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지비율의 시계열 안정성 연구

Random Walk Test on Hedge Ratios for Stock and Futures

  • Seol, Byungmoon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투고 : 2014.03.11
  • 심사 : 2014.04.10
  • 발행 : 2014.04.30

초록

주식과 선물간의 헤지비율의 시계열 안정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KOSPI200과 S&P500의 주식과 선물 지수를 이용하여 한국과 미국, 두 금융시장의 헤지비율에 대한 시계열 안정성을 연구한다. Coakley, Dollery, and Kellard(2008)는 1995년부터 2005년의 S&P500 현물을 대상으로 시계열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시계열 안정성이 검증된 기간을 분석기간에 포함하여 두 시장을 분석함으로써 연구결과의 강건성을 얻고자 한다. 한국시장의 분석기간은 주식선물시장이 개설된 1996년부터 2005년이다. S&P500은 1982년부터 2004년을 분석대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BEKK and diagonal-BEKK을 사용하여 헤지비율을 구하며, 시계열 안정성 검증을 위하여 R/S와 GPH 방법을 사용한다. 분석결과는 시장효율성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랜덤워크가설을 지지하지 않는다. 이 결과는 헤지비율을 이용한 위험관리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long memory properties of the hedge ratio for stock and futures have not been systematically investigated by the extant literature. To investigate hedge ratio' long memory, this paper employs a data set including KOSPI200 and S&P500. Coakley, Dollery, and Kellard(2008) employ a data set including a stock index and commodities foreign exchange, and suggested the S&P500 to be a fractionally integrated process. This paper firstly estimates hedge ratios with two dynamic models, BEKK(Bollerslev, Engle, Kroner, and Kraft) and diagonal-BEKK, and tests the long memory of hedge ratios with Geweke and Porter-Hudak(1983)(henceforth GPH) and Lo's modified rescaled adjusted range test by Lo(1991). In empirical results, two hedge ratios based on KOSPI200 and S&P500 show considerably significant long memory behaviours. Thus, such results show the hedge ratios to be stationary and strongly reject the random walk hypothesis on hedge ratios, which violates the efficient market hypothesi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