008), 신도시 커뮤니티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수도권 1기 신도시의 평가를 토대로,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7. 최병선(2003), 지속가능한 도시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건설교통부,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8. 통계청(1995), 인구주택총조사.
  9. 통계청(2000), 인구주택총조사.
  10. 통계청(2005), 인구주택총조사.
  11. 통계청(2010), 인구주택총조사.
  12. 한국토지공사(1997), 분당신도시 개발사.
  13. 한국토지공사(1997), 일산신도시 개발사.
  14. 한국토지공사(1997), 평촌신도시 개발사.
  15. 한국토지공사(1997), 산본신도시 개발사.
  16. 한국토지공사(1999), 수도권신도시 종합평가분석 연구.
  17. 한국토지공사(2004), 신도시 개발방향에 대한 주민의식 조사연구.
  18. 한국토지공사(2006), 살고 싶은 신도시 모델 설정.
  19. 허재완(2001), "수도권 신도시 경제기반 평가", 경기논단, 3(3).
  20. 인천광역시홈페이지(http://www.incheon.go.kr).
  21. 통계청 홈페이지(www.kostat.go.kr). 국가통계포탈(KOSYS).
  22. 고양시청 홈페이지(www.goyang.go.kr).
  23. 군포시청 홈페이지(www.gunpo21.net).
  24. 부천시청 홈페이지(www.bucheon.go.kr).
  25. 성남시청 홈페이지(www.seongnam.go.kr).
  26. 안양시청 홈페이지(www.anyang.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