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itative Evaluation on Prediction of Realization by Subjects in Diagnostic Fields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한의학 진단 분야의 미래 예측 실현과제에 대한 정량적 평가

  • Kim, Ji-Hye (Medical Engineering R&D Group,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 Kim, Keun-Ho (Medical Engineering R&D Group,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 Shin, Hyeun-Kyoo (Basic Herbal Medicine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김지혜 (한국한의학연구원 의공학기술개발그룹) ;
  • 김근호 (한국한의학연구원 의공학기술개발그룹) ;
  • 신현규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기초연구그룹)
  • Received : 2013.12.08
  • Accepted : 2013.12.20
  • Published : 2014.04.30

Abstract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KM) policies in future, which is through the assessment to predict the realization by diagnostic subjects. Methods First, we evaluated 8 subjects that were deduced by professionals in 1996 regarding whether or not to be realized in 2013. Second, the governmental and private research projects, reports, articles, domestic patents and products were reviewed and investigated. Third, the Subjects in domestic fields of TKM were investigated on the followings: importance, time of realization, domestic Research and Development level, principal agents and methods for the realization, and hindrance factor on the realization. Results Of the 8 forecasting subjects, one subject was realized, two subjects were partly realized and five subjects were unrealized. Thus, their realization rate was 12.5%. The realized subject is the 'Standard naming of the TKM diagnosis'. Conclusion Continuous researches are necessary to realize the TKM subjects and moreover, professionals should predict new feasible TKM subjects, based on this study.

Keywords

References

  1. 김영명, 김민관, 이준석, 한창희. 미래사회의 고객니즈 분석을 통한 시나리오 기반의 미래 기술예측방법론. 한국경영과학학회지. 2011; 28(3): 143-159.
  2. 감주식, 김무웅, 박상대, 한병환. 바이오 미래유망 연구분야 도출에 관한 연구. 한국기술혁신학회지. 2012; 15(2): 345-368.
  3. 성현제, 신현규. 한의학의 중장기 예측을 위한 기획연구. 한국한의학연구소. 1997: 1-362.
  4. 김용호. 적외선 체열촬영을 통한 안면마비와 상지 경혈위치와의 상관 관계 연구. 보건복지부. 2004.
  5. 문성일. 적외선 체열진단을 이용한 말초성구안와 사환자의 경락별 발생비율에 대한 연구. 보건복 지부. 2006.
  6. 양기상. 한의진단명과 진단요건의 표준화 연구 (I)(II)(III). 1995.1996.1997.
  7. 최선미, 양기상. 한의진단명과 진단요건의 표준화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1995; 1(1): 101-125.
  8. 양기상, 최승훈, 최선미, 박경모, 정우열, 안규석, 엄협섭, 김성훈, 전병훈, 김정범, 권영규, 박종현, 김동희, 장혜옥, 김성우, 신승호, 신상우, 고현. 한의진단명과 진단요건의 표준화 연구II(표준화 실례) -2차 년도 연구결과 중간 보고-. 한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1996; 2(1): 381-401.
  9. 최선미, 양기상, 최승훈, 박경모, 박종현, 심범상, 김성우, 노석선, 이인선, 정진홍, 이진용, 김달래, 임형호, 김윤범, 박성식, 송태원, 김종우, 이승기, 최윤정, 신순식. 한의진단명과 진단요건의 표준 화 연구III -3차년도 연구결과 보고-. 한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1997; 3(1): 41-65.
  10. 이원철.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중 한방내과 영역의 분류체계 개선 및 진단명 구성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0; 31(1): 1-10.
  11. 강유정, 이인선, 조혜숙, 이승환, 배경미. 월경병을 중심으로 본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의 사용 기준과 적합성.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1; 24(4): 126-149.
  12. 김종열. 고령친화형 사상 체질기반 진단/치료기 개발. 지식경제부. 2007.
  13. 김종원, 사상체질 진단 자동화기기 개발. 보건복지가족부. 한의약연구개발. 2005: 1-315.
  14. 김종열. 사상체질 진단 객관화 기초 연구. 과학기술부. 한국한의학연구원 기초사업. 2006: 1-569.
