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영상에서의 OST(Original Sound Track)는 이미지에 동기화되는 음악이며, 그 역할은 관객으로 하여금 영화에 대한 집중도와 감동의 공감대를 높이게 하고 스토리 전개에 직간접적인 연관성을 제공한다. 최근 들어 OST는 영상물의 성패를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열쇠가 되기도 한다. 즉, OST는 일정 시간동안 특정한 상황이나 분위기의 시각적 영상에 삽입되는 음악으로 shot 간의 연속성 제공이나 분위기를 전환할 때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적 요소이다[1]. 또한, 애니메이션은 일반 영화와는 달리 스토리 전개가 뚜렷하기 때문에 OST 역시 스토리와 직접적이고 밀접한 연관성이 있으며 따라서 이를 분석하고 참고할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다[2-4]. 이를테면 지금까지 애니메이션 OST가 12차례나 아카데미 영화 음악상을 차지하였으며, 그 OST들 모두 대중적으로 큰 인기를 받은 것을 보더라도 OST는 애니메이션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5].
기존의 OST 관련 연구는 영상과 사운드의 전반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와 특정 한 영상에 대해 정해진 사운드를 깊이 있게 분석하는 연구로 나뉜다. 세르게이 에이젠슈타인 (Sergei Eisenstein, 1898 -1948)은 복수 영상에 대해 수직적 몽타주 이론에 근거하여 OST와 영상간의 적합성을 영상 전체의 틀 안에서 거시적으로 살펴보았다[6]. 반면, 후자처럼 한편의 영상에 대해 주제 OST만을 선별하여 깊이 있게 분석하는 연구도 다수 있다[7-9]. 위 연구들은 영화를 영상과 배경음악의 두 가지 요소만으로 나눈 후 각각의 음악적 분석에만 그치고 있기 때문에 스토리의 구성과 흐름에 따른 적절한 배경음악의 연관성에 대한 분석이 고려되고 있지는 않다[10]. 그리하여 영화에서 이야기를 이끌어 내는 중요한 요소들을 주관적인 기준에 의해 추출해 냄으로써, 단편적이고 국소적으로 분석하게 되는 한계가 있다[11]. 또한, 배경음악의 일부로써의 OST 분석만 있을 뿐 주제별 OST들만을 이용하여 영상뿐만 아니라 스토리 전개에 따른 연관성을 분석하는 연구는 저자들이 아는 바 아직 시도된 적이 없다고 본다.
본 논문에서는 OST와 스토리 간의 관련성이 높은 애니메이션 장르를 선택하여 연구한다[12]. 성봉선은 애니메이션의 내러티브 프로세스 (Narrative Process, NP) 분류모델 연구 [2]에서 1990년~2103년 사이에 개봉한 미국의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 중 흥행 순위 50위 이상 중에 인물 주인공 캐릭터 애니메이션 9편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동물 또는 의인화 주인공 캐릭터의 경우 스토리를 일반적인 NP 로 분류하기에 문제가 많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기존 NP의 분석 토대위에 OST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9편중 아카데미 음악상 수상작 4편만을 연구 대상으로 Table 1과 같이 선정하였다[13].
Table 1.Selection of Research Target Animations
애니메이션의 17단계 NP 분류에 따르면 같은 단계의 NP는 유사한 이야기 전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고 했다[2]. 이를 이용하면 애니메이션의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NP간의 스토리텔링 방법의 공통점과 차이점들을 비교 분석할 수 있다.
선정된 4개의 애니메이션 대하여 NP 분류 모델을 따라 각각을 17개의 NP로 분류하였다. Fig. 1은 제안하는 연구의 전체적인 개념도이다. 여기서 Ci (i=1, 2, 3, 4)는 i번째 컨텐츠(애니메이션) 이다, 이것에 대하여 NP 분석을 통해 n=1, ⋯17 의 NPi(n) 로 분류하였다. 즉, NPi(n)은 i번째 컨텐츠의 n번째 NP를 뜻한다. 이때 동일한 인덱스 n을 갖는 모든 애니메이션을 비교분석하는 것을 NP 계열체적 분석이라고 한다.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OST의 음악적 요소에 대한 최초의 NP 계열체적 연구라는 데 큰 의미가 있다.
