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Density of the Joint Research Network between Countries on Technology Diffusion: focusing on the case of secondary battery and the electric vehicle field

국가 간 공동연구 네트워크 밀도가 기술 확산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차전지, 전기자동차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 정대현 (성균관대학교 기술경영학과/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권영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홍순기 (성균관대학교 기술경영학과) ;
  • 조근태 (성균관대학교 기술경영학과)
  • Received : 2014.07.23
  • Accepted : 2014.09.16
  • Published : 2014.09.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a joint research network between countries affects the diffusion of technology information and how much countries with high centrality on the network accept new technology and to seek their meaning. With this aim, the joint research network density between countries by year and the number of participating countries were measured using thesis information regarding the secondary battery field and the electric vehicle field, and a regression analysis of relevant variables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greater the joint research network density in the secondary battery field, the higher the number of participating countries in a linear relationship. Also, on the joint research network, countries with high degree centrality were discovered to have led development in the mid to large size secondary battery field. Meanwhile, for the electric vehicle field, although there appeared no increase in the network density value, the number of participating countries was found to have increased. This was analyzed that joint research between countries was not a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although it played a crucial role in promoting technology diffusion. Such a result is meaningful in that it verified promoting factors for essential technology diffusion statistically; however, with this research, there exist limitations that the index of a central role on the network was measured only with degree centrality and that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players was measured for network density in interactions between player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research into a method to measure interactions among multiple researcher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국가간 공동연구 네트워크가 기술 지식의 확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와 네트워크 상에서 중심성이 높은 국가가 새로운 기술을 얼마나 받아들이는지 분석하고 그 의미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이차전지 분야와 전기 자동차 분야 논문 정보를 이용하여 연도별 국가간 공동연구 네트워크 밀도와 참여국가 수를 측정하고 변수간의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이차전지 분야 공동연구 네트워크 밀도가 증가할수록 참여국가 수는 선형관계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동연구 네트워크 상에서 연결정도 중심성이 높은 국가들이 중대형 이차전지 분야 개발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전기 자동차 분야의 경우, 네트워크 밀도값은 증가 추세가 나타나지 않지만, 참여국가 수는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술 확산을 촉진하는데 있어서, 국가간 공동연구가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필요충분 조건은 아닌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술 성장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기술 확산을 촉진하는 요인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네트워크 상에서 중심적 역할에 대한 지표를 연결정도 중심성 만으로 측정하였다는 점과 네트워크 밀도가 행위자간 상호작용에 있어서 반드시 두 행위자간 관계만을 측정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향후 다수의 연구자간 상호작용을 측정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B. M. GUPTA, PRAVEEN SHARMA, C. R. KARISDDAPPA, "Growth of Research Literature in Scientific Speciallities. A Modelling perspective," Scientometrics, Vol.40, No.3, pp.507-528, 1997. https://doi.org/10.1007/BF02459297
  2. J. S. Kang, H. J. Lee, Y. H. Moon, and S. H. Oh, "Measurement of Diffusion Rates for Fuel Cell Technologies through Adoption Diffusion Model using Bibliometric Analysis," INFORMATION, Vol.13, No.3, pp.983-995, 2010.
  3. C. Oppenheimer, Do patent citations count?, In: The web of knowledge: A Festschrift in Honor of Eugene Garfield, ASIS., 2000.
  4. V. KUMAR and U. KUMAR, "Innovation diffusion: some new technology substitution models," Journal of Mathematical Sociology, Vol.17, No.2, pp.175-194, 1992. https://doi.org/10.1080/0022250X.1992.9990105
  5. S. P. Borgatti, "In Dynamic Social Network Modeling and Analysis," Workshop Summary and Papers, p.241, 2003.
  6. 손동원, 사회네트워크 분석, 경문사, 2010.
  7. J. Scott, Social Network Analysis A Handbook, Communication Books, 2012.
  8. 양승돈,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활용한 민간경비 분야의 연구 경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894-901,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894
  9. 유병국, 김순홍, "소셜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마케팅 전략",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pp.396-407,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5.396
  10. 박순주, 권민아, 백민주, 한나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5호, pp.289-297, 2014.
  11. T. W. Valente and E. M. Rogers, "The origins and development of the diffusion of innovations: paradigm as an example of scientific growth," Science Communication, Vol.16, No.3, pp.242-273, 1995. https://doi.org/10.1177/1075547095016003002
  12. J. S. Coleman, E. Katz, and H. Menzel, Medical nnovation: A Diffusion Study, Bobbs Merrill., 1966.
  13. M. Granovetter, "The strength of weak ti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78, No.6, pp.1360-1380, 1973. https://doi.org/10.1086/225469
  14. 황규희, 주인중, 고병열, 특허분석을 이용한 미래 숙련수요 분석-산업융합으로서의 자동차 이차전지 부분을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