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Mathematics Class Model in Gifted Science Academy

과학영재학교 수학 수업모형 개발

  • Received : 2014.07.21
  • Accepted : 2014.08.24
  • Published : 2014.08.31

Abstract

Considering the expansion of gifted education and the quantitative increase the Gifted Science Academy, it is important to seek the appropriate methods of mathematics teaching for gifted high school students. In particular, to reflect current trends in mathematics education that the mathematical creativity is being presented as an important educational goal, Now is the time we need student-centered discussion model for regular mathematics classes, not teacher-centered instruction in the way of knowledge transfer. In this study, class model of preparation-based discussion was designed and applied to the regular mathematics classes for the Science Academy. Students participating in this research had a lot of pressure in preparation activities for discussion, but they said that the discussion compared to traditional lecture was mathematically meaningful experience. These findings suggest the implication that class model of preparation-based discussion can be meaningfully applied to the regular mathematics class.

영재교육의 양적인 확장과 함께 과학영재학교의 증가를 고려할 때, 고등학생 영재를 대상으로 하는 적절한 수학 수업 방법을 모색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수학적 창의성을 중요한 교육 목표로 제시하는 현재의 수학 교육의 흐름에 비추어 볼 때, 과학영재학교의 수학 수업에서 교사 위주의 지식 전달 방식의 수업이 아닌 학생 중심의 토론식 수업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학교의 정규 수학 수업에서 적용할 수 있는 예습 기반 토론 수업모형을 설계하고 적용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토론을 위한 예습 활동에 많은 부담을 가지면서도 토론 활동이 기존의 강의식 수업보다 수학적으로 의미 있는 경험이었다고 평가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예습 기반 토론 수업모형이 과학영재학교 정규 수학 수업에서 의미있게 적용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2. 구정화 (2009). 학교 토론수업의 이해와 실천. 서울: 교육과학사.
  3. 나귀수 (2011). 수학 영재 학생들의 발견과 증명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1(2),105-120.
  4. 김순식 (2010). 문제발견 중심의 과학 탐구수업이 영재학생들에게 미치는 효과. 영재와 영재교육, 9(2), 37-63.
  5. 김종백 (2006). 과학영재를 위한 교수-학습 전략. 영재와 영재교육, 5(2), 19-32.
  6. 김지원, 송상헌 (2004). 한 수학영재아의 수학적 사고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4(1), 89-110.
  7. 김홍원 (1998). 수학 영재 판별 도구 개발-수학 창의적 문제 해결력 검사를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8(2), 69-89.
  8. 박만구 (2009). 수학교육에서 창의성의 개념 및 신장 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3(3), 803-822.
  9. 박병열, 이효녕 (2014). 중등 과학 영재학생들의 시스템 사고력 향상을 위한 융합인재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영재교육연구, 24(3), 421-444.
  10. 서동엽 (2005). 수학 영재 수업에서 사회적 구성주의 적용 방안. 학교수학, 7(3), 237-252.
  11. 송상헌 (2006). 수학 영재의 판별과 선발. 한국 학술정보(주).
  12. 송상헌, 임재훈, 정영옥, 권석일, 김지원 (2007). 초등수학영재들이 페그퍼즐 과제에서 보여주는 대수적 일반화 과정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7(2), 163-177.
  13. 신희영, 고은성, 이경화 (2007). 수학영재교육에서의 관찰평가와 창의력 평가. 학교수학,9(2), 241-257.
  14. 유윤재 (2004). 수학적 창의성의 개념.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18(3), 81-94.
  15. 이대원, 고호경, 유미현 (2012). 고등학교 영재 학생들이 선호하는 수학 수업형태와 수업환경. 영재교육연구, 22(1), 23-37.
  16. 이영배 (2011). 융합과 영재교육. 한국수학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1(단일호), 203-206.
  17. 이정연, 이경화 (2010) Simpson의 패러독스를 활용한 영재교육에서 창의성 발현 사례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0(3), 203-219.
  18. 전선미, 유원석 (2011). 중등 수학영재 교수.학습자료 개발 동향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5(1), 79-97.
  19. 정문성 (2011). 토의.토론 수업 방법. 서울: 교육과학사.
  20. 최병훈, 방정숙 (2012). 수학적 창의성 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영재교육연구, 22(1),197-215.
  21. 황우형, 최계현, 김경미, 이명희 (2006). 수학교육과 수학적 창의성.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0(4), 561-574.