Fig. 1.Conceptual Diagram: After classifying the target animations by NPs, the musical commnon factors and the meanings for those NPs with same index are analyzed.
이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이 논문의 기반이 되는 이론적 배경을 다루며 내러티브 분류 모델을 살펴보고, 선정된 애니메이션에 대한 분류 결과를 설명한다. 3장에서는 6가지 음악적 요소로 OST를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4가지 애니메이션을 통해 실제 음악적 요소를 도출하고 프로세스별 특징 및 공통점을 분석하며 애니메이션의 각 단계 NP에 존재하는 OST 사이의 공통음악요소와 그 동질성이 있다는 것을 귀납적으로 밝힌다. 그리고, 마지막 4장에서 결론을 맺는다.
2. 내러티브 프로세스 분류 모델
내러티브 프로세스 분류 모델은 성봉선에 의해 제안되었다[1]. 이는 알기르다스 줄리앙 그레마스(Algirdas Julien Greimas, 1917~1992)의 의미생성 경로에 의한 표준서술도식 및 행위소 모델과 로만 야콥슨(Roman Jakobson, 1895~1983)의 커뮤니케이션 모델 및 서술 기호학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14,15] 기능에 의한 연속적인 행위들의 통합체적 모델을 17가지 프로세스로 분류한 것이다.
프로세스 추출은 최초의 전제적 상황의 분리, 주체의 변형에 따른 상태주체인가 행위주체인가에 의한 ‘주체-대상’과 ‘행위 주체’로 분리, 주체가 욕망하는 대상과의 관계 변화에 따라 ‘대상 연접’, ‘대상 이접’으로 분리된다. 또, 시련의 단계 변화와 발신과 수신 행위의 관계 변화, 그리고 대상 획득 과정에 의해 ‘자격-대치’, ‘자격-지배’, ‘자격-획득’, ‘근본-대치’, ‘근본-지배’, ‘근본-획득’, ‘영광-대치’, ‘영광-지배’, ‘영광-획득’으로 분리되었다. 각 시련 사이의 교환 행위에 의해 ‘전환’과 ‘대항 행위’로 분리되었으며 마지막으로 완수된 사명이 추출되었다.
이러한 내러티브 17 프로세스는 애니메이션을 분석하는데 통합체적 분류 모델로서의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각 애니메이션을 NP 단계에 따른 OST의 공통점과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Table 2에 정리된 성봉선의 분류 결과를 활용하였다[1].
Table 2.The classification results of 17 processes for 4 animations according to the NP classification model
한편, Table 3에서Table 6까지는 ‘미녀와 야수’, ‘알라딘’, ‘타잔’, ‘업’의 각 OST 번호와 제목을 나타낸다.
Table 3.OST of ‘Beauty and the Beast’
Table 4.OST of ‘Aladdin’
Table 5.OST of ‘Tarzan’
Table 6.OST of ‘Up’
Table 7은 분석 대상인 미녀와 야수, 알라딘, 타잔, 업 등의 4작품을 내러티브 프로세스의 17가지로 분류한 결과에 각 NP에 OST의 유무 및 OST 번호를 정리하였다. 이번 연구는 NP의 음악적 공통 특성이 있는지 조사하는 것이므로 4작품 모두 OST를 가지는 NP만을 대상으로 연구한다. 따라서 연구대상의 NP 의 인덱스는 n=1, 2, 3, 10, 11, 12, 14, 17이 된다.
