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patial Inequalities in Education, Seoul

교육의 공간 불평등 연구

  • Jung, Jae-Hun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Kyung-Min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정재훈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 김경민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Received : 2014.04.13
  • Accepted : 2014.05.16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This research analyses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the academic performances of high school students by using all 2,065,166 SAT scores for 3 years. The spatial inequalities in Seoul are analysed by DBMS and GIS. Based on three-year raw data of Korean SAT scores, the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academic performances are scrutinized: 868,029 SAT scores cases of 2000 academic year on Novemver 17, 1999, 609,258 cases in 2005 academic year on November 17, 2004 and 587,890 cases in 2009 on November 13. The result shows that there are significant spatial disparities of the level of academic performance in Seoul by Gu level, also indicating that the disparities are getting wider over the course of time. The widening disparities by Gu level means that educational spatial inequality is intensified in spite of the increasing overall trend of academic performance of Seoul. It is also notable that disparities between regions are distinctive, while those in regions are not significant and sustained constant as time flows.

본 연구는 3개년 2,065,177건의 수능 결과 전수 자료를 이용하여 학교별, 구별 단위의 과목별 평균, 1등급비율, 표준편차 등의 교육 성과의 공간적 시간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ataBase Management System)과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하였다. 서울시 25개 구의 인문계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1999년 11월 17일에 시행된 200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원자료 868,029건과 2004년 11월 17일에 시행된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원자료 609,258건 그리고, 2008년 11월 13일에 시행된 200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원자료 587,890건을 바탕으로 시간적 교육 성과와 교육 격차의 공간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서울시내 구(區) 간 교육성과의 격차가 매우 상당하며, 시간이 흐름에 따라 그 격차의 폭이 매우 크게 증가하였다. 해당 기간 동안 서울 교육성과가 전국 평균대비 향상되고 있음에도 구(區) 간 격차가 증가하는 것은 교육의 공간적 불평등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심화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특이한 점은 구(區) 간 교육격차의 차이가 큼에도 불구하고, 구(區) 내 교육격차의 차이(구 내 일반계 고등학교의 성적 표준편차의 범위)는 거의 없고, 시간이 흐름에도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는 점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