  15. 김종열. 고령친화형 사상 체질기반 진단/치료기개발. 산업자원부. 산업기술개발사업. 2006: 1-16.
  16. 신경망기반의 사상체질 진단맥진기 개발.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진흥지원사업. 1999.
  17. 김경철. 3차원 안면형상분석 한방 영상 진단기기 개발. 보건복지가족부. 한의약선도기술개발. 2009: 1-259.
  18. (주)MXR. '3차원 안면형상계측(3-D FSD) 프로그램
  19. 학교법인 동의학원. 사상체질 자동진단기. 1020080026748 (2008.03.24)
  20. 학교법인 동의학원. 안면형태에 따른 형상 자동 진단기. 1020080051428 (2008.06.02)
  21.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학적 체질 구분을 위한 3차원 정보 획득 장치 및 방법. 1020090047634 (2009.05.29)
  22. 한국한의학연구원. 음성 정보를 이용한 체질 판단 함수 생성 장치 및 방법. 1020110088395 (2011.09.01)
  23. 한국한의학연구원. 피부 특징에 기반하여 체질을 판단하는 시스템 및 방법. 1020110088002 (2011.08.31)
  24. 허만회. 사상체질 진단기. 1020090069352 (2009.07.29.)
  25.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얼굴영상을 이용한 질병분류시스템. 1020070050761 (2007.05.25)
  26.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인식을 통한 얼굴 특징 추출과 사상체질 판별 방법 및 시스템. 1020070057730 (2007.06.13)
  27. 김준형. 인체의 체질 진단기. 1020020078041 (2002.12.09)
  28. (주)LG전자.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사상의학 체질 운용장치 및 방법. 1020040034915 (2004.05.17)
  29. 이용주. 한방 원격 검진 시스템 개발. 정보통신부, 초고속정보통신 응용기술개발사업. 1997.5-102.
  30. 성동경. 멀티센서맥진기를 이용한 원격진료시스템 개발. 정보통신부. 정보통신기술개발사업. 2001.
  31. 전순용. 한방 맥진센서 및 원격진료 시스템 개발. 중소기업청. 산학연공동기술개발사업. 2003.
  32. 박영배. 한방종합건강검진평가시스템. 중소기업청. 산학연공동기술개발. 2007: 7-25.
  33. 최선미. 한의학 임상 DB 구축 및 근거기반 확보. 국무조정실. 한국한의학연구원. 2006: 5-100.
  34. 방옥선. 뇌혈관질환의 한의 변증지표 표준화 및 과학화 기반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한국한의학연구원연구운영비 지원부처임무형사업. 2010:3-78.
  35. 이준영. 웹기반 임상 맥파 데이터 분석 시스템에 관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기초연구과제지원 사업. 2007.
  36. 이건목, 문성재, 이용주, 정영지, 정영식, 정성태. 멀티미디어를 기반으로 하는 초고속망에서의 한방 원격 검진 시스템의 개발. 대한침구학회지. 1998; 15(1): 537-544.
  37. 홍승욱, 문경실, 박수현. 한방 온톨로지를 이용한 관계 검색시스템.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종합 학술대회 학술발표자료. 2007: 271-274.
  38. 김상균, 김진현, 장현철, 김안나, 예상준, 김철, 송미영. 한의 진단 추론과 진단 학습 방법.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9; 23(5): 942-949.
  39. 홍유식. 지능을 이용한 의료 진단시스템.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지. 2009; 9(1): 25-30.
  40. 문경실, 박수현. 맞춤형 진단 서비스를 위한 한의학 온톨로지.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2010; 15(1): 23-30.
  41. 김광백, 우영운. 개선된 퍼지 ART 알고리즘을 이용한 한방 자가 진단 시스템.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2010; 15(2): 27-34.
  42. 은성종, 도준형, 김근호, 황보택근. CDSS를 이용한 한방 U-Healthcare 서비스 모델 구현. 한국인터넷정보학회논문집. 2010; 11(5): 59-70.
  43. 김상균, 장현철, 김진현, 오용택, 김철, 예상준, 송미영. 기초 온톨로지 기반 한의 진단 시스템. 대한동의생리학회지. 2010; 24(6): 1111-1116.
