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Composition and Types of Housings for Three Generation Family - Focused on the Housing Products by Japanese Private Housing Companies -

3대 가족형 주택의 공간구성 특성 및 유형에 대한 연구 - 일본 민간주택회사의 주택상품을 중심으로 -

  • 김형언 ((주)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
  • 이동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학부)
  • Received : 2014.03.06
  • Accepted : 2014.07.16
  • Published : 2014.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ider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ree generation housings and make a promising foundation for the demand which inevitably take place in the near future through research and analysis of three generation housing products by the Japanese private housing companies. The housing products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of cohabitation type. fusion type, separation type and independence type through analysis by spatial composition elements of entrance, living room, dining room, kitchen and bath room from the samples. The types of separation and independence that support each individual generation show almost double the ratio than the types of cohabitation and fusion that have the tendency of harmony and unification, which reflects the customer's needs in that the efforts of Japanese private companies pursue effective and guaranteed profit. The types of separation and independence are flexible to respond to the change of the constituent family members and can be utilized as urban housing.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References

  1. 김천행, 3대 가족을 고려한 공동주택 계획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8
  2. 김형언, 3세대 가족을 위한 주거 유형으로서의 복층 아파트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3. 대한주택공사, 3대 가족형 공동주택 개발연구, 건우사, 1987
  4. 민경애, 김혜정, 3세대 가족형 공동주택 계획에 관한 기초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5권 1호, 1987
  5. 박진희, 삼대가족을 위한 주거의 실내디자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1986
  6. 서울시정개발연구원, 고령화시대 노인주거복지정책방안, 2007
  7.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서울의 1인가구 증가와 도시정책 수요연구, 2008
  8. 신경주, 청년의 주요구 측면에서 본 3대 동거주택의 조건1,2, 한양대학교 환경과학논총, 1, 37-85, 1987
  9. 윤삼석, 김진모, 3대가족형 집합주거의 실용화를 위한 기초연구1,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6권 4호, 2007.08
  10. 윤철준, 3세대 공동주택의 계획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환경대학원, 1986
  11. 임만택, 박경갑, 3대 가족의 동거실태와 동거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지, 11권 1호, 2000.02
  12. 이동숙, 윤충열,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3대 동거가구의 공간사용 유형별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9권 5호, 2003.05
  13. 이소영, 주택의 리노베이션에 관한 연구-3세대 동거를 위한 주거공간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환경대학원, 1986
  14. 이승인, 소병익, 복층형 집합주택 단위주호내 수직적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20권 2호, 2000.10
  15. 조원덕, 박만식, 직계 3세대를 위한 주거계획,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계획계 5권 1호, 1985.04
  16. 이연숙, 오찬옥, 이선미, 백혜선, 삼대가족의 공간적 요구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8권 6호, 1992.06
  17. 이연숙, 최혜정, 삼대가족 아파트의 단위주거 유형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8권 3호, 1992.03
  18. 이연숙, 신화경, 이선미, 윤영선, 실증적 관점에서 본 삼대가족 아파트 개발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지 3권 1호, 1992.06
  19. 최정신, 수도권거주 50대 중년층의 3대동거주택에 대한 의식 변화,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0권 10호, 2004
  20. 통계청, 맞벌이가구 및 경력단절여성 통계 집계 결과, 2011
  21. 旭化成, へーベルハウスの二世帯百科, 2012
  22. 松本 吉彦, 二世帯住宅という選択, 平凡社, 2013
  23. 吉田 桂二, 二世帯住宅のノウハウ(住まいの図集), 影國社, 1985

Cited by

  1. Assessment Indexes for Habitability Performances Applicable to Hanok Focused on Household Types vol.18, pp.4, 2018, https://doi.org/10.12813/kieae.2018.18.4.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