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erception of undergraduates of the college of education on the importance of trainee teacher certification areas and sub-factors

사범대학 재학생의 예비 교사 인증 영역 및 하위 요소에 대한 중요도 인식 분석

  • Received : 2014.01.24
  • Accepted : 2014.03.24
  • Published : 2014.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undergraduates of the college of education on the importance of certification areas and factors suggested by the certification system at each department level as well as the college as a whole, in order to come up with measures for further improvement.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first, verifying different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certification areas and factor per department, second, verifying different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certification areas and factor per grade.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is undergraduates of the college of education at A University, and the survey on the different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was conducted on 758 students of 10 departments. Total 800 copies of survey were distributed, and 299 copies or 37.3% were retrieved. First, it was found that undergraduates of the college of education at A University highly recognize the necessity of a new system to produce excellent teachers. when it comes to different department, in the area of teaching personalities, there is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teaching aptitude test and completion of social intelligence development program. In the area of teaching expertise, there is different perception in the importance of completion of curriculum education subjects per major, completion of curriculum contents per major, and participation in teaching demonstration contest. In the area of student guidance expertise, there is difference by department in completion of creative character development related education programs and "teaching practice" course. In the area of communication skills in the information society, minimum score requirement for a second foreign language is considered less important than others. Second, as for grade, freshmen highl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validity of teaching training course, integrity of the course, validity of the teaching training course in producing excellent teachers, graduates' job performing ability development as a teacher, appropriacy of curriculum of the college of education in producing excellent teachers, compared to other grades. In particular, seniors consider the necessity of a new system to produce excellent teachers the most.

이 연구의 목적은 사범대학 및 학과별 수준의 인증 시스템에서 제시한 인증 영역 및 요소에 대한 사범대학 재학생이 인식하는 중요도를 조사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표는 첫째, 인증 영역 및 요소에 대한 학과별 중요도 차이를 확인하며, 둘째, 인증 영역 및 요소에 대한 학년별 중요도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A대학교 사범대학 재학생 전체를 모집단으로 하였으며, 10개 학과 758명이 중요도에 대한 설문 조사 대상이다. 설문 조사지는 총 800부를 배포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는 299부로 회수율은 37.3%로 나타났다. 설문 조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주요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과별로 교직 인성 영역에서는 교직 적성 검사, 사회적 지능계발 프로그램 이수에 대한 중요도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교수 전문성 영역에서는 전공별 교과교육 과목 이수, 전공별 교과내용 과목 이수, 수업 실연 경진대회 참가에서 중요도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학생지도 전문성 영역에서는 창의 인성 계발 관련 교육 프로그램 이수, '교육실습'과목 이수에 있어서 학과별로 중요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정보 사회 소통력에서는 제2외국어 최소 점수 획득에 대해서 낮은 중요도를 보였다. 둘째, 학년별로는 1학년 재학생이 교직과정 구성의 타당성, 교육과정의 충실성, 교육과정의 우수 교원 양성에의 타당성, 졸업자의 교원 직무 수행 능력 함양, 사범대학 교육과정의 우수 교원 양성 적절성에 대해서 타 학년에 비해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학년의 경우 우수 교원 양성을 위한 새로운 제도의 필요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석주(2005). 중등학교 교과지도 우수교사 역량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덕현(2008).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경기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수연, 김영경(2003). 대학 인증제 프로그램의 분석과 전망. 문명연지, 4(1), 107-123.
  4. 김태훈(2013). 사범대학 및 학과 차원의 인증 시스템 개발(안). 충남대학교 2차년도 교원양성 선도사범대학 사업 결과보고서. 충남대학교 사범대학.
  5. 김혜숙(2003). 교원 전문성과 질의 개념 및 개선 전략 탐색. 교육학연구, 41(2), 93-114.
  6. 김혜현(2011). 예비교사들의 학습자 이해 지식과 교수방법 지식에 관한 연구: 중학교 2학년 기하영역 증명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박기문, 이규녀, 김영민(2011). 공학교육 체제 개선을 위한 공과대학 이해관계자의 인식 조사 연구-OO대학교를 중심으로.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6(2), 239-256.
  8. 박형래(2009).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원신규임용제도 개선방안 탐색.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손희권(2010).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송상호(2005).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조직헌신도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석열(2002). 대학 졸업인증제의 실태 분석과 설계 모형. 교육행정학연구, 20(1), 187-208.
  12. 이화국, 강경석(1998). 한국과 미국의 대학평가인정제 비교분석을 통한 발전과제 탐색. 고등교육연구, 10(1), 139-164.
  13. 채창균, 박천수, 이수영(2006). 대학생 능력평가제도 도입 방안. 교육인적자원부.
  14. 최인영(2008). 교원 자격 제도 개선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함승연, 김정식, 김춘길(2003). 미국 공학교육 인증제도를 통해 본 공학교육의 발전 방안. 대한공업교육학회지, 28(2), 95-106.
  16. 함승연, 노태천(2005). 전문대학 공학기술교육 프로그램 인증 준거 개발.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0(2), 82-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