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FRS 이후 영업이익 공시정책의 변화에 대한 연구 - 코스닥 시장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the Change of Operating Income Disclosure Policy under K-IFRS - Evidence from KOSDAQ Market -

  • 투고 : 2014.05.19
  • 심사 : 2014.09.22
  • 발행 : 2014.09.30

초록

과거 우리나라 기업회계기준(K-GAAP)에서 영업이익 산정과 그 구성항목에 구체적인 기준을 두고 이를 엄격히 지켜왔던 것과 달리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서는 영업이익에 대해 구체적으로 정의하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기업들은 각각 다른 방법으로 영업이익을 공시하게 되었고 투자자들은 영업이익이 자본시장에 전달하는 정보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K-IFRS의 영업이익 공시기준이 시장에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를 표하였다. 한국회계기준원은 자본시장참여자들의 이러한 지적을 수용하여 2012년 9월 K-GAAP과 동일한 방법으로 영업이익을 산출 공시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K-IFRS에 의해 작성된 영업이익과 K-GAAP을 적용하여 작성된 영업이익의 가치관련성 분석을 통해 영업이익 공시정책 변경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K-IFRS를 적용한 코스닥기업 520개를 대상으로 K-IFRS 도입 이전(2010년)과 이후(2011년)의 영업이익의 가치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K-IFRS 이전 기간의 영업이익이 더 높은 가치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2011년에 공시된 영업이익(발표영업이익)은 과거의 회계기준으로 환산하여 추정한 영업이익(조정영업이익)에 비해 주가에 대한 설명력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전체 표본을 발표영업이익과 조정영업이익의 상대적 크기로 나누어 동일한 분석을 수행한 결과 발표영업이익이 조정영업이익에 비해 높은 집단에 대해서만 영업이익의 가치관련성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추가적으로 조정영업이익이 음(-)인 기업 그리고 과거 연속적인 영업손실을 보고한 기업일수록 K-IFRS를 적용하여 조정영업이익에 비해 높은 수준의 발표영업이익을 공시한 것으로 나타나 2011년 손익계산서의 작성 과정에 경영자가 의도적으로 개입하였음을 암시하고 있다. 따라서, K-IFRS의 영업이익 공시에 대한 자본시장의 우려가 실증적으로도 지지되고 있으며, 한국회계기준원의 영업이익 공시정책변경의 타당성을 지지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분석결과는 2011년 영업이익의 공시를 악용하여 코스닥시장의 퇴출위험에서 벗어난 부실기업들에 대한 사후적 조치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While Korean GAAP had detailed regulations for the measurement and disclosure of operating income in the past, K-IFRS did not provide specific rules for operating income until 2011. Some firms that adopted K-IFRS before 2011 did not disclose or calculated operating income in an inconsistent manner although operating income is usually considered as one of the core information items to assess firm valuation. Inconsistency in firms' treatment of operating income invoked much criticism from diverse users of financial statement. The Korean Accounting Institute (KAI hereafter) revised the K-IFRS rules relevant to operating income in September 2010 in response to the voices raised by the business community, whereby the operating income number is allowed to be calculated in conformity with the previous K-GAAP. This study was motivated by the revision of K-IFRS and aims to provide a clue on the validity of such policy decision.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we test the relative value relevance of the alternative operating income numbers under K-IFRS versus K-GAAP. Our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The value relevance of operating income reported before K-IFRS is proved to be higher than after K-IFRS. K-IFRS operating income adjusted to the previous K-GAAP has greater explanatory power for market values relative to one calculated under the K-IFRS regime. In an additional analysis, the sample was decomposed according to whether the operating income under K-IFRS is greater than under K-GAAP. The difference in the value relevance of K-IFRS versus K-GAAP operating income is significant only in the subsample consisting of firms which reports higher operating income under K-IFRS compared to K-GAAP. Also, the firms which would have reported negative operating income on a consecutive basis are more likely to have chosen K-IFRS, resulting in higher numbers than otherwise. It is likely that firms facing the threat of delisting due to consecutive operating loss reporting are more likely to have adopted K-IFRS disclosure rules by which they could report higher operating income numbers. To sum up, these results corroborate the limitation inherent in the K-IFRS regarding operating income disclosures.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recent revision of K-IFRS implemented by KAI is likely to mitigate some of afore-mentioned limitations effectivel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