Table 7.The OST Numbers for the 17 NP’s
3. OST 분석
3.1 6가지 음악적 요소를 통한 OST 분석
이 절에서는 사운드, 조성, 템포, 음역, 셈여림, 악기편성 등의 6가지 음악적 요소로 OST 특징을 분석 방법을 설명한다. 이 6가지 요소는 OST 음악의 특징을 규정짓는 가장 기본이 되는 객관적 요소로 영상안의 OST의 특징을 분류하기에 적합하다.
첫째, 사운드는 크게 대사, 음악, 효과음(effect)으로 나뉘는데, 경우에 따라 대사가 중요할 수도 있고 때론 대사가 없는 부분은 음악이 적절하게 채워질 수도 있다. 음악은 영상에 어울리도록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삽입이 되는데, 그것은 또 악기로만 구성되는 배경음악(BGM; Background Music)과 보컬이 가미된 노래(Song)로 분류된다[16].
둘째, 토낼리티(tonality)라고 일컫는 조성은 악곡 전체 또는 일부에 설정된 으뜸음을 중심으로 한 음의 조직과 그 영향력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음악에서 조성이 미치는 영향력은 음악의 전체적 분위기를 좌우하는 일종의 심(芯)과 같이 느껴지는데 이를 조성감(調性感)이라고 하며, 조성감의 유무에 따라 조성 음악과 무(無)조성 음악으로 분류한다.
셋째, 템포(tempo)는 원래 때, 시간의 뜻으로 메트로놈 수, 악곡의 전체 또는 부분의 시간 배정 등에 의해 표시되는데, 작품의 내용과 구조에 없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요소인 동시에 연주자의 음향, 기술, 양식상의 특성이나 시대의 미의식(美意識)과도 불가분한 음악적 용어이다[17].
넷째, 음역은 소리의 범위로 목소리나 악기가 낼 수 있는 범위를 지칭하는데 대부분의 악기는 지정된 음역대가 있으며 이론적으로 음역에 한계가 없는 악기도 실질적인 음역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가온다(Middle C, 피아노의 중앙에 있는 C음) 음을 기준으로 옥타브 위, 아래로 표기하였다[18].
다섯째, 셈여림의 대조는 음악의 표정이나 성격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피아노(piano; 여리게)와 포르테(forte; 세게)가 기본이며 각각의 머리글자를 따서 pp, p, ƒ, ƒƒ 라고 쓰며, 메조(mezzo; 조금)을 첨가하여 mp, mƒ로 적는다[19].
여섯째, 전체적인 음악적 흐름을 파악 하기 위해 악기편성을 살펴보았다. 이는 크게 독주 악기, 실내악, 오케스트라 편성 또는 특징 있는 악기편성(재즈, 팝) 등으로 나누어진다.
3.2 NP단계에서의 OST 분석
이 절에서는 미녀와 야수, 알라딘, 타잔, 업 등의 4작품의 OST에서 앞 절에서 설명한 6가지 음악적 요소로 분석하여 프로세스 별 특징 및 공통점을 찾아낸다. 17가지 분류 중에서 4작품 모두 OST를 포함하는 프로세스가 ‘최초의 상황’, ‘주체 대상’, ‘행위 주체’, ‘근본 대치’, ‘근본 지배’, ‘근본 획득’, ‘영광 대치’, ‘완수된 사명’ 등 모두 8개임을 Table 2로 알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주로 그것들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Table 8은 ‘최초의 상황’에 대한 분석 결과이다. 미녀와 야수의 최초의 상황에서는 OST 1번인 ‘Prologue’라는 음악이 g minor 조성으로 시작되는데, 이는 애니메이션의 통상적인 밝은 분위기와는 대조적으로 앞으로 전개될 갈등의 복선역할을 한다. 또한 사운드 요소로는 대사를 주로 사용하는 내레이션 중심곡이며, 3 옥타브의 음역 대를 가지고 있다. 전체적으로 어두운 단조의 배경음악을 오케스트라 편성의 악기로 연주하는데 이는 불안한 갈등 요인을 여러 종류의 악기 편성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mf의 셈여림은 절대적으로 강하지 않기 때문에 최초의 상황 스토리에 걸맞게 시작하는 단계의 전제된 상황을 함축적로 전달하려는 음악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Table 8.The Analysis Results of ‘First Circumstance’
알라딘의 OST 1번인 ‘Arabian Nights’과 타잔의 OST 1번인 ‘Two Worlds’은 각각 a minor의 아라비아 음계를 사용하고, 북을 중심으로 하는 d minor 악기편성으로 minor조성의 단조풍의 OST가 해피엔딩의 결말을 최초의 상황으로 시작하는데 흥미로운 반전요소를 가지는 뒷받침이 된다.
