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In this study, professional oral care was provided and 3 times a day twice a week by a dental hygienist for 3 months from July 24 to October 25, 2011, to 43 long-term patients in a single nursing facility located at the city of D, and the number of mutans strepococci colonies within the saliva and the level of salivation were then analyzed after 3 samplings with an interval of 1 month to compare the intraoral conditions among the subjects and examine the effects of professional oral care on the Streptococcus mutans population in the intraoral region of long-term patients in a nursing facility. The level of salivation was elevated from 5.8 ml to 6.4 ml after one month and to 7.5mL after two months. The population of bacteria decreased from $6{\times}10^8CFU/ml$ to $3{\times}105CFU/ml$. In terms of the change in the bacterial population in accordance with systemic diseases, the patients with hypertension and diabetes showed a meaningful decrease in the population. As more dental charge and prosthesis are present, the number of bacteria decreased significantly. On account of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a professional oral care and the population of Streptococcus mutans at the intraoral region of long-term patients in nursing facilities, various dental health programs should be researched and developed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long-term patients in nursing facilities and manage them continuously but effectively.
본 연구는 전문가구강관리가 요양병원 장기입원환자들의 구강내 Streptococcus mutans 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D광역시에 소재한 일개 노인 요양병원 장기입원환자를 대상으로 2011년 7월 24일 부터 10월 25일 까지 3개월간 연구대상자 43명을 대상으로 주 2일, 1일 3회 치과위생사가 전문가구강관리를 제공하고 1개월 간격으로 3회에 걸쳐 타액분비량과 타액 내 mutans streptococci 집락 수를 세어 구강건강상태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타액분비량은 관리 전 5.8 ml에서 1개월 후 6.4 ml, 2개월 후 7.5 ml로 증가하였고, 세균 수는 약 $6{\times}10^8CFU/ml$에서 2개월 후 약 $3{\times}105CFU/ml$로 20배 이상 감소하였다. 전신질환에 따른 구강관리 전후의 세균 수의 변화는 고혈압과 당뇨병이 있는 환자의 세균 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충전치아의 수와 고정성보철물의 수가 많을수록 세균 수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전문가구강관리는 요양병원 장기입원 환자들의 구강내 Streptococcus mutans 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요양병원 장기입원환자의 특성을 고려한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구강관리가 이루어지도록 구강보건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연구가 실시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