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onsumers' regulatory focus as a determinant of perceived value of online shopping mall VMD

온라인 쇼핑몰VMD에 대한 지각된 가치의 영향요인으로 소비자 조절초점 역할에 관한 연구

  • Suh, Yonghan (Dept. of Distribution Management, Ulsan College)
  • 서용한 (울산과학대학교 유통경영과)
  • Received : 2014.11.08
  • Accepted : 2014.12.26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Sensitivity to online store stimuli (VMD attributes) and response (online store loyalty) may depend upon consumers' regulatory focus (emotional state). In other words, consumers' sensitivity to online store atmosphere and consequent store loyalty can be influenced by the match between their regulatory focus (promotion focused vs. prevention focused) and the type of the online store VMD benefits Study 1 results indicate consumers have a different evaluation about online store atmosphere depending on their regulatory focus. Promotion-focused consumers were significantly more sensitive to visual appeal and entertainment attributes of online store atmospherics than prevention-focused consumers. Conversely, prevention-focused consumers were significantly more sensitive to security and privacy attributes of online store, than promotion-focused consumers. Study 2 results indicate for promotion-focused shoppers, hedonic value toward online store atmosphere was associated with greater online store loyalty. In contrast, prevention-focused shoppers were influenced more by the utilitarian attributes on online store loyalty than promotion-focused shoppers. The current findings indicate that shoppers with promotion-focused are more easily persuaded by visual and entertainment-oriented online store cues. Conversely, shoppers with prevention-focus are more easily persuaded by safety and privacy-oriented online store cues.

의류제품 온라인쇼핑몰의 고객확보 경쟁이 날로 치열해 짐에 따라 쇼핑몰 재방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쇼핑몰의 VMD는 소비자의 쇼핑몰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되고 있다. 기존연구에서 VMD가 소비자 선택과 쇼핑경험에 미치는 영향은 규명되었지만, 소비자의 목적지향적 특성에 따라 소비행동(선택과 평가, 성과반응)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일반적으로 소비자는 쇼핑몰이나 제품을 평가하고 선택할 때 다양한 전략을 사용한다. 소비자가 사용하는 전략과 개인적 목적지향 성향의 적합성에 따라 소비행동과 성과평가에 차이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 최근 이와 같은 개인특성을 설명하는 이론이 조절초점이론이다. 본 연구는 인터넷 쇼핑몰 상황에서 VMD 요소가 개인적 목적지향 성향인(조절초점)에 따라 소비자 반응(쇼핑몰 충성도)에 미치는 민감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하였다. 실증연구는 두 개의 연구로 진행되었다. [연구 1]에서는 소비자의 초절초점이 온라인 쇼핑몰 VMD 요소의 평가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하였다. 분석결과, 향상초점 성향이 강한 소비자는 시각적요소와 엔터테인먼트 속성에 민감한 반면, 예방초점 소비자는 안전과 프라이버시 속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 2]에서는 온라인 VMD의 지각된 가치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소비자 조절초점의 조절효과를 검정하였다.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향상초점 소비자는 쾌락적 가치가 충성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반면, 예방초점 소비자는 실용적 속성이 충성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