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한국언론정보학보)
- Volume 66
- /
- Pages.184-210
- /
- 2014
- /
- 1598-3757(pISSN)
A Study upon the Formation of Techno-surplus Society and Its Specificities
국내 기술잉여사회의 형성과 특수성 연구
- Lee, Kwang-Suk (Digital & Cultural Policy Department,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 & Info Tech,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이광석 (서울과학기술대 IT정책전문대학원 디지털문화정책학과)
- Received : 2014.03.02
- Accepted : 2014.04.30
- Published : 2014.05.15
Abstract
There have been technologically distorted naturalization and overzealous digital culture i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digital society in Korea. While the suppressive aspects of the 'neo-'authoritarian control and regulation have been excessively centered on the Internet, the autonomous actions of online users from below, with regards to their roles in agenda-setting function, have been evolved as the political.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specificities in the developmental mode of digital technology in Korean society since the mid-90s. In this paper, 'techno-surplus' depicts the state that the abnormal is embedded within a technological artifact beyond its receptive ability. 'Techno-surplus society' designates such an extreme case of specifying technological surplus. In fact, the term of 'techno-surplus society' can be used for a metaphor symbolizing our society, in which social distortion and abnormality caused by 'techno-surplus' have been quite frequently happening, in its comparison to a degree of normality in the institutional politics. This paper explores the local specificities of 'techno-surplus society', in which the regressive aspects have stand out as being more different from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s in China, Japan and the U.S.
한국 디지털사회의 형성과 발전에는 역사적으로 기술의 굴절적 토착화와 과열된 기술숭배가 자리한다. 역사적으로도 인터넷에서 '신'권위주의적 통제와 억압의 계기적 측면이 과도하게 집중화되고 있는 반면 아래로부터 이용자들의 적극적 시민적 의제 형성을 위한 자율의 움직임은 다른 어느 나라보다 정치적이다. 이 글은 적어도 1990년대 이래 이와 같은 한국의 디지털 기술의 전개 방식에 있어서 국가적 특수성을 보려 한다. 이 글에서 '기술잉여'는 한 사회의 통제 능력 이상으로 과도하게 기술들이 비정상적으로 사회에 착근되는 상황을 지칭한다. '기술잉여사회'란 바로 이와 같은 기술잉여가 누적적으로 나타난 특징적 사회 유형을 지칭한다. 이는 제도정치의 성숙도에 비해 기술과잉과 잉여에 의해 빚어지는 사회 왜곡과 비정상성이 잦은 우리 사회를 상징화한다. 이 글에서는 기술잉여사회의 특성을 유형화하고, 중국, 일본, 미국 등 정보기술 영향력의 경쟁 국가들과의 비교를 통해 한국적 기술발전의 퇴행성을 구체화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