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Recognitions of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Professors Introducing 'Creative Engineering Design' Unit of High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 '창의공학설계' 단원 신설에 따른 기술교육과 교수의 인식 분석

  • Received : 2014.02.16
  • Accepted : 2014.03.24
  • Published : 2014.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basis information for the education direction of 'creative engineering design' lesson to highschool students and pre-technology teachers by analyzing pre-experienced the d epartment of technology professors' recognitions, according to the newly opened unit 'creative engineering design' in 2009 revised highschool technology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34 questions and collected from 16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professors. The data was analyzed by SPSS program.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in 'creative engineering design' educational objectives, the highest average level(M) of response was problem solving ability, the opportunity of engineering experience and creativity improvement were followed. In the response about 'creative engineering design' educational contents, the average level(M) of the creative thinking method education was the highest(3.94). and the following important level was the write training education for presentation. Second, in the 'creative engineering design' educational areas, the professors preferred the idea conception, design, and production manufacturing area. In the teaching learning method, the average level(M) of design-based learning method was the first. and PBL, problem solving method were favored Third, in the 'creative engineering design' lesson manage, the secure of practice room and material cost, and the check of the progress situations were needed preferentially. In the education assessments, various and combined assessment preferred such as production, portfolio, and presentation. Fourth, in the pre-technology teachers' lesson of the university course, the product manufacturing level was preferred production to improve uncomfortable thing in life. The major difficulty in product manufacturing was the lack of major knowledge and product conception.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고등학교 기술 가정 교과에'창의공학설계' 단원이 신설됨에 따라 창의공학설계 관련 수업을 먼저 경험한 기술교육과 교수 (professor)의 인식을 분석하여 고등학교 학생들의 '창의공학설계' 수업 방향과 대학 과정의 예비 기술 교사를 대상으로 한 창의공학설계 수업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설문지는 34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16명의 기술교육과 교수에게 수집되었다. 데이터는 SPSS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고,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공학설계의 교육 목표에서 문제 해결 능력 응답 평균이 가장 높고 (M=4,44), 공학체험 기회, 창의력 향상 순으로 낮아졌다. 창의공학설계 교육 내 용에 대한 응답에서는 창의 사고기법 교육 평균(M)이 3.94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발표를 위한 자료 작성 교육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둘째, 창의공학설계 교육 범위 응답에서는 아이디어 구상에서 설계, 제작을 선호하고 있고, 교수 학습 방법에서는 설계중심학습법 평균이 가장 높고, 문제중 심법과 문제해결법도 선호하였다. 셋째, 수업 운영에서는 실습 공간 및 실습 재료비 확보, 진행 상황 점검이 필요하며, 평가에서는 작품, 포트폴리오, 발표 등 다양하고 종합된 방법을 선호하였다. 넷째, 대학 과정의 예비 기술 교사 수업에서 작품 수준은 생활 속의 불편한 것을 개선하는 작품을 선호하였고, 작품 제작에서 어려운 점은 전공 지식의 부 족과 제품 구상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11a).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1] 초.증등 교육 과정 총론.
  2. 교육과학기술부(2011b).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10] 실과(기술.가정) 교육 과정.
  3. 김용세(2011). 설계 기본 소양 교육을 위한 창의적 공학 설계. 공학 교육, 18(2), 35-37.
  4. 김인숙, 김동철(2013). 종합설계 교과목의 교수-학습 결과 분석. 공학교육연구, 16(2), 31-36.
  5. 이동명(2012). 공학설계를 위한 전공연구 교수법 사례 연구. 공학교육연구, 15(3), 2-77.
  6. 이건상, 김강(2012). 창의적 공학설계방법론 교육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5(4), 94-100.
  7. 이종수 외(2008). 체험학습기반의 기초 창의공학설계 교육 및 운영. 공학교육연구, 11(2), 32-41.
  8. 이태식 외(2009). 공과대학 캡스톤 디자인(창의공학설계)교육과정 운영실태 및 학습 만족도 조사. 공학교육연구, 12(2), 36-50.
  9. 정동명(2010). 창의공학설계. 서울 : 생능.
  10. 지해성(2013). 학제간 팀별 설계프로젝트 기반 산학공동 공학설계교육. 공학교육연구, 16(3), 51-60.
  11. 한국공학교육인증원(2014). 2014년 공학교육인증(EAC/CAS)평가위원 워그샵, KEC 2005인증기준. 서울 : 한국공학교육인증원.
  12. 전국공학교육혁신(연구)센터(2014). Retrieved March. 18, 2014 from http://www.abeek.or.kr/htmls_kr/contents.jsp?menu_l=6&menu_m=207&menu_s=209
  13. Doepker, P. E., and Dym, C, L.(2007). Design Engineering Education. ASME Transactions, Journal of Mechanical Design, 129(7), 657-658. https://doi.org/10.1115/1.2746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