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기술혁신사업의 성과창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산학연협력형태를 중심으로

Cooperation of Industrial R&D Programs: Focussing on Types of R&D Cooperation

  • 배진희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산업기술정책센터, 한양대학교 과학기술정책학과) ;
  • 오명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산업기술정책센터) ;
  • 김헌 (백석대학교 경상학부)
  • 투고 : 2014.09.02
  • 심사 : 2014.10.03
  • 발행 : 2014.09.30

초록

본 연구는 산업기술혁신사업의 성과창출에 미치는 영향을 산학연협력형태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산학연협력과 관련된 정책이나 전략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산업기술혁신사업 성과활용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협력형태별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협력연구가 단독연구에 비해 성과가 높게 나타나는지, 협력연구는 주관기관 유형 및 협력파트너에 따라 성과가 달라지는지를 논문, 특허, 기술이전, 사업화, 신규고용을 대상으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협력연구는 단독연구에 비해 성과가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민간기업이 주관하는 연구과제에서는 비영리기관과 협력할 때 논문, 특허, 신규고용 성과가 증가하는 것으로, 반면 민간기업간 협력연구에서는 논문, 기술이전 등의 성과창출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영리기관이 주관하는 연구과제에서 민간기업과 협력할 경우, 특허, 기술이전 등 지식 공유 확산 차원의 성과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산업기술혁신사업 등 정부연구개발 사업의 연구개발 협력과 관련된 정책 수립에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판단된다.

We analyse the impact of R&D cooperation on Industrial R&D programs of Government (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 MOTIE), specially performance differentiating between type of R&D partners, type of R&D project leader organizations. And considering five performance measures: paper, patent, technology transfer, commercialization, new employment. Using data on a large sample of post-performance survey of MOTIE in Korea (2013), we examine the impact of R&D cooperation in 2008-2012. The method of analysis is binary logistic regression models operated by SP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s; the performanc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ype of R&D partners, type of R&D project leader organizations on R&D cooperation. Specially, when a private enterprise cooperate with non-profit institutions, performance has a greater success of paper, patent, new employment. On the other hand, when a private enterprise cooperate with a private enterprise cooperate, performance decrease success of paper, technology transfer. Lastly, when non-profit institutions cooperate with a private enterprise, performance has a greater success of patent, technology transfer.

