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친환경 녹색건축 인증지원체계에 관한 연구 - 리드(LEED) 및 케이스비(CASBEE) 인증평가항목을 중심으로 -

Expert System for Low Carbon Emission & Eco-friendly Green Architecture - Case Study on LEED and CASBEE Certification -

  • 투고 : 2013.01.28
  • 심사 : 2014.03.17
  • 발행 : 2014.03.25

초록

Enhancing the design,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green buildings, the potential environmental issues which consist of major categories such as sustainable site, water efficiency, energy and atmosphere, material and resources and environmental quality can be estimated on the criteria collaborated by professional accreditation. This study on design manual for green and low-carbon emission architecture addresses the innovative design platform corresponding to the global challenges of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sustainability and intelligent ecosystem. With the participation of professional communities and academia, the interactive meta-manual constitutes the development of a architectural society of leading research and industry to study th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arising from economic development of design development, construction documentation, and facility management in terms of the fundamentals of the socio-physical hemisphere, such as climate change, green architecture, and environmental reform. The discourse springs from an integrated approach of decision-making, planning and implementation, empowered by information technology, that enables the mixing of economic considerations, effective management and enforcement strategies towards the exploration of promising sustainable environment with the due emphasis on community design and participation. The research envisions the united design code to encourage the use of participatory networks identifying the main constraints, opportunities and concerns covering the policy,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for architectural design.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KAIA)

참고문헌

  1. 고동환, LEED 2009와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에서의 건물에너지 효율평가기준에 따른 에너지 절감률과 연간소비량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26 n.5 (2010-05)
  2. 김가희, 에너지절감형 공동주택을 위한 설계 PROCESS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계획계 v.31 n.2 (2011-10)
  3. 김민석, BIM 설계 초기단계에의 활용을 위한 공간분석 소프트웨어 개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27 n.10 (2011-10)
  4. 김병선, 국내외 친환경 인증제도의 발전과정 및 사례비교 분석, 친환경건축인증 대한건축학회 워크샵, (2005-02)
  5. 김선숙, 친환경 건축물 가이드라인의 개발특성 및 구성요소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25 n.5 (2009-05)
  6. 박아름 외2, 공동주택 및 업무용 건축물 대상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 개정 전․후 인증결과 비교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28 n.12 (2012-12)
  7. 손종렬, 친환경 건축자재 원료 및 제품의 통합정보 시스템 구축, 건축환경설비분야 세미나(2011-08)
  8. 안기언 외2, 설계단계에서 동적 건물 에너지 성능분석의 쟁점들,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28 n.12 (2012-12)
  9. 안용한, 최영오, 미국내 친환경 초고층건물의 에너지효율을 위한 디자인 전략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28 n.11 (2012-11)
  10. 오예슬, 최윤경, 친환경건축물인증 공동주택의 친환경요소 유지관리 실태 및 개선방안,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28 n.04 (2012-04)
  11. 이유진 외2, 친환경 공공 건축물 가이드라인에 대한 비교분석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26 n.12 (2010-12)
  12. 임수현, 박현수, 노만 포스터의 친환경 건축계획 기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27 n.3 (2011-03)
  13. 정선미, 이성진, 각국의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 평가방식 비교분석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32 n.2 (2012-10)
  14. 정영선 외4, 건축물 에너지 절약 및 친환경 관련 국내외의 정책 및 제도에 대한 비교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28 n.01 (2008-10)
  15. 최영준 외2, 건설생산성 향상을 위한 건설자재 표준화 사업동향, 대한건축학회 재료위원회 자료집 (20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