  44. 홍유식. 스마트 설진 전자차트 시스템.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지. 2012; 12(2): 243-249.
  45. 문진석, 박경모, 최선미. 한방건강검진 소프트웨어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2007; 13(2): 135-142.
  46. 이준영. 웹기반 임상 맥파 데이터 분석 시스템에 관한 연구. 전기학회논문지. 2012; 61(1): 9-12.
  47. 김혁. 온라인 동류(同類) 한방 진료 방법 및 시스템. 020060050039 (2006.06.02)
  48. 한국한의학연구원. 기초 온톨로지 기반 한의학 진단 시스템. 1020100131438 (2010.12.21)
  49. 한국한의학연구원. 건강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 1020110090271 (2011.09.06)
  50. 한국한의학연구원. 비만 변증 판별 장치 및 비만 변증 판별 방법. 1020090116642 (2009.11.30)
  51. 한국한의학연구원. 원격 맥진 장치 및 방법. 1020070092366 (2007.09.12)
  52. 동양물산기업. 온라인한방정보시스템. 1020070080686 (2007.08.10)
  53. 윤지영. 인터넷을 이용한 한방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 및 한방 건강 정보 제공 방법. 1020100139211 (2010.12.30)
  54. 상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착용형 맥진기와 이를 이용한 원격 맥진 시스템 및 그 방법. 1020080083064 (2008.08.25)
  55. 한국한의학연구원. 중풍 변증 판별 장치 및 방법. 1020080111236 (2008.11.10)
  56. 한국 한의학 연구원,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중풍 발병 위험도 예측 장치 및 방법과 중풍 발병 위험도 예측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 1020070056073 (2007.06.08)
  57. 문진석, 박경모, 최선미. 한방건강검진 소프트웨어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2007; 13(2): 135-142.
  58. 지능형 맥진 시스템 개발. 산업자원부. 신기술창업보육사업. 1999.
  59. 신경망기반의 사상체질 진단맥진기 개발.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진흥지원사업. 1999.
  60. 강희정. 토노메트리방식의 이동형 맥파분석기 개발. 정보통신부.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2006.
  61. 김미선. 나도자성박막을 이용한 4차원착용형맥 진기 개발. 교육인적자원부. 기초과학학술연구 조성(문제해결형연구지원). 2006.
  62. 최환호. 정량적 맥진센서를 이용한 맥진기 개발. 산업자원부. 연구성과지원사업. 2004.
  63. 강희정. 혈혈맥파 측정용 반도체 어레이센서를 이용한 혈맥파 분석 및 3-D혈맥 영상 추출 시스템 개발. 산업자원부. 신기술창업보육사업. 2003
  64. 강만희. 휴대용 무선 한방 생체 신호 측정. 중소기업청.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 2004.
  65. 이상석. 나노자성박막을 이용한 3차원 착용형맥진기 개발. 보건복지부.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2005. 10-123.
  66. 이상석. 나노자성박막을 이용한 3차원 착용형 맥진기 개발. 보건복지부. 2005.
  67. 김미선. 나노자성박막을 이용한 4차원 착용형 맥진기 개발. 교육인적자원부. 2006.
  68. 강희정. 부위별 혈관상태 측정용 전동압력 맥파 Probe개발. 중소기업청. 2006.
  69. 심은보. 부위별 혈관상태 측정용 전동압력 맥파 Probe개발. 교육인적자원부. 2007.
  70. 최환호. 정량적 맥진센서를 이용한 맥진기 개발. 산업자원부. 2004.
  71. 강만희. 맥파분석시스템을 이용한 맥파진단기 개발. 과학기술부. 2003.
  72. 김도현. 뉴로-퍼지를 이용한 한방 맥진 및 26리드선의 양도락 진단 시스템의 구현. 한국과학재단. 1996-1998.
  73. 박영배. 맥진기에 의한 맥동 검출과 동서의학적 맥상 해석. 보건복지부. 1997-1998.
  74. 박영배. 물리학적 방법에 의한 한의학 맥진 및 경혈의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0.
  75. 이대성. MEMS 압력센서를 이용한 맥진기용 맥파검지 기술 개발. 증소기업청. 2002.
