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Uneven Growth and Geographic Distribution of Creative Industries

창조산업의 불균등 성장과 지리적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4.08.10
  • Accepted : 2014.08.25
  • Published : 2014.09.30

Abstract

Creative industries are important due to the capability of enhancing urban competitiveness. This study is focused on unravelling the uneven growth and geographic distributions of creative industri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imary city, Seoul, has too much eminence than the citysize rule suggests, and the creative-industry elasticity is very high compared to population and all industry. Second, Seoul is reinforcing the uneven growth with adjacent cities. Third, the local main cities have little power to enhance creative industries and the local small cities grow randomly. Fourth, each city should have more deliberation in accepting creative industries as an urban growth strategy.

본 논문은 창조산업이 도시성장전략으로 무차별적 수용되어야 하는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여, 우리나라 창조산업의 불균등 성장과 지리적 분포 특성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 결론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높은 전문화, 개인의 재능(talent) 중시, 약한 경로의존성 등의 속성을 갖는 창조산업은 순위규모법칙에서 시사하는 것보다 수위 도시로의 편중이 더욱 두드러지며, 인구와 전산업에 비하여 높은 탄력성을 보인다. 둘째, 창조산업은 서울 및 서울 인접 도시들의 동반성장을 통해 불균등 성장 추세를 강화하고 있다. 셋째, 광역시는 창조산업 성장에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으며, 지방 중소도시들의 창조산업 성장은 공간적 연계가 없는 확률성장(random growth) 형태를 보인다. 넷째, 기존 경제기반에서 창출되는 가치가 높은 지역은 창조산업보다 기존 산업기반을 유지하는 것이 도시성장에 도움이 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