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초중등 영재학급·교육원의 학생 생활지도 실태 및 과제 - 영재 담당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A Survey on the Problems and Conditions of Educational Guidance and Counselling in the Gifted Education Programs

  • 투고 : 2014.04.30
  • 심사 : 2014.06.16
  • 발행 : 2014.06.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초중등 영재학급과 영재교육원에서 나타나는 일상생활 상의 문제들 중 교사들이 생활지도할 때 어렵다고 여기는 문제가 무엇이며, 어떻게 해결하고 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고 실천적 과제를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초중등 영재학급 및 교육청 영재교육원 담당교사 26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응답자의 82%정도가 영재교육에서 생활지도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이 요구된다. 둘째, 학생들의 이기적 성향 등을 교사들이 가장 심각한 문제로 느끼고 있으며, 이는 영재아 생활지도에서 기본생활습관, 도덕성 등을 중요하게 다루어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학부모들과의 상담에서 학부모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잘못된 인식 등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으므로 생생한 사례 중심의 학부모 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교사들은 생활지도를 도와 줄 수 있는 현실적 방법으로, 인성교육 프로그램, 경험 있는 교사들을 중심으로 한 멘토링 체계 혹은 상담협의체 구성, 사례중심의 영재 생활지도 및 상담 가이드라인 개발 등이 필요하다. 다섯째, 향후 영재아들을 우리 사회공동체에 기여하는 사회적 자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윤리적 마인드를 갖춘' 영재를 키우는 한국형 영재교육 모델을 만들어 나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and conditions of educational guidance and counselling of teachers in the gifted classes. For the study, 267 teachers were sampled from the Gifted Education Institutes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Gifted Classes of the school across Korea, and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were administered to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82% of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 guidance and counselling in the gifted education is needed. So it demands the active responsive strategies on it. Second,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 selfish or self-centered traits of the gifted students are the most problematic in the gifted classes. It shows the emphasis should be put on the basic life habits and moral education in the guidance and counselling of the gifted education. Third, they pointed out the case-based education is needed for the parents of the gifted to correct their misconceptions about their children. Fourth, to support the teachers of the gifted program, the administrative measures have to be taken, like operation of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ming a consultative group with the experienced teachers, developing the case-based guideline for the guidance and counselling for the gifted education, etc. Fifth, we should develop the Korean model of the gifted education to promote social capital for our future societ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계현 외 6인(2000). 학교상담과 생활지도. 서울: 학지사
  2. 김선미, 유미현(2013). 중학교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시간관리 행동, 생활만족도 비교 및 시간관리 행동과 생활만족도의 관계. 영재교육연구 23(3), 315-333. https://doi.org/10.9722/JGTE.2013.23.3.315
  3. 김충기(2003). 생활지도와 상담. 경기도: 한국학술학정보(주).
  4. 배진호, 김언경, 김재영(2004). 초등학생의 성격특성과 과학적 태도 분석과 이들의 상관관계 연구. 초등과학교육, 23(1), 1-7.
  5. 송경혜, 이지현(2001). 중학교 과학영재의 완벽주의 성향과 스트레스와의 관계. 영재교육연구(11), 23-37.
  6.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1995), 교육학용어사전.
  7. 신미리, 박정옥(2003). 유아의 지능과 정서지능의 관계. 영재교육연구, 13(1), 97-113.
  8. 여상인, 백은주(2007).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정서지능 비교. Journal of the Society for the international Gifted in Science, 1(1), 43-49.
  9. 윤여홍(2000). 영재의 심리적 특성과 정서발달을 위한 상담.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19(1) 79-101.
  10. 윤초희, 윤여홍, 김홍원(2004). 지적으로 우수한 초등 영재아의 심리사회적 적응.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7(2), 177-196.
  11. 이국행, 이영환, 김현지(2003). 과학영재아동의 적응, 자기지각, 사회적 지지 및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13(2). 73-94.
  12. 이신동, 홍종선(2011).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그리고 영역별 영재학생의 심리적, 신체적, 환경적 특성 비교. 한국교육학연구, 17(1), 351-372.
  13. 이장호(1999). 상담심리학. 서울: 박영사
  14. 이정희(2008). 초등학교 원로교사의 생활지도 경험에 관한 해석학적 탐구. 초등상담연구, 7(1). 111-133.
  15. 임혜숙(1997). 영재아동의 행동특성에 관한 일연구 : 기관영재, 일반영재를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11(3). 183-204.
  16. 조성신, 유미현, 여상인(2011). 영재학생의 일반학급 및 영재교육기관에서의 학교생활만족도. 한국영재학회. 영재교육연구, 21(2). 465-484. https://doi.org/10.9722/JGTE.2011.21.2.465
  17. 진선홍, 양태연, 한기순(2012). 영재들의 자살생각에 관한 구조모형 탐색. 영재교육연구, 22(3), 779-800. https://doi.org/10.9722/JGTE.2012.22.3.779
  18. 천유리, 한기순(2012).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또래관계성향 및 관계 유지노력과 학교생활 적응 간의 관계. 영재교육연구 22(4). 875-892.
  19. 한기순, 양태연(2007). 최근 국내 영재교육 연구의 흐름: 2000-2006년도 연구물 분석. 영재교육연구, 17(2). 338-364.
  20. 현 주, 최상근, 차성현, 류덕엽, 이혜경(2009). 학교 인성교육 실태분석 연구 - 중학교를 중심으로 -. 한국교육개발원 RR 2009-09.
  21. Blackett, J., & Hermansson, G. L. (2005). Guidance and Counselling of the Gifted and Talented in New Zealand. International for the Advancement of Counselling, 27(2), 277-287. https://doi.org/10.1007/s10447-005-3186-2
  22. Marland, S. P. (1972).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 Report to the Congress of the United States by the U. S. Commissioner of Education and background papers submitted to the U. S. Office of Education, 2 vols. Washington, DC: U. S. Government Printing Office.(Government Documents Y4.L 11/2: G36). http://files.eric.ed.gov/fulltext/ED056243.pdf
  23. Neihart, M., Reis, S. M., Robinson, N. M., & Moon, S. M. (2002). Th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gifted children, Profrock Press.
  24. Robinson, A., & Clinkenbeard, P. R.(2008). History of Giftedness : Perspectives from the Past Presage Modern Scholarship. In: Handbook of Giftedness in Children by Pfeiffer, S. I. (ed.), Springer, 황희숙 외, 영재아동의 이해, 시그마프레스. 2011.
  25. Silverman, L. K. (Ed.)(1993a). Counselling the gifted and talented. Colorado: Love Publishing Company.
  26. Silverman, L. K. (1993b). A developmental model for counseling the gifted. In L. K. SIlverman(Ed.), Counseling the gifted and talented. Colorado: Love Publishing Company
  27. Silverman, L. K. (1993c). Counseling needs and programs for the gifted. In K. A. Heller, F. J. Monks, & A. H. Passow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giftedness and talent. New York: Pergamon.
  28. Webb, J. T. (1993). Nurturing social-emotional development of gifted children. In K. A. Heller, F. J. Monks, & A. H. Passow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giftedness and talent, Pergamon Press. 525-5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