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 pensée sérieuse sur la mort et le sens métaphysique sur la mort chez Kierkegaard

키르케고르: 죽음에 관한 진지한 사유와 죽음의 형이상학적 의미

  • Received : 2014.07.05
  • Accepted : 2014.08.14
  • Published : 2014.09.30

Abstract

Les avis des philosophes sur la mort sont $diff{\acute{e}}rentes$ selon leurs visions du monde. Certains essaient de surmonter la peur sur la mort, en $n{\acute{e}}gligeant$ la mort, et certains essaient de vivre le vraie vie par la $m{\acute{e}}ditation$ de la mort. Chez Kierkegaard la notion de la mort se $pr{\acute{e}}sente$ comme key-world $tr{\grave{e}}s$ important, et cela signifie qu'il parle par la mort une vie $s{\acute{e}}rieuse$ et vraie. Pour Kierkegaard la mort signifie d'abord la mort de la vie mondaine ou la $n{\acute{e}}gation$ de soi, cela est en faveur de sa conception de la nature humaine $o{\grave{u}}$ l'homme est fondamentalement un ${\hat{e}}tre$ $probl{\grave{e}}matique$ et ${\grave{a}}$ la fois ceuli qui a un rapport avec $l^{\prime}{\acute{e}}ternel$. Le $d{\acute{e}}sespoir$ de l'homme sur la vie $pr{\acute{e}}sente$ peut devenir 'la maladie qui entraîne la mort' c'est-${\grave{a}}$-dire la mort spirituelle, mais il peut donner aussi une chemin par laquelle l'homme se dirige en tant qu'individu vers l'Absolu. Chez lui ${\hat{e}}tre$ $s{\acute{e}}rieux$ signifie devenir existentiellement par la $n{\acute{e}}gation$ de soi. Et l'absence de la $sinc{\acute{e}}rit{\acute{e}}$ signifie l'absence de soi en tnat $qu^{\prime}{\hat{e}}tre$ spirituel. Ainsi la $pens{\acute{e}}e$ $s{\acute{e}}rieuse$ sur la mort $n^{\prime}{\acute{e}}tant$ autre chose que de penser la mort comme la partie de $l^{\prime}{\hat{e}}tre$ $pr{\acute{e}}sent$, elle devient la source ${\acute{e}}nergique$ qui permet de vivre pleinement le $pr{\acute{e}}sent$ comme $r{\acute{e}}alit{\acute{e}}$ $li{\acute{e}}$ ${\acute{a}}$ $l^{\prime}{\acute{e}}ternit{\acute{e}}$. Sa $pens{\acute{e}}e$ $s{\acute{e}}rieuse$ sur la mort permet d'avoir une conviction religieuse par laquelle l'homme peut penser la mort corporelle comme aventure $li{\acute{e}}e$ ${\grave{a}}$ $l^{\prime}{\acute{e}}ternit{\acute{e}}$ et par laquelle l'homme peut penser aussi la vie $apr{\grave{e}}s$ la mort comme vraie vie que les justes avaient $d{\acute{e}}sir{\acute{e}}s$. Cette $pens{\acute{e}}e$ de Kierkegaard sur la mort signifie le sens $m{\acute{e}}taphysique$ sur la mort au sens $o{\grave{u}}$ elle est une $r{\acute{e}}alit{\acute{e}}$ $v{\acute{e}}cue$, et aussi la $pens{\acute{e}}e$ qui ${\acute{e}}claircit$ la sagesse des philosophes antiques ${\grave{a}}$ la perspective $chr{\acute{e}}tienne$ qui dit philosopher, c'est apprendre ${\grave{a}}$ mourir.

죽음에 대한 철학자들의 입장은 자신들의 세계관에 따라서 다양하게 달라지고 있다. 죽음을 무시함으로서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고자 하기도 하며, 오히려 죽음에 대한 명상을 통해서 보다 진정한 삶을 살고자 하기도 한다. 키르케고르의 사상 안에서 죽음의 개념은 매우 중요한 키워드처럼 등장하는데, 이는 죽음이라는 주제를 통해서 보다 밀도 있고 진정한 삶을 말하고자 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의 사상에서 죽음이란 세속적인 삶으로부터의 죽음 혹은 자기부정을 말하고 있다. 그 이유는 인간은 근원적으로 문제적인 존재임과 동시에 영원적인 것을 함께 지니고 있는 존재라는 그의 인간관 때문이다. 인간의 현재의 삶에 대한 절망은 영적인 죽음을 의미하는 '죽음에 이르는 병'에 이를 수도 있고, 또한 '자기부정'을 통해 단독자로서 절대자 앞에 나아갈 수도 있다. 인간이 자기부정을 통해서 진정 실존적으로 될 수 있는 것이 곧 '진지함'을 의미하는데, 진지함의 부재(不在)는 정신적 존재 혹은 영적인 존재로서의 '자기 자신'의 부재(不在)를 의미한다. '죽음에 대해 진지한 사유'란 죽음을 자신의 현존재의 일부처럼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사유를 의미하며, 이러한 '진지함'을 '영원과 맞닿아 있는 현실의 삶'이라는 '현재에 충실함'을 가능하게 하는 에너지원처럼 이해하고 있다. 이러한 죽음에 대한 그의 사유는 육체적인 죽음이 영원성으로서의 생명에 비하면 아주 사소한 일에 불과하고, 오히려 죽음 이후에 진정으로 의인들이 갈망하였던 그러한 삶이 충만하게 실현될 것이라는 종교적인 확신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키르케고르의 사유는 죽음에 대한 '체험된 실재'라는 차원에서 '죽음에 대한 형이상학적 의미'를 말해주는 것이며, 또한 '철학이란 죽음을 배우는 것'이라는 고대철인들의 지혜를 그리스도교적 관점에서 해명하는 사유라고 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제주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