업의 OST 1번인 ‘Up with title’은 빅밴드를 구성한 Old Jazz풍의 주제곡을 E flat Major 의 조성으로 에코 트럼펫의 사용과 함께 어린 시절 과거의 분위기로 시작되는 스토리에 대한 표현을 음악으로도 전개한다.
Table 9는 ‘주체 대상’에 대한 분석 결과이다. 미녀와 야수의 OST 2번인 ‘Bell’, OST 3번인 ‘Reprise’와 알라딘의 OST 3번인 ‘One Jump Ahead’, OST 5번인 ‘Reprise’은 사운드 분석에서 캐릭터가 직접 노래를 부르며 표현하는 노래음악 형식으로 자신의 성격이나 상황, 욕망을 OST 내에서 직접 표현하고 있다. 또한 타잔의 OST 3번인 ‘Son Of Man’은 타이틀과 배경음악의 노래 가사인 “Oh, the power to be strong and the wisdom to be wise, all these things will come to you in time”로서 타잔의 욕망을 직접적으로 나타낸다. 업에서는 악기 편성별 분석에서 짧은 오케스트라 전주 선율 후에 피아노와 트럼펫 솔로파트를 삽입함으로서 마치 캐릭터를 악기로 표현하듯 사용한다. 심플한 피아노 반주 코드와 복고풍의 에코 트럼펫 소리를 6음의 좁은 음역대 안에서 표현한 것 역시 어린 시절 소년, 소녀 캐릭터의 욕망을 관객에게 아름답게 전달하고자 하는 음악적인 뉘앙스를 엿볼 수 있다.
Table 9.The Analysis Results of ‘Subject-Object’
Table 10는 ‘행위 주체’에 대한 분석 결과이다. 미녀와 야수에는 OST 4번인 ‘Gaston’과 OST 5번인 ‘Reprise’의 두 곡이 있는데, Gaston의 경우 직접 부르는 노래와 가사를 통해 욕망하는 대상에 대한 본격적인 행동을 발신하는 표현이며 Reprise는 보다 욕망을 강조하고 있다.
Table 10.The Analysis Results of ‘Act Subject’
특히 이 부분의 셈여림 역시 ƒ로 Gaston의 강한 욕망을 OST를 통해 알 수 있다. 알라딘의 OST 15번인 ‘Jasmin Runs Away’는 제목과 조성(g minor)으로서 Jasmin이 원하는 미래에 대한 불안한 마음을 OST로 표현한다. 타잔의 OST 11번인 ‘Moves Like An Ape, Look Like A Man’은 첫 소절 부터 연주되는 북의 타악기 소리와 e minor의 단조 멜로디 선율로 타잔의 문명에 대한 호기심을 표현하며 이것은 타잔이 새로움에 대한 대상을 추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업의 OST 4번인 ‘Carl Goes Up’은 오케스트라의 악기 편성과 함께 높은 음역대의 플롯, 바이얼린을 가지고 멜로디를 반복한 후 3 옥타브의 넓은 음역대에 걸쳐 연주함으로서 업의 대표적 장면인 풍선집이 하늘로 올라가는 장면을 OST로 보다 풍만하고 화려하게 표현하였다.