키워드

참고문헌

  1. 국가균형발전위원회 (2003), 참여정부의 新산학협력 비전 및 추진전략.
  2. 교육과학기술부.지식경제부 (2010), 산학연협력 선진화 방안(안).
  3. 교육인적자원부 등 11부처 부처 (2003), 국가혁신체제 구축을 위한 산학연 협력 활성화 종합대책 추진현황.
  4. 권남훈.고상원 (2004), "기업 R&D 투자에 대한 정부 직접 보조금의 효과", 국제경제연구, 10(2): 157-181.
  5. 김건식 (2013), "한국 제조업에서 혁신활동과 재무적 성과 간의 인과경로: 혁신성과 및 운영성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17(1): 146-173.
  6. 김진한.박진한.정기대 (2013), "중소기업의 기술협력에서 흡수역량의 역할", 기술혁신학회지, 16(1): 101-129.
  7. 김태희.김인호.안성봉 (2009), "자료포락분석법을 활용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효율성 분석 -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12(1): 70-87.
  8. 김태희 (2012),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한 국제공동연구 성과 제고 방안에 대한 연구: 기초 및 원천분야를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15(2): 400-420.
  9. 김철회.이상돈 (2007), "산학협력성과와 대학의 역량요인의 관계에 관한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10(4): 629-653.
  10. 김흥규.강원진.박정희.여인국(2013), "DEA를 이용한 R&D 사업의 효율성 비교: 원천기술개발 사업을 중심으로",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36(3): 126-132.
  11. 미래창조과학부 (2013a), 2012년도 국가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12. 미래창조과학부 (2013b), 국가 과학기술혁신역량 평가.
  13. 미래창조과학부 (2013c),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3차 개정):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14. 미래창조과학부 (2013d),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 개선 종합대책(안).
  15. 박성민 (2010), "R&D 프로젝트 효율성 상관분석 및 사업포지셔닝 조사를 위한 2단계 DEA/AR-I 성과평가모형", 대한경영학회지, 23(6): 3285-3303.
  16. 박성민 (2014), "연속적 이항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한 R&D 투입 및 성과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대한산업공학회지, 40(3): 342-357.
  17. 박순애.권혜연 (2014), "공공연구기관의 조직특성과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세계행정학술대회.
  18. 박정희.문종범 (2010), "DEA를 이용한 지역산업기술개발사업의 효율성 분석", 산업경제연구, 23(4): 2047-2068.
  19. 산업통상자원부 (2008), 제5차 산업기술혁신계획.
  20. 산업통상자원부 (2013a), 2012년 산업기술 R&D 사업 성과조사.분석 보고서.
  21. 산업통상자원부 (2013b), 제6차 산업기술혁신계획.
  22. 심우중.김은실 (2010), "우리나라 국가연구개발사업 정부연구비 투입 대비 성과의 다각적 분석", 기술혁신학회지, 13(1): 1-27.
  23. 이철원 (1993), "공동연구수행특성 및 참여기업의 기술획득전략유형에 따른 연구성과분석", 한국과학기술원 박사학위논문.
  24. 임의주.김창완.조근태 (2013), "대학 산학협력단의 기술사업화 인적구성과 산학협력 성과", 기술혁신연구, 21(2): 115-136.
  25. 윤지웅.윤성식 (2013), "정부의 기업 R&D 지원이 기업의 탐색적 활동에 미치는 영향의 실증 분석" 기술혁신학회지, 16(1): 279-302.
  26. 장금영 (2010), "연구개발투자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부의 산업기술개발 사업을 중심으로", 기술혁신연구, 18(1): 75-98.
  27. 정도범.고윤미.김경남 (2012), "중소기업의 산학연 연구개발(R&D) 협력과 기업 성과 분석", 기술혁신연구, 20(1): 115-140.
  28. 정병호.천강민.양재경 (201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학술적 성과의 시차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35(1): 87-92.
  29. 정태원.정동섭.김정흠 (2014), "공동논문 현황을 통한 정부출연(연)의 협력네트워크 구조와 논문성과와의 관계 분석", 기술혁신학회지, 17(1): 242-263.
  30. 조현정.전병훈 (2011), "대학의 특성에 따른 산학협력역량과 산학협력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3(1): 119-126.
  31. 최석준.김상신 (2007), "정부 연구개발 보조금의 기업자체 R&D 투자에 대한 효과 분석", 기술혁신학회지, 10(2): 706-726.
  32. 최새로나.김미정.오철.이기영 (2013), "기상 및 교통조건이 고속도로 화물차 사고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33(3): 1105-1113.
  33.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IMD 2013 세계 경쟁력 연감 분석: 과학 및 기술인프라 중심.
  34.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4), 정부지원 산업기술 R&D의 공동연구 현황 및 내실화를 위한 개선방향.
  35. 홍세희 (2005), 이항 및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교육과학사.
  36. 황정태.한재훈.강희종 (2010). "혁신을 위한 외부협력이 중소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각적 분석", 기술혁신학회지, 13(2): 332-364.
  37. Becker, W. and Jurgen, D. (2004), "R&D Cooperation and Innovation Activities of Firms - Evidence for the German Manufacturing Industry", Research Policy, 33(2): 209-223. https://doi.org/10.1016/j.respol.2003.07.003
  38. Belderbos, R., Martin, C. and Boris L. (2004), "Cooperative R&D and Firm Performance", Research policy, 33(10): 1477-1492. https://doi.org/10.1016/j.respol.2004.07.003
  39. Lin, B. W. and Chen, J. S. (2005), "Corporate Technology Portfolios and R&D Performance Measures: A Study of Technology Intensive Firms", R&D Management, 35(2): 157-170 https://doi.org/10.1111/j.1467-9310.2005.00380.x
  40. Brandenburger, A. M. and Barry, J. N. (1997), Co-Opetition: A Revolution Mindset That Combines Competition And Cooperation: The Game Theory Strategy That's Changing the Game of Business, Random House Inc.
  41. Chesbrough, H. W. (2006), "The Era of Open Innovation." Managing innovation and change, 127(3): 34-41.
  42. Esteves, L. A. and Meirelles, J. G. P. (2009), "Innov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Firms and Universities: Evidence from Brazil", Third Conference on Micro Evidence on Innovation and Development.
  43. Granovetter, M. S. (1973), "The Strength of Weak Ti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8(6): 1360-1380. https://doi.org/10.1086/225469
  44. Hakanson, L. (1993), "Managing Cooperative Research and Development: Partner Selection and Contract Design", R&D Management, 23(4): 273-285. https://doi.org/10.1111/j.1467-9310.1993.tb00834.x
  45. Holger, E. (2001), "Patent Applications and Subsequent Changes of Performance: Evidence from Time-series Cross-section Analyses on the Firm Level", Research Policy, 30:(1) 143-157.
  46. McLaughlin, J. A. and Gretchen, B. J. (1999), "Logic Models: A Tool for Telling Your Programs Performance Story",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2(1): 65-72. https://doi.org/10.1016/S0149-7189(98)00042-1
  47. Nieto, M. J. and Lluis, S. (2007), "The Importance of Diverse Collaborative Networks for the Novelty of Product Innovation", Technovation, 27(6): 367-377. https://doi.org/10.1016/j.technovation.2006.10.001
  48. Rothwell, R. (1991), "External Networking and Innovation in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Firms in Europe", Technovation, 11(2): 93-112. https://doi.org/10.1016/0166-4972(91)90040-B
  49. Ruegg, R. and Feller, I. (2003), A Toolkit for Evaluating Public R & D Investment: Models, Methods, and Findings from ATP's First Decade, US Department of Commerce, Technology Administration,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50. Schwartz, M., Francois, P., Michael, F. and Jutta, G. (2012), "What Drives Innovation Output from Subsidized R&D Cooperation?-Project Level Evidence from Germany", Technovation, 32(6): 358-369. https://doi.org/10.1016/j.technovation.2012.03.004
  51. Veugelers, R. and Bruno, C. (2005), "R&D Cooperation between Firms and Universities. Some Empirical Evidence from Belgian Manufacturing",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Organization, 23(5): 355-379. https://doi.org/10.1016/j.ijindorg.2005.01.008
  52. Zeng, S. X., Xie, X. M. and Tam, C. M. (2010), "Relationship between Cooperation Networks and Innovation Performance of SMEs", Technovation, 30(3): 181-194. https://doi.org/10.1016/j.technovation.2009.08.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