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ediating Effects of Couples Communication on the Relations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among Married Women

기혼여성의 자아분화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부부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김향순 (화성시건강가정지원센터) ;
  • 김순덕 (화성시건강가정지원센터) ;
  • 구명이 (화성시건강가정지원센터)
  • Received : 2014.07.01
  • Accepted : 2014.08.05
  • Published : 2014.08.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couple communication on self-differenti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among married women. The ANOVA, correlation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those variables. The results revealed that self-differentiat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marital satisfaction. Also, couple communication was revealed to be a partial and full mediator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couple communic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Marital satisfaction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socio-economic variables such as educational level, occupation, family income, and the years of married life. Educational level and family income made differences in couple's communication. However, socio-economic variables did not make any difference with regard to self-differentiation.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all sub-factors for self-differentiation, whole self-differentiation, married couples' communic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Third, the result shows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couple communication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Couple communication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vs. emotional function, family projection, emotional cutoff, and marital satisfaction. It also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egression and marital satisfaction. In addition, there was a tendency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self-differenti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self-differentiation and couples communication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when explaining marital satisfaction among married women. Also, the results implied the importance of the increased self-differentiation and the better couple communication in women's marital satisfaction. Finally, this research suggested the necessity of counseling services to enhance the self-differentiation as well as couple communication programs for the marital satisfaction of women.