Table 11은 ‘근본 대치’에 대한 분석 결과이다. 미녀와 야수의 OST 7번인 ‘Something There’과 알라딘의 OST 9번인 ‘A Whole New World’는 서로 사랑을 나누는 장면에서 애니메이션 OST를 통한 감정의 적극적인 표현으로 캐릭터가 직접 번갈아가며 노래하며 가사로서 캐릭터가 느끼는 내용을 보다 직접적이고 감성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조성도 두 애니메이션 모두 Major로서 각각의 분위기를 보다 밝고 풍만하게 표현하며 특히 알라딘의 경우 D Major에서 F Major로 전조하여 감정의 몰입과 사랑의 대상을 획득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발신을 보다 높은 음역대에서 화려하게 표현하고자 한다.
Table 11.The Analysis Results of ‘Principal-Confrontation’
그에 반해 타잔과 업은 또 다른 근본대치의 특징으로서 본격적으로 시련을 대치하며 스토리를 전개하고자 하는데 타잔의 OST 10번인 ‘A Wondrous Place’는 a minor 조성과 mƒ의 셈여림으로 앞으로 다가올 갈등상황을 예고하는 음울한 단조 분위기를 나타내고 있으며 업의 OST 13번인 ‘Escape From Muntz Mountain’은 긴장감 조성을 위한 현악기와 관악기, 타악기를 사용하여 ƒƒ의 빠른 템포 형식의 무음계적 멜로디를 연주한다.
Table 12은 ‘근본 지배’에 대한 분석 결과이다. 주인공의 갈등을 심화시키는 ‘근본 지배’에서는 미녀와 야수의 OST 10번인 ‘Beauty And The Beast’로 사랑이 깊어지는 스토리를 OST를 통해 표현하며 조성을 D♭ Major에서 E♭ Major로 변화시켜 장면의 분위기를 심화시킨다. 알라딘의 OST 18번인 ‘Aladdin's Word’와 타잔의 OST 13번인 ‘One Family’는 대사와 음악을 사운드 요소에 같이 넣어 OST 타이틀과 함께 알라딘과 타잔의 고민을 심화시키는 역할을 하고있다. 업은 먼츠가 캐빈을 포획하는 스토리상의 적대자가 우위에 있는 장면으로써 조성이 C Major에서 b♭ minor로 갑자기 변화하여 빠른 템포(♩=120)와 셈여림(ƒƒ)으로 OST 음악으로도 강하게 표현하고자 한다.
Table 12.The Analysis Results of ‘Principal-Domination’
Table 13은 ‘근본 획득’에 대한 분석 결과이다. 근본 획득 프로세서에서는 주체자와 적대자의 두 가지 측면에서 OST를 분석하게 된다. 미녀와 야수의 OST 13번인 ‘The Beast Lets Belle Go’는 벨이 자유를 얻게 되면서 주제곡인 OST 10번, ‘Beauty and the Beast’의 멜로디를 변주하여 주체자(벨)의 획득 표현에 만족감을 변주된 음악에서 보통 감정과 조금 다르게 표현하고자 한다. 템포(♩=88)와 셈여림(mƒ)은 적당하게 상용하되 마지막 음을 A음으로 사용함으로써 다음에 오는 야수의 갈등을 복선화하였다.
Table 13.The Analysis Results of ‘Principal-Acquisition’
같은 측면에서 타잔의 OST 12번인 ‘The Gorillas’에서는 제인에게 가기로 한 타잔을 템포(♩=69)로 평안함을 표현하지만 타잔이 갇히게 되는 장면의 불안감을 복선화하여 minor로 표현한다. 적대자 측면에서 음악도 같은 유형을 보이는데 알라딘의 OST 10번인 ‘Jafar's Hour’은 적대자(자파)의 나쁜 캐릭터 성향을 살려 셈여림(ƒƒ)의 관악기(트럼펫, 호른)의 사용으로 a minor의 적대자 위주의 분위기를 알 수 있다. 업의 OST 14번인 ‘Giving Muntz The Bird’에서도 적대자(먼츠)의 우위를 템포(♩=127)로 빠르게 표현하고 단조의 선율위에 a-c-e-a♭-g 음의 반복 사용과 타악기를 ƒƒ로 표현하여 관객으로 하여금 나쁜 캐릭터에게 적대하는 것을 동일시 해주는 역할을 한다.
