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report of Guillain-Barre syndrome

Guilain-Barre Syndrome 환자에 대한 한방치료 1례

  • Huh, Gun (Dept of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Lee, Yu-Chen (Dept of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Lee, Jung-Min (Dept of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Oh, Min-Seok (Dept of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허건 (대전대학교 부속 둔산 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교실) ;
  • 이옥진 (대전대학교 부속 둔산 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교실) ;
  • 이정민 (대전대학교 부속 둔산 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교실) ;
  • 오민석 (대전대학교 부속 둔산 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교실)
  • Received : 2014.04.18
  • Accepted : 2014.07.08
  • Published : 2014.08.20

Abstract

Objective : This is clinical about the Wei syndrome(痿證)-patient diagnosed as Guillian-Barre Syndrome(GBS). GBS, What is called acute inflammatory plolyneuritis, is a disorder in which the body's immune system attacks parts of peripheral nerve system. It is characterized by the rapid onset of weakness, paralysis of the legs, arms, breathing muscles and face. But the analysis of CSF and electical tests on nerve and muscle function can be performed to confirm the diagnosis. Most cases occur shortly after a viral infection. Methods & Result : This is the clinical report about the one patient diagnosed as Guillain-Barre Syndrome. The patient, 46-year-old men had weakness in both legs and arms after divertculitis. His weakness and general condition improved after oriental medical treatment and acupuncture. As a result, symptoms were improved remarkably. Conclusion : We report that we had good effects of oriental medical treatment on Guillain-Barre Syndrome.

Keywords

References

  1. 조기현, 김명규, 리켓치아 감염 후 속발된 Guillain-Barre 증후군 2예. 대한신경과학회지. 11:112-116, 1993.
  2. 新谷太, 최일생 역. Pathophygiology로 이해하는 대과학. part 10 신경질환. 서울: 정담출판사. pp.260-2, 2002.
  3. 심재철, 김종원, 김민상, 오병열, 유병찬, 조현경, 김윤식, 설인찬. Guillain-Barre syndrome 환자의 한방 치험 1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5(4-2):418-25, 2004.
  4. 한태륜 외. 재활의학 셋째판. 서울:군자출판사. pp.983-5, 2011.
  5. 김용성, 김철중. 痺證에 대한 동서의학적 고찰.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8(2):211-43. 2000.
  6. 이연경, 이병렬. 痿症의 鍼灸治療에 對한 文獻的 考察. 혜화의학. 3:221-45, 1995.
  7. 남효익, 김화영, 김진원, 최은영. Guillain -Barre Syndrome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痺症 치험 2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7(3):737-44, 2006.
  8. 대한정형외과학회. 정형외과학 제6판. 서울: 최신의학사. p439, 2006.
  9. 대한신경외과학회. 신경외과학. 서울: 중앙문화사. pp.50, 58-9, 2002.
  10. Brown, W.F., Feasby. T. E. Conduction block and denervation in Guillain-Barre polyneuropathy Brain. 107:219-37. 1994.
  11. 김재환, 김기훈, 제인수, 김태희, 김양옥, 김영훈, 김상진. Guilain -Barre syndrome 환자에서 발생한 항이뇨 호르몬 분비 이상증후군(SIADH) 1예. 대한내과학회지. 66(4):404-7, 2004.
  12. 현민경, 정병무, 신원용, 최은영, 윤철호, 정지천. Guillain-Barre syndrome으로 추정되는 痿証 치험 1例.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5(-2): 450-6, 2004.
  13. 이계복, 이영재. 痿證의 病因病耭, 治法 및 鍼灸治療에 對한 文獻的 考察.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4(2):169-87, 1996.
  14. 배자현. 뇌졸중 환자의 통증파국화, 재활동기와 일상생활활동 간의 상관성 연구. 한서대학교 대학원. 4, 2010.
  15. 錢乙. 小兒藥證直訣. 江蘇, 江蘇科學技術出版社. pp.5-6, 47-8. 1983.
  16. 韓醫科大學 方劑學敎授 共編著. 方劑學. 서울, 永林社. pp.298-9, 277-9. 1990.
  17. 朴炯瑄. 육울탕이 拘束 스트레스 흰쥐의 體重 藏器重量 및 腦 Catecholamine 含量에 미치는 영향 慶熙大學校 大學院. 23, 1994.
  18. 이소연, 장우석, 윤헌덕, 박치상, 박창국. 補陰益氣煎을 사용하여 호전된 中風환자 便秘 治驗 2例.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5(3):545-50, 2004.
  19. 대한침구학회 교재편찬위원회 편저. 침구학. 서울: 집문당. p.14, 171, 235, 257. 2008.
  20. 김관식, 김동웅, 신선호, 조권일, 신학수, 현명아 et al. 자율신경 기능 이상을 동반한 Guillain-Barre 증후군 1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66(4):404-407,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