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Animal Experience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Resilience

동물체험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심리적 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4.04.15
  • Accepted : 2014.06.16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imal experience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resilience. Seventy 3- and 4-year-old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in which children participated 12 times in animal experience activities, and control group. Data were analyzed by mean, t-test and ANCOVA. The results revealed that children with animal experience activities got higher scores in emotional intelligence including utilization of emotion, recognition and consideration of others' emotion, 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self emotion, and emotional adjustment and impulse control. In addition, 4-year-olds scored higher in resilience than 3-year-olds,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 and age indicated that the positive effects of animal experience activities were more significant in 4-year-olds.

본 연구에서는 동물체험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심리적 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성, 연령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3, 4세아 70명이며 실험집단의 유아는 12회의 동물체험활동을 경험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정서지능, 심리적 건강성을 사전 사후 측정한 후 공변량분석한 결과 동물체험활동에 따른 실험효과가 나타나 정서지능 전체, 그리고 하위변인별로는 자기정서의 이용,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 감정조절 및 충동억제에서 동물체험활동을 경험한 집단의 정서지능이 통제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건강성의 경우 연령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 4세의 심리적 건강성이 3세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과 연령 간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 동물체험활동의 긍정적 효과가 3세보다 4세에서 더 뚜렷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은주, 김영주(2006).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 차이.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0(4), 113-133.
  2. 김경희(1998). 교사용 유아 정서지능 평정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 김선희(2005). 유아의 탄력성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의 영향, 유아교육학회지, 25(4), 191-210.
  4. 김성수(2006). 어머니의 낙관성이 양육태도와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 간의 관계에 미치는 효과. 영유아교육연구, 9, 145-170.
  5. 김지하(1995). 틈. 서울: 솔.
  6. 박향아(2012). 성, 연령 및 정서지능에 따른 유아의 갈등해결전략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2), 41-59.
  7. 신남식(1998). 애완동물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한 수의사회지, 9월, 650-655.
  8. 신성자(2001). 자폐아동의 대인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치료견 매개 프로그램의 효과 및 효과 지속성에 대한 평가. 한국사회복지학, 통권 45호, 250-287.
  9. 양옥경, 최명민(2001). 한국인의 한과 탄력성: 정신보건사회사업에의 적용.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1, 7-29.
  10. 유민임(2005).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인지양식, 정서지능, 그리고 대인문제해결력. 열린유아교육연구, 12(10), 317-335.
  11. 이소은(2011). 기질, 성, 심리적.행동적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아동과 권리, 15(3), 409-430.
  12. 이완정(2002). 발달과정에서 위험요소에 노출된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과 보호요인 분석. 아동학회지, 23(1), 1-16.
  13. 이화수(2001). 애완동물 기르기가 유아의 감정이입 및 동물애호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전은희(2008). 어머니-자녀 상호작용과 유아의 탄력성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5. 조영진(2003). 교실에서 동물기르기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최완오(2007). 애완동물 기르기 체험학습이 초등학생의 사회, 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황혜정(1999). 아동의 정서지능 발달과 정서.행동 문제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13(1), 67-84.
  18. Anthony, E. H. (1987). Risk vulnerability and resilience: An overview. In E. J. Anthony & B. J. Cohler(Eds.), The invulnerable child. NY: Guilford.
  19. Bowlby, J. (1988). A Secure Base. NY: Basic Books.
  20. Bryant, B. K. (1985). The neighborhood walk: A study of sources of support in middle childhood from the child's perspective.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vol 50, 210-229.
  21. Casey, R. J. (1993). Children's emotional experience : Relations among expression, self report, and understanding. Developmental Psychology, 29(1), 119-129. https://doi.org/10.1037/0012-1649.29.1.119
  22. Davis, J. H. (1987). Preadolescent self-concept development and pet ownership. Anthrozoos, 1, 90-94. https://doi.org/10.2752/089279388787058614
  23. Endenburg, N. & Baarda, B. (1995). The role of pets in enhancing human well-being: Effects on child development. In I. H. Robinson(Ed.), The waltham book of human-animal interaction: Benefits and responsibilities of pet ownership, 7-17. Exeter: Pergamon.
  24. Friend, M. & Davis, T. L. (1993). Appearance-reality distinction: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physical and affective domains. Developmental Psychology, 29, 907-914. https://doi.org/10.1037/0012-1649.29.5.907
  25. LeBuffe, P. A. & Naglieri, J. A. (1999).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ment. NC: Kaplan Press.
  26. Luthar, S. S., Ciccehetti, D., & Becker, B. (2000). The construct of resilience: A critical evaluation and guidelines for future work. Child Development, 71(3), 543-562. https://doi.org/10.1111/1467-8624.00164
  27. Melson, G. F. (1991). Children attachment to their pets: Links to socio-emotional development. Children's Environments Quarterly, 82, 55-65.
  28. Noakes, M. A., & Rinaldi, C. M. (2006). Age and gender differences in peer conflict, Journal of Youth & Adolescence, 35(6), 881-891. https://doi.org/10.1007/s10964-006-9088-8
  29. Poresk, R. H., & Hendrix, C. (1989). Differential effects of pet presence and pet bonding on young children. Psychological Reports, 67, 51-54.
  30. Salovey, P., &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3), 185-211. https://doi.org/10.2190/DUGG-P24E-52WK-6CDG
  31. Salovey, P., & Mayer, J. D. (1996).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n Salovey, P., Sluyter, D. (Eds.),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Implications for educators. New York: Basic Books.
  32. Sternberg, R. (1985). Beyond IQ.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