Table 14는 ‘영광 대치’에 대한 분석 결과이다. 음악적으로도 절정에 이르는 클라이막스 부분으로 스토리상으로는 주체자와 적대자의 대결 장면이 다이나믹하게 연출된다. 이 프로세서 단계에서는 공통적으로 변화 없이 minor 조성으로 전체적인 선율을 이끌어 가지만 간간히 다이나믹을 주기 위해 빠른 템포의 Major 선율이 등장하기도 한다. 모든 애니메이션에서 셈여림이 ƒƒ로 아주 역동적인 분위기가 지배적이며 특징적으로 업에서는 단조 조성에서 무조음계를 삽입하여 멜로디가 불안정하게 함으로써 스토리 갈등의 최고조를 표현하고 있다.
Table 14.The Analysis Results of ‘Glory-Confrontation’
Table 15은 ‘완수된 사명’에 대한 분석 결과이다. 마지막 단계인 17번째 프로세서에서는 애니메이션의 주제곡인 미녀와 야수의 OST 10번, ‘Beauty and The Beast’, 알라딘의 OST 9번인 ‘A Whole New World’, 타잔의 OST 13번인 ‘One Family’, 업의 OST 2번인 ‘We're In The Club Now’ 등을 다시 변주곡화 하여 미녀와 야수의 OST 15번인 ‘Transformation’, 알라딘의 OST 20번인 ‘Happy End In Agrabah’, 타잔의 OST 14번인 ‘Two Worlds Finale’, 업의 OST 21번인 ‘The Ellie Badge’ 등을 삽입한다.
Table 15.The Analysis Results of ‘Accomplished Mission’
이것은 각 스토리의 결말을 주체가 원하는 대상을 획득하는 것으로 하여 주제곡의 멜로디를 또 한 번 반복함으로써 확실하게 해피엔딩이라는 결말을 관객에게 강조시킬 수 있다. 또한 원곡의 템포보다 조금 더 빠른 템포로 표현한 미녀와 야수, 알라딘, 타잔에 비해 업은 템포(♩=93에서 ♩=30으로)를 확연히 느리게 표현하여 관객으로 하여금 기쁨보다는 감동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OST의 의도를 알 수 있다. 이제까지 각 8개의 프로세스마다 삽입되어있는 OST를 6가지 음악 요소로 분석해 보았다.
Table 16은 지금까지의 분석을 전체적인 관점에서 정리한 것으로 애니메이션 4작품별 공통된 음악적 요소의 분석 결과를 정리하였다.
Table 16.Characteristics of Common Musical Elements for Each NP
애니메이션에는 17개의 NP가 있다. 이 중 연구대상인 4 가지의 애니메이션에 모두 OST가 나타나는 NP의 수(NPsel)는 8이다. 선택된 각각의 NP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는 총 6가지의 음악 요소개수(Number of Musical elements; Me=6)에 대하여 Table 8-Table 14를 참조하여 조사하였다. 그 중 i번째 NP에서 공통된 성질의 음악요소가 존재하는 경우에 대하여 그 개수를 Ci라 할 때, 그 비율 RCi는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 전체 NP에 대한 평균 공통음악요소 비율(MC)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i=1,2,3,10,11,12,14,17 이므로, 본 실험에서 MC=33.3%이다.
위 33.3%에 속하는 공통음악요소와 성질들을 Table 16에 정리하였다. ‘주체 대상’ NP에서는 사운드 한 요소만, ‘영광대치’ NP에서는 셈여림, 조성, 사운드 세요소가 공통이고 그 외 나머지 NP는 모두 두 가지의 공통된 요소를 보이고 있다.