  76. 신순식. 한의 맥진용 반도체 어레이센서(Semiconduc to rarray sensor)를 이용한3-D맥상연구. 산업자원부. 2003.
  77. 강희정. 혈맥파 측정용 반도체 어레이센서를 이용한 혈맥파 분석 및 3-D혈맥 영상 추출 시스템 개발. 산업지원부. 2003.
  78. 이준영. 지능형 맥진파라메터 분석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4.
  79. 이준영. 웹기반 임상 맥파 데이터 분석 시스템에 관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7.
  80. 김낙환. 반도체 압력 센서를 이용한 맥진기 개발. 한국센서학회종합학술대회논문집. 2000; 11(1): 98-101.
  81. 윤영준. 맥진기 제작과 맥파 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1-51.
  82. 강희정, 김경철. 전통맥진의 현대적 객관화를 위한 3차원 맥파 진단시스템 개발. 동의한의연. 2005; 9(1): 19-24.
  83. 윤영준, 강희정, 류경호, 김경철, 신순식. 3D 맥진 시스템. 동의한의연. 2004; 8(1): 10-13.
  84. 전영주, 이전, 유현희, 이재훈, 이시우, 김종열. FBG를 이용한 맥진 시스템 개발.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2007; 13(3): 105-110.
  85. 김성훈, 김재욱, 이유정, 김근호, 김종열. 맥진기를 이용한 새로운 부침맥 판단 방법.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9; 23(6): 1221-1225.
  86. 강희정, 권영상, 김달래, 김경철, 임윤경. 3차원 로봇 맥 영상 분석기의 5단계 가압 맥파 분석에 의한 고혈압 환자의 현맥(弦脈) 연구. 대한경락경혈학회지. 2010; 27(1): 1-12.
  87. 안명천. 대면적 3차원 맥진시스템 연구. 상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0-50.
  88. 이우범, 최창열, 홍유식, 이상석, 남동현. 모세관맥동파 영상을 이용한 맥파 측정 시스템.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지. 2012; 12(2): 145-151.
  89. 홍유식, 홍주형, 이우범, 이상석, 남동현, 이규대, 전순용. 지능형맥진시스템. 제어로봇시스템학회지. 2011; 1(1): 436-443.
  90. 신창환, 이종순, 홍성천, 임은미, 이시형, 금경수. 가속도맥파기의 진단상 유의성에 대한 연구. 대한한의정보학회지. 2003; 9(1): 94-102.
  91. 윤달환, 정찬길, 소경순. 맥진단기 채널의 ISI 감소를 위한 적응필터. 맥진단기 채널의 ISI 감소를 위한 적응필터. 한국통신학회학술지. 1998; 1(1): 83-92.
  92. 이낙범, 임재중, 박영배, 전영주. 동맥경화 진단을 위한 맥파전달속도 측정시스템 개발 및 재현성 평가.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05; 9(1): 112-124.
  93. 이유정, 이전, 최은지, 이혜정, 김종열. 부.침맥 진단에 유용한 맥상 파라메터 및 대표 맥상 분석. 한국한의학연구원. 2006; 12(2): 93-101.
  94. 이재철, 강남식, 이혜정, 김종열, 김재욱. 전문가 진단에 기반한 10대 맥상들 간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대한동의병리학회지. 2010; 24(6): 1077-1081.
  95. 대요메디. http://www.daeyomedi.com/
  96. Tellyes Scientific. http://en.tellyes.com/
  97. 최선미. 뇌혈관질환의 한의 변증 진단 표준화. 교욱과학기술부. 2005.
  98. 조기호. 뇌혈관질환의 한양방 진단표줄개발 및 변증의 효율성 검증. 교육인적자원부. 2005.
  99. 방옥선. 뇌혈관질환의 한의학변증지표 표준화 및 과학화 기반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5.
  100. 윤유식. 뇌혈관 질환의 변증지표 과학화 및 융합진단 기술 개발. 과학기술부. 2005.
  101. 박경선, 유승연, 박영재, 이창훈, 조정훈, 장준복, 이경섭, 이진무. 20-40대 여성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한방변증지표의 특성 연구. 대한한방비만학회지. 2011; 11(1): 25-34.