Keywords

References

  1. 강기연(2000). 맞벌이 부부의 공평성인지.의사결정참여 및 가정생활만족도: 사무직, 관리.전문직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차선(2006). 부부의사소통방식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강옥례(2003). 맞벌이 부부의 가족 내구력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포항시 지역 맞벌이 남녀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강해순(2011). 부부간 의사소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벤처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고미혜(2011). 가부장적 태도 노년기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효율적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고정애(2004). 기혼여성의 성만족 및 일반적의사소통과 성관련의사소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고현선(1994). 부부의 자아분화가 부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공성숙(2006). 일반 부부와 부부클리닉 방문부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간호학회지, 15(4), 434-445.
  9. 구혜진(2002). 맞벌이 부부의 역할 강등과 부부의사소통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권정혜.채규만(1998). 한국판 결혼만족도 검사의 표준화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 98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5-51.
  11. 금온순(1996). 자아분화수준이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경자(2004). 기혼남녀의 원가족 경험과 자아분화가 가족체계기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김남진(2005). 자아분화수준이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대영(2007). Satir의 의사소통유형, 자아존중감 및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정치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명희.최연실(2007). 중년기 기혼남녀의 부부의사소통과 부부친밀감이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3), 1-23.
  16. 김미정(2011). 부모의 자아분화 수준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의 관계. 국제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김병화(2013). 부부의 자아분화가 가족분화와 결혼만족도 및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김소영(2003). 개인특성 및 의사소통에 따른 부부 적응관계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김수연(2001). 기혼여성의 자아분화와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김요한(2009). 근거이론을 적용한 이혼소송과정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21(2), 559-583.
  21. 김은주(1979). 도시부인의 직업 및 가정생활에 대한 일고찰.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김정숙(2009). 부부의 자아분화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갈등 대처행동, 의사소통유형의 매개효과와 배우자 지지의 조절효과.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김정자.김경연.김성희.정영숙.심혜숙.최원철.최순.문소정(1988). 한국 기혼여성의 일상적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II). 대한가정학회지, 36(12), 87-104.
  24. 김진분(2006). 군인부부의 의사소통과 직업만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김화자(1990).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부부의 의사소통 효율성과 결혼 만족도에 관한 연구: 국민학교, 중, 고등, 대학교의 학부모를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김희진(2004). 결혼초기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 개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도미향.최외선(1990). 비전문직 취업주부의 결혼적응과 부부간 의사소통양식 및 그 상호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8(2), 69-85.
  28. 박경숙(2009).어머니의 의사소통을 통해 본원 가족의 가족규칙과 부부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진주산업대학교 벤처창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박민지(2006). 부부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원가족 분화수준과 가족규칙 및 부부의사소통.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박선민(2004). 부부의 자아 존중감과 가족규칙의 정도에 따른 가족의사소통 효율성.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박수선(1996). 주부의 취업여부에 따른 자아 분화수준과 결혼만족도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박은희(2011).부부의 자아분화가 갈등대처방식과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박지영(2010). 자아분화가 결혼만족도와 부부 갈등해결양식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박지은(2011). 부부의 자기분화수준에 따른 부부갈등대처방식에 관한 배우자 의사소통의 영향력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박태영(2001). 발달장애아동 자녀를 둔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관한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7, 113-137.
  36. 백경숙 (2011).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태도와 결혼만족이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6(2), 181-198.
  37. 송정아(1995). 중년기 부부관계향상을 위한 프로그램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3), 113-1331.
  38. 안소영(1990). 결혼만족도와 이혼태도의 사회 인구학적 변수에 따른 분석: 강릉지역을 대상으로.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오현주.최승미.조현.권정혜(2012). 회피애착이 신혼기 부부의 결혼만족에 미치는 형향: 자존감 및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한국가족치료학회, 20(3), 525-546.
  40. 유옥(2010). 결혼생활 만족도 증진을 위한 신혼기 부부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효과검증. 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1. 유희남.김영희(2011). 원가족 분화경험이 기혼여성의 자아분화와 부부갈등대처행동 및 부부친밀감에미치는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9(3), 141-158.
  42. 윤수란(2013). 한국 기혼자의 기본 심리욕구 충족과 배우자와의 의사소통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이경화.김경혜(2006). 중학생 자녀가 지각하는 아버지의 자녀양육태도가 어머니의 결혼 만족도와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방과후 아동지도연구, 3(1), 77-88.
  44. 이명옥.하정희(2007). 자아분화와 결혼적응의 관계: 우울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12(4), 519-535.
  45. 이소미.고영건(2009). 자아분화가 결혼적응에 미치는 효과: 갈등대처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28(3), 643-658.
  46. 이유진(2012). 기혼여성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 원활성, 부부갈등 긍정적 대처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이은희(2011). 결혼에 대한 기대와 실제 간의 차이와 부부간 의사소통이 결혼초기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이종선(2001). 부부의 개인특성, 의사소통방식, 결혼만족도가 부부폭력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이지민(2013).20-30대 기혼여성의 원가족 분화경험, 부부의사소통 및 부부친밀감이 가족 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6), 23-38.
  50. 임유진(2007). 원가족부모와 애착 및 심리적 독립이 신혼기부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장은경(2001). 부부간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2. 장하용.김지애(2009). 주부의 성격과 스트레스가 가족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peech & Communication, 11, 124-156.
  53. 전미영(1992). 중환자의 정서적 반응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4. 전춘애.박성연(1994). 부부의 자아분화수준과 출생가족에 대한 정서적 건강지각이 결혼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2(4), 117-133.
  55. 정병철(1991). 부부의 의사소통 효율성과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6. 정해인(2012). 성장기 부모화 경험이 낭만 애착에 미치는 영향;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7. 정현숙(2009). 부부의 자아분화 수준과 의사소통 및 성적 친밀감 연구.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8. 제석봉(1989). 자아분화와 역기능적 행동과의 관계: Bowen의 가족체계이론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9. 조소희(2008). 기혼남녀의 원가족 경험과 자기분화가 핵가족 관계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0. 조유리(2000). 부부갈등 및 갈등대처행동과 결혼만족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1. 조은경. 장혜정(2002). 기혼남녀의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갈등대처 행동 및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1), 1-6.
  62. 최규련(1993). 한국도시부부의 결혼만족도 요인에 관한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3. 최규련(2008). 행복한 결혼생활을 위한 부부 대화법. 서울 : 신정.
  64. 최규련(2013). 협동적 결혼기술 프로그램의 효과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 (2), 3-21.
  65. 최은경(2008). 기혼여성의 배우자 선택방법에 의한 결혼만족도. 배재대학교 국제통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6. 하상희(2007). 부모와 자녀세대의 원가족 건강성이 대학생자녀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6(2), 115-132.
  67. 한영숙(2007). 부부의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6(2), 259-272.
  68. 허윤정(1997). 부부관계유형에 따른 결혼만족도연구: 의사소통과 갈등해결방식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9. 황종귀(2009). 기혼남녀의 결혼만족도와 안정성에 관련된 요인. 한국생활과학회지, 18(4), 825-840.
  70. 통계청(2011). 이혼통계조사. 통계청.
  71. Baron, R. M. & Kenny, D. A.(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72. Bowen, M.(1978). On the differentiation of self. Family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New York : Jason Aronson.
  73. Colman, J. C.(1984). Imtimate relationships, marrage, and family, Indianapolis, Indiana: The Bobbs-Merrill.
  74. Kim, M. & Choi, Y.(2007). The effects of marital communication and marital intimacy on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middle -aged married men an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5(3), 1-23.
  75. Lewis. R. A. & Spanier, G. B.(1979). The or zing about the quality and stability of marriage L.W.R, Burr et al, eds, Contemporary Theories About the Family. I.N.Y : Free Press.
  76. Patton, D. & Waring, E. M.(1984). The quality and quantity of marital intimacy in the marriages of psychiatric patients. Journal of Sex and Marital Therapy, 10(3), 201-206. https://doi.org/10.1080/00926238408405946
  77. Revenstorf, D. B., Vogel, C. W., Hahlweg, K. & Shindler, L.(1980). Escalation phenomena in interaction sequences: An empirical comparison of distressed and non distressed couples. Behavior Analysis and Modification, 4, 97-115.
  78. Rice, F. P.(1979). Marriage and parenthood. Boston : Allyne and Bacon.
  79. Skowron, E. A. & Friedlander, M. I.(1998). The differentiation of self inventory: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3), 235-246. https://doi.org/10.1037/0022-0167.45.3.235
  80. Ting-Toomey, S.(1983). An an analysis of verbal communication patterns in high an low marital adjustment group.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9, 306-319. https://doi.org/10.1111/j.1468-2958.1983.tb00701.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