음악적 요소 동질성(CRME; Common Property of Musical Elements)은 위 33.3%의 공통된 음악요소가 각 애니메이션의 NP에서 얼마나 부합되는가를 나타낸다. 즉, 선택된 i번째 NP에서 CPMEi 값은 4편의 애니메이션 중 몇 개의 애니메이션이 본 논문에서 발견된 공통음악요소를 가지고 있는지를 의미하며, 그 전체평균(mCPME)은
이며, 여기서 i=1,2,3,10,11,12,14,17이고, 그 실험결과 값은 71.9%였다.
또, 분석결과를 보면 많은 공통적 음악 요소뿐만 아니라 그것에 해당되는 스토리적 특징 또한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최초의 상황’에서는 해피엔딩의 반대되는 요소로 관객 흥미 유발하고, ‘주체 대상’에서는 캐릭터 소개, 성향분석, 욕망표현 등의 내용이 있고, ‘행위 주체’에서는 사건을 전체적으로 스토리화하여 전개해 나가고, ‘근본 대치, 근본 지배, 근본 획득’에서는 갈등의 전단계로 갈등을 점차적으로 고조시키고 있으며, ‘영광 대치’에서는 클라이막스로써 역동적이며 불안정한 OST들이 나오며, 마지막 ‘완수된 사명’에서는 해피엔딩으로 마무리 되는 공통된 특징이 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프로세스별 OST의 음악적 요소들의 특징들이 각 프로세스마다 가지고 있는 분류 모델의 성향과 부합되어 각 애니메이션을 대하는 관객에게 보다 큰 몰입도를 줌과 동시에 스토리에 대한 확실성을 부각하고자 하는 특징을 보인다.
4. 결 론
애니메이션의 성공적 제작과 제작의 효율화를 위한 여러 연구가 있었다[20-23]. 본 논문에서는 애니메이션의 감동을 극대화하는 OST가 영화의 스토리 전개에 있어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어떤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지 분석해 보았다.
기존의 OST 관련 연구는 영상과 사운드의 전반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6] 또는 특정 한 영상에 대해 정해진 사운드를 깊이 있게 분석하는 연구인데[7-9], 각각 너무 추상적이거나 편협적이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실제로 애니메이션 각각의 단계마다 OST는 영화 표제음악으로써의 기능을 제대로 감당해야 한다.
분석 대상으로 미녀와 야수, 알라딘, 타잔, 업 등의 4작품을 선택하였고, 성봉선의 NP 분류 모델 [1]을 도입, 그에 따라 각각의 애니메이션을 17개의 Narrative Process (NP)로 분류하였다. 서로 다른 애니메이션에서 각 OST가 동일 목적의 스토리 전개를 위한 음악적 공통점과 차이점, 그 의미들을 각각의 NP에서 발견하고자 비교 연구하였다. 선정된 4편의 애니메이션에 모두 OST가 나타나는 NP는 8개이므로 이들만 비교대상으로 정하였다.
객관적 음악적 요소에는 사운드, 조성, 템포, 음역, 셈여림, 악기편성 6가지가 있으며, 이들이 선택된 8개의 NP에서 어떤 특성을 지니는지 조사해 보았다. 전체 음악요소 중 33.3%에는 공통음악요소가 있음을 발견하였고, 그 중 71.9%는 Table 17처럼 음악 요소의 공통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본 논문은 처음으로 계열체적 분석을 시도한 것으로 8개의 NP에서 객관적인 음악적 요소의 스토리전개상의 유의미한 공통점들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를 더 발전시켜 나가면, 차이점에 대한 해석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근본 대치. 지배, 획득의 NP에서 대부분 템포 62로 감동을 표현하는 곳이 공통적이지만, 기쁨을 표현하기 위하여 UP에서는 템포 127를 사용하고 있다. 즉, 지금까지는 음악적 요소가 각각의 서로 다른 스토리에서 자유분방하게 사용되어 도무지 공통점과 차이점 및 그 의미 발견할 수 없었으나, 본 논문을 발전시켜 나간다면 NP에 따른 객관적인 음악적 요소와 같은 사용 가능한 법칙을 더 발견하며, 그것이 NP에 미치는 영향을 더 알아낼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이러한 결과들은 향후 NP의 동기에 따른 OST 작곡의 객관적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 더 다양한 애니메이션 작품에서 더 다양한 분석을 통해 OST 음악의 요소가 관객의 정서와 인지 사이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NP와 OST, 그리고 비주얼 스토리텔링의 상관관계도 밝혀내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References
-
B. Kang, A Study on BGM Application for Effective Empathy About the Animation
, Master's Thesis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2008. - B. Sung, M. Kim, and J. Kim, "Classification Model of the 17 Functional Program Narrative of Anim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Vol. 26, No. 1, pp. .213-229, 2013.
