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통계자료를 이용한 주택부문의 에너지소비량 원단위 산정방법 -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

Method for Estimating Energy Consumption Units Derived from Statistic Document - focused apartment house -

  • 유정현 (한국LH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신지욱 (현대건설 연구개발본부 건축연구개발실)
  • 투고 : 2014.03.06
  • 심사 : 2014.07.20
  • 발행 : 2014.08.30

초록

Validate energy saving performance and consumption rate for residential sector, the energy consumption units is very useful to provide different ranking criteria. From this reason, energy consumption units is derived from the statistics survey data that reflected by occupant's life style and the corresponding residential appliances. Additionally, time use survey data that sequence of activities in household members are collected with time diaries providing a multi faceted material and considered to calculate for energy consumption. The overall energy consumption units found in simulation data is well described by the statistic document and the difference of electricity use was showed between 1.3% and 5.9% associated with house members. Moreover, the heating energy consumption units is reached about 88% for statistic data and litera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이현정 외, 공동주택 에너지 소비경향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 Volume 32.(1)
  2. 박효순 외, 건물의 에너지 소비 원단위 실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4권11호, 2008
  3. 이용화 외, 공동주택의 급수 및 급탕 사용량, 대한설비공학회 2001 하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4. 홍원화 외, 종합대학의 에너지 소비원단위 작성에 관한 연구,
  5. 김유란 외, 대구광역시 단독주택의 에너지 및 온실가스 배출원단위 작성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22권2호, 2011
  6. 김세동 외, 대형건물의 연간 전기에너지 사용총량 및 전력원 단위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3권6호, 2009
  7. 홍성회 외, 공동주택의 에너지소비원단위 설정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7권 12호, 2001
  8. 김승희 외, 부산광역시 공동주택의 에너지원단위 변화추이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32권2호, 2012
  9. 박현준 외, 부산광역시 공동주택의 에너지 소비특성 및 원단위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1
  10. 석호태 외, 고층 주거건물 급수, 급탕 설비의 사용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주거학회 16권 2호, 2005
  11. 장병호, 지역난방을 이용하는 공동주택의 급탕량 사용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2. 깁병수 외, 아파트의 급탕량 조사 및 태양열 온수급탕 시스템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18(20), 2002
  13. 김성남 외, 공동주택의 적정급수.급탕량 산정모델, 공기조화냉공공학 논문집, 11(6), 1999
  14. "주택부문의 에너지 수요 트렌드 분석",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2
  15. Hitchcock G, An integrated framework for energy use and behaviour in the domestic sector, Energy and Buildings, Volume 20,1993
  16. Combe, Modeling the impact of user behaviour on heat energy consumption, Behavior, Energy & Climate Conference, 2011
  17. J. Tanimoto, et al, Validation of probabilistic methodology for generating actual inhabitants' behavior schedules for accurate prediction of maximum energy requirements, Energy and Buildings 40(3), 2008
  18. Chiou, et al, A high spatial resolution residential energy model based on American Time Use Survey data and the boot strap sampling method, Energy and Buildings 43(12), 2011
  19. The Society of Heating, Air-Conditioning and Sanitary Engineers of Japan Committee of Energy Simulation for Residence, Auto Program of Life Schedule, SCHEDULE Ver. 2.0 [in Japanese].
  20. ASHRAE Handbook Fundamentals 2009 Chapter9, Typical metabolic heat generation for various activities
  21. 유정현 외, 생활행위시간을 이용한 주택부문의 전력소비량 추정방법,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30(1),2010
  22. 2010 인구주택총조사 보고서, 통계청, 2011
  23. 가전기기 보급률 및 가정용전력 소비행태 조사, 한국전력거래소, 2009
  24. 생활시간조사, 통계청, 2009
  25.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총조사보고서, 2011년
  26. 정광섭 외, 공동주택에서 외기온도가 난방부하 패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5권, 제2호, 2009
  27. 유호선 외, 한국형 아파트의 난방에너지 분석1: 위치의 영향, 설비공학논문집, 제15권, 2004
  28. 김영탁, 공동주택의 에너지 소비량을 예측하기 위한 대표일난방부하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 21권, 제11호, 2005
  29. 안민희 외, 공동주택에서 필로티 세대의 난방에너지 분석,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Volume21(.1), 2006

피인용 문헌

  1. Development of a Streamlined Environmental Life Cycle Costing Model for Buildings in South Korea vol.10, pp.6, 2018, https://doi.org/10.3390/su10061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