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vegetation analysis of Northern region at Jungnang riverside - Between two bridges of Wallgae 1 and Sangdo -

서울시 중랑천 북부구간 하천변 식생과 식물상 분석 - 월계1교에서 상도교 구간을 대상으로 -

  • Received : 2014.06.02
  • Accepted : 2014.07.25
  • Published : 2014.08.31

Abstract

After the modern industrial revolution, rivers in cities became covered and disappeared due to the pressure to develop them. Likewise, their function which is to serve as the basis of natural ecology system in the cities began to be damaged. This research demonstrated that there are a total of 268 categories when it comes to the list of plants, including 64 families, 179 genera, 230 species, 36 varieties, and 1 subspecies. When the relative abundance of the plants that were found at the target research site was studied, the secondary survey demonstrated Bromus japonicus 22.97,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16.76 and Erigeron annuus 15.69 while third survey demonstrated Digitaria ciliaris 26.78, Ambrosia trifida 16.29 and Aster pilosus 14.31. There were 54 species of naturalized plants that appeared. Analysis demonstrated annual plant 23 classification category (43%), perennial 11 classification category (20%), multi-perennation 17 classification category (31%), woody plant 3 classification category (6%) and others. When the naturalized plants that were found at the target research site were analyzed by the place of origin, North America and EU took up 76%, which accounts for 3/4 of the all the naturalized plants. At the target research site, naturalization degree of 5 pertained to 22 classification category (41%), which was the highest, followed by 19 classification category (35%) with naturalization degree of 3, 8 classification category (15%) with naturalization degree of 2 and 5 classification category (9%) with naturalization degree of 4 in the order mentioned. Flora of Jungnangcheon did not manifest any change compared to 10 years ago. Thu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of biodiversity efforts to improve SeoulCity's natural environment and cityscape.

근대 산업혁명 이후 도시 내 하천은 개발의 압력에 의해 점차 복개되고 사라져 도시 자연생태계의 기반이 되는 기능이 훼손되기 시작하였다. 중랑천 현지조사에서 조사지역내에 3회에 걸쳐 조사한 식물목록은 총 64과 179속 230종 36변종 1품종 1아종 등으로 총 268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연구대상지 출현식물의 상대 우점도를 분석한 결과 2차 조사에서는 참새귀리 22.97, 쑥 16.76, 개망초 15.89 등으로 나타났으며, 3차 조사에는 바랭이 26.78, 단풍잎돼지풀 16.29, 미국쑥부쟁이 14.31 등으로 조사되었다. 현지조사를 통해 연구대상지에 출현한 귀화식물은 총 54종이었다. 분석 결과 1년생 23분류군(43%), 2년생 11분류군(20%), 다년생 17분류군(31%), 목본 3분류군(6%) 등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귀화식물 생활형과 유사한 값을 보였다. 귀화식물을 원산지별로 분석한 결과 북미와 유럽의 귀화종 비율이 76%이상이었다. 귀화도 5가 22분류군(4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귀화도 3이 19분류군(35%), 귀화도 2가 8분류군(15%), 귀화도 4가 5분류군(9%) 순으로 조사되었다. 중랑천의 식물상은 아직도 10여년 전의 모습과 변화가 없다. 중랑천은 시민들을 위한 편의시설 확충과 수질개선은 이루어졌으나, 중랑천의 자연환경과 친수경관적 측면에서는 시급히 생물 다양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지리정보원. 2008. 한국지명유래집 중부편. 국토지리정보원.
  2. 김형국, 구본학. 2010. 청계천 복원 후 3년간 식물상 변화.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3(6): 107-115.
  3. 박수현. 2009. 세밀화와 사진으로 보는 한국의 귀화식물. 일조각. p.xxii.
  4. 박수현, 김영선, 김영화, 서문홍. 2000. 중랑천 수생식물조사 및 식물을 통한 하천복원 대안제시 보고서. 서울특별시의회.
  5. 안근영, 이은희. 2000. 자연형 하천 생태계를 위한 식생개선 방안 연구 - 중랑천을 사례로. 한국환경녹화복원기술학회지 3(2): 35-46.
  6. 이경보, 김창환, 이덕배, 김종구, 박찬원. 2004. 동진강의 식물상과 식생. 한국환경농학회지 23(1): 34-40. https://doi.org/10.5338/KJEA.2004.23.1.034
  7. 이영노. 1996. 한국식물원색도감. 교학사.
  8. 이유미, 박수현, 정수영, 오승환, 양종철. 2011. 한국내 귀화식물의 현황과 고찰. 한국식물학회지 41(1): 87-101.
  9. 이유미, 박수현, 정승선. 2002. 서울 중랑천의 식생구성과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3): 271-286.
  10. 이창복. 2006.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11. 이창숙. 1995. 중랑천변 환경변화에 따른 식물현황. 한국자연보존협회. 자연보존연구보고서. 14: 17-39.
  12. 임양재, 박기현, 심재국. 1982. 한국에서의 Raunkiaer 생활형의 지리적분포. 중앙대학교 기술과학연구소. 9: 5-20.
  13. 임양재, 전의식. 1980. 한반도의 귀화식물 분포. 한국식물학회지 23(3-4): 69-83.
  14. 환경부. 2006.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 환경부.국립환경과학원. pp.127-153.
  15. Curtis, J. T. and R. P. McIntosh.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3): 476-496. https://doi.org/10.2307/1931725
  16. http://www.bing.com/maps (Bing Map)
  17. https://maps.google.co.kr/ (Google Map)
  18. Kariyama, S. and H. Kobatake. 1988. Naturalized plants of Gagyu-zan, Takahashi-City, Okayama Prefecture, Japan. Bull. Kurashiki Mus. Nat. Hist. 3:31-40.
  19. Korean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y Society of Korea.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n National Arboretum, Pocheon. 534pp.
  20. Numata. 1975. Naturalized plants. Japan Society of Library. Tokyo.
  21. Raunkier, C. 1934.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Charendon Press, Oxford, 682pp.
  22. Sax, Dov F. and James H. Brown. 2000. The paradox of invasion. Global Ecology and Geography 9(5): 363-371. https://doi.org/10.1046/j.1365-2699.2000.00217.x

Cited by

  1. The Vegetation Analysis of Namgang Riverside, Jinju City vol.53, pp.2, 2014, https://doi.org/10.14397/jals.2019.53.2.39
  2. 진주시 영천강의 식물상 및 외래식물 분포와 관리방안 vol.108, pp.4, 2014, https://doi.org/10.14578/jkfs.2019.108.4.4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