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Blasting Aspect of Steel Member and Concrete Member According to Separation distance of Explosives

폭약 이격에 따른 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파괴양상 연구

  • Received : 2014.05.30
  • Accepted : 2014.06.27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TNT was blasted on the surface of steel plates and concrete block to study the effect of separation distance between object and charge. The equation of US Army Corps of Engineers turned out to be rather conservative. Effect of separation distance is larger for steel plate than concrete block. Steel plate cannot be cut by standard or more charge in the case of 2 cm separation while the concrete block can be crushed with the same distance.

외부장약 발파시 부재와 폭약의 이격거리에 따른 절단 및 파괴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강 부재와 콘크리트 부재에 TNT 카트리지 폭약을 이용하여 실험을 하였다. 실험 결과 강 부재나 콘크리트 부재에 대한 파괴 장전공식은 다소 보수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콘크리트 부재에 비해 강 부재가 폭약 이격거리에 대한 파괴영향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강 부재의 경우 표준폭약 이상으로 장전해도 폭약이 부재에서 2cm 이격된 경우 절단되지 않고 구부러짐만 나타났다. 같은 이격에 대하여 콘크리트 블록 부재의 경우 구조물의 파괴를 유도하는데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재극, 1986, 산업화약과 발파공학, 서울대학교출판부, 서울, pp. 169-170.
  2. 진연호, 2012, 발파해체용 전색재 평가와 선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한민국, pp. 135.
  3. ISEE, 2011, Blaster's Handbook 18th Edition, ISEE, pp. 899.
  4. Olofsson, S. O., 1991, Applied Explosives Technology for Construction and Mining 2nd Edition, Applex AB, Aerla, Aweden, pp. 115, 294.
  5. The US Army Corps of Engineers, 2007, FM 3-34.214 (FM 5-250) Explosives And Demolitions Manual, pp. 3-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