  102. 박양춘, 조정효, 최선미, 손창규. 68명의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 대한 한의학적 변증분석.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8; 29(3): 574-581.
  103. 곽미애, 정우상, 박정미. Brain MRA상 stenosis 정도와 중풍변증모형을 비교한 18례. 대한한의학회지. 2000; 21(3): 51-56.
  104. 임지혜, 고미미, 이정섭, 방옥선, 차민호. Human Paraoxonase 1(PON1)의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중풍환자의 습담 변증과의 상관성 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0; 31(4): 752-762.
  105. 최원우, 김미영, 김영지, 이승엽, 임정태, 김창현, 민인규, 박성욱, 정우상, 문상관, 박정미, 고창남, 조기호, 김영석, 배형섭. CAVI를 이용한 급성기 중풍환자의 Arteriosclerosis와 한방변증의 관련성 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8; 29(4): 970-978.
  106. 임입본, 황옥흠, 곽민아. 과민성 대장증후군의 86례에 대한 변증치료. 동서의학. 2002; 27(3): 65-67.
  107. 오수완, 조남희, 전우현, 박재우, 김진석, 홍종희, 김진성. 과민성대장증후군의 변증 유형과 양도락 결과의 분석. 대한한방성인병학회지. 2000; 6(1): 197-207.
  108. 황미자, 문진석, 박경수, 송미연. 과체중 및 비만 성인 여성의 비만변증 설문 결과 분석. 대한한방비만학회지. 2008; 8(2): 63-72.
  109. 전용석, 채우석, 조명래, 소철호, 최찬헌, 장경선. 기구인영비교맥법에 대한 수기진맥과 기기측 정치의 상관성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2; 16(1): 201-208.
  110. 신상훈, 박대훈, 박영재, 박영배. 명혈류역학을 이용한 촌구와 인영의 특성 비교. 대한침구학회지. 2004; 21(5): 241-248.
  111. 조명래, 유충열, 김무신, 최찬헌, 장경선, 소철호, 박영배, 유충렬. 人迎.氣口比較脈法의 定量化에 關한 硏究. 대한침구학회지. 2002; 19(2): 149-163.
  112. 최찬헌. 정상인에게서 측정되는 인영촌구맥의 경향성 분석.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0; 24(1): 158-164.
  113. 김재욱, 김성훈, 전영주, 유현희, 이유정, 이혜정, 김종열. 20/60대 여성을 중심으로 살펴본 좌우 촌관척 부/침맥 정량화 임상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 지. 2009; 23(5): 1193-1198.
  114. 김근호. 생체장.설 기반 기혈 상태 측정 장치 개발. 한국한의학연구원. 2013.
  115. (주)바이오스페이스. 생체전기 임피던스 측정장치. 1020010030205 (2001.05.30)
  116. 서진극, 권오인, 우응제, 윤정록. 인체 내의 임피던스를 영상화하는 방법 및 장치. 1020000066536 (2000.11.09)
  117. 한국전기연구원. 경락측정장치. 1020080110975 (2008.11.10)
  118. 박영재, 박영배. Thermography의 韓醫學的 臨床應用에 관하여.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00; 4(1): 43-50.
  119. 신현규, 김용진. 한의학 미래예측(2000년- 2010년) 문헌 분야 실현 최종 평가. 대한한의학 원전학회지. 2013; 26(1): 85-98.
  120. 강유정, 이인선, 조혜숙, 이승환, 배경미. 월경병을 중심으로 본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의 사용 기준과 적합성.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1; 24(4): 126-149.
  121. 박소정, 강기림, 김신아, 황상문, 채한. 최근 10 년간 사상의학 연구동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1; 25(4): 721-727.
  122. 이수진. 한의학계 외부의 사상체질의학에 관한 연구동향. 사상체질의학회지. 2010; 22(3): 67-74.
  123. 문진석, 박경모, 최선미, 한방건강검진 소프트 웨어 개발에 관한 연구. 2007.
  124. Reson. http://www.reson8.uk.com
  125. Suzanne Swanevelder. http://www.scio.co.za
  126. 박요한, 황대선, 권진완, 신현규. 한방의료기관 의료기기 보유 현황에 대한 조사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2011; 32(2): 7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