  22. 황혜정, 나귀수, 최승현, 박경미, 임재훈, 서동엽 (2012). 수학교육학신론. 서울: 문음사.
  23. Brookfield, S. D., & Preskill, S. (2005). Discussion as a Way of Teaching: Tools and Techniques for Democratic Classrooms. San Francisco: Jossey-Bass.
  24. Cobb, P., & Bauersfeld, H. (1995). The emergence of mathematical meaning: Interaction in classroom culture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5. Cobb, P., Stephan, M., & Bowers, J. (2011). Chapter 8: Introduction. In E. Yackel, K. Gravemeijer, & A. Sfard (Eds.), A Journey in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Insights from the Work of Paul Cobb (pp. 109-115). Springer Netherlands.
  26. Dillon, J. T. (1997). 토론학습의 이론과 실제 [김정효 역]. 서울: 교육과학사. (원본출간년도: 1994).
  27. Ernest, P. (2005). Agency and creativity in the semiotics of learning mathematics. In Activity and Sign (pp. 23-34). Springer US.
  28. Ervynck, G. (1991). Mathematical Creativity. In D. Tall (Ed.),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42-53.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9. Hadamard, J. (1954). Psychology of invention in the mathematical field.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30. Jonassen, D., & Land, S. (Eds.). (2012). Theoretical foundations of learning environments. Routledge.
  31. Krutetskii, V. A. (1976). The psychology of mathematical abilities in school childre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2. Lakatos, I. (Ed.). (1976). Proofs and refutations: The logic of mathematical discove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3. Lampert, M., & Cobb, P. (2003). Communication and language. In J. Kilpatrick, G. Martin, & D. Schifter (Eds.) A research companion to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34. Lee, K. H. (2005).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geometrical reasoning and informal proof. In H. L. Chick, & J. L. Vincent (Eds.) Proceedings of the 29th Conference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vol.3, pp. 241-248). Melbourne: PME.
  35.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36. Pelczer, I., & Rodriguez, F. G. (2011). Creativity assessment in school settings through problem posing tasks. The Montana Mathematics Enthusiast, 8(1&2), 383-398.
  37. Poincare, H. (1948). Science and method. New York: Dover.
  38. Sfard, A. (2007). When the Rules of Discourse Change, but Nobody Tells You: Making Sense of Mathematics Learning From a Commognitive Standpoint.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16(4), 567-615.
  39. Sfard, A. (2008). Thinking as Communicating: Human Development, the Growth of Discourses, and Mathematizing.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 Sheffield, L. (2009). Developing mathematical creativity-questions may be the answer. In R. Leikin, A. Berman, & B. Koichu (Eds.), Creativity in mathematics and the education of gifted students (pp. 87-100). Rotterdam: Sense Publishers.
  41. Silver, E. A. (1997). Fostering creativity through instruction rich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problem posing, ZDM, 29(3).
  42. Sriraman, B. (2004).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 Creativity. The Mathematics Educator 14(1), 19-34.
  43. Treffinger, D. J., Young, G. C., Selby, E.C., & Shepardson, C. (2002). Assessing Creativity: A guide for educators (RM02170). Storrs, University of Connecticut.
  44. Weber, K., Maher, C., Powell, A., & Lee, H. S. (2008). Learning opportunities from group discussions: Warrants become the objects of debat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8, 247-261. https://doi.org/10.1007/s10649-008-91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