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ative Analysis of Elementary Teachers' Professionalism in Gifted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Personal Variables

초등영재 담당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영재교육 전문성 비교 분석

  • Received : 2014.02.19
  • Accepted : 2014.04.10
  • Published : 2014.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ompare the professionalism of elementary teachers in charge of teaching the science-gifted children, based on their personal variables, such as gender, educational career in normal class and gifted class, training in gifted education, academic degree, etc.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as modified by referring to Choi's survey, and conducted to 98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gender, the average of male teache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average of female teachers in their professionalism in gifted education. Regional difference was found in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however, showed different aspects in the sub-domain.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in accordance with the career in education was no difference. In gifted education career, professionalism increased as high career in gifted education, especially, more than three years. As better educated, teachers' professionalism in responsibility and philosophical understanding for gifted education was increased significantly.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the degree of training related to gifted education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verall, 'responsibility and philosophical understanding' and 'humanities-oriented quality' for gifted education were not greatly affected by teacher's personal variables in this study. Based on conclusions,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ir professionalism in gifted education were discussed.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과학영재를 담당하는 영재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영재교육 전문성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교사의 개인변인은 성별, 근무지역, 교육경력, 영재교사경력, 최종학력, 영재교육 직무연수의 정도로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인천과 경기지역에서 초등과학영재를 지도하는 영재교사 98명이며, 영재교육 전문성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 도구는 최남구(2011)가 개발한 것을 토대로 사용하였다. 영재교육 전문성의 하위 영역은 '철학적 이해와 사명감', '전문적 자질', '인성적 자질'이며, 전문적 자질은 다시 3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져 있다. 개인변인에 따른 영재교육 전문성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에서는 전문적 자질에서 남교사의 평균이 여교사의 평균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근무지역에 따른 영재교사의 영재교육 전문성에서는 지역간에 차이가 있었지만, 하위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를 보였으며, 교육경력에 따른 영재교사의 영재교육 전문성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영재교육경력에서는 경력이 3년 이상은 되어야 전문성이 유의하게 높아졌으며,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전문적 자질과 인성적 자질에서 유의하게 전문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교육과 관련된 연수를 이수한 정도에 따른 영재교사의 영재교육 전문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연수를 경험한 횟수가 많을수록 평균은 높았다. 전체적으로 영재교육 전문성의 하위 영역인 '철학적 이해와 사명감'과 '인성적 자질'은 본 연구에서 분석한 교사의 개인변인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