- M. Kim, A Study on Communications between Movie Director and Music Director in Movie Directions, Master's Thesis of Hanyang University, 2011.
- M. Song, "Analysis of Relation between Animation Film and Sound for Communications," Digital Design Research, Vol. 9, No. 9, pp. 71-80, 2005.
- The Information of the OSCAR Awards, http://oscar.go.com/ (accessed Feb., 2014).
-
B. Kim and J. Horner, A Study on Musical Characteristics in OST-About the Film
and , Master's Thesis of Ewha University, 2010. -
Y. Lee, "About the Formal Relations between Film and OST-About the Film
," Music and Race, Vol. 40, No. 40, pp. 257-288, 2010. -
S. Kim, Creative Thinking and Asking using Films-About the Film
, Humanities Research Center of Sungshin Women's University, 2014. -
D. Jung, Analyses on Works of Miyajaki Hayao, An Animation Author-About the
, Master's Thesis of Kyung Hee University, 1999. - S. Yoon, Study on Analysis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me Music of J ohn Williams, Master's Thesis of Ewha University, 2010.
-
H. Choi, Study on Film Music using the Mickey Mousing Method-About the
, Master's Thesis of Sang Myung University, 2009. - D. Yeom, "Study on Objectivity through the Characters of the Simps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Vol. 21, No. 21, pp. 1-17, 2010.
- The Information of the Box Office Ranks, http://www.imdb.com/boxoffice/alltimegross?regi on=world-wide (accessed Feb., 2014).
- A.J. Greimas, Semantique Structurale, Seuil Pub., Paris, 1966.
- Anne Henault, J. Hong(Translation), General Semiotics, Munhak and Jisung, Seoul, 2003.
- Movie and Media Music, Communications Books, Seoul, 2013.
- Popular and Classic Music Term Dictionary, Samho Music, Paju, 2002.
- H. Kim, Audio Term Dictionary, Saenyeok, Seoul, 2013.
- New Good Music, Samho Music, Paju, 2012.
- Y. Lee and J. Kim, "A Study on The Step of Anthropomorphizing Animal Characters in Animations,"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12, No. 11, pp. 1661-1670, 2009.
- G. Kang, S. Hong, and J. Kim, "Character Facial Animation Retargeting based on SVG,"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14, No. 6, pp. 824-834, 2011. https://doi.org/10.9717/kmms.2011.14.6.824
- T. Park and J. Kim, "Automatic facial expression generation system of vector graphic character by simple user interface,"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12, No. 8, pp. 1155-1163, 2009.
- H. Jeong, J. Lee, and J. Kim, "Automatic Color Transformation of Characters Between 2D Animation Scenes Using Neural Network,"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11, No. 9, pp. 1286-1295, 2008.
Cited by
- 내러티브 17 프로세스에 의한 영상 스토리텔링 분석 모델 vol.20, pp.9, 2014, https://doi.org/10.9717/kmms.2017.20.9.1596
- 모션 벡터의 각도 성분 추정을 통한 카메라 움직임 검출 vol.21, pp.9, 2018, https://doi.org/10.9717/kmms.2018.21.9.1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