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Arterial thromboembolism (ATE) is a common and fatal complication of hypertrophic cardiomyopathy (HCM) in cats. Therefore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hypercoagulability (using plasma concentration of D-dimer) in HCM cats with different stage of heart failure and left atrial enlargement and also investigated the any correlation with echocardiographic indices (including left free wall thickness at diastole, interventricular septal thickness at diastole, LA to Ao ratio, heart failure stage, existence of systolic anterior motion of mitral valve). The median plasma D-dimer concentration in this study population was $0.51{\pm}0.70$ (range 0 to 2.50) ug/mL in the control group, $1.47{\pm}1.29$ (range 0.3 to 5.79) ug/mL in the HCM group, $1.48{\pm}1.65$ (range 0.3 to 5.79) ug/mL in the ISACHC I group, $1.62{\pm}0.4$ (range 1.31 to 2.07) ug/mL in the ISACHC II group, $1.36{\pm}0.91$ (range 0.3 to 2.31) ug/mL in the ISACHC III group, $1.90{\pm}1.60$ (range 0.3 to 5.79) ug/mL in the cat with LA dilation, $1.72{\pm}0.72$ (range 0.6 to 2.31) ug/mL in cats with SEC-T, $1.19{\pm}0.70$ (range 0.3 to 2.31) ug/mL in the cats with SAM, and $1.63{\pm}0.80$ (range 0.6 to 2.31) ug/mL in the cats with ATE. Our study found the median and mean concentration of plasma D-dimer was higher in cat with HCM, ATE, SECT and SAM and clearly provides evidence of hypercoagulability in cats with HCM, although the severity was not correlated to the dilation of LA and the presence of heart failure. This is the first study evaluating the hypercoagulability in cats with HCM in Korea.
동맥 혈전색전증은 비대성 심근증이 있는 고양이에서의 흔하고 치명적인 합병증이다. 그러므로 금번 연구에서 비대성 심근증의 고양이에서 좌심방 확장 및 심부전의 중등도에 따른 응고 항진 (혈장 D-dimer의 농도 측정을 사용)을 평가하였고, 심장초음파 지표들과의 상관성을 조사 하였다 (이완기 좌심실 자유벽 두께, 이완기 중격의 두께, 좌심실 대 대동맥의 비율, 심부전 단계, 이첨판막의 수축기 전방운동의 존재). 이번 연구 집단에서 평균 혈장 D-dimer 농도는 대조군에서 $0.51{\pm}0.70$ (range 0 to 2.50) ug/mL, HCM 고양이 집단에서 $1.47{\pm}1.29$ (range 0.3 to 5.79) ug/mL, ISACHC I군에서 $1.48{\pm}1.65$ (range 0.3 to 5.79) ug/mL, ISACHC II군에서 $1.62{\pm}0.4$ (range 1.31 to 2.07) ug/mL, ISACHC III군에서 $1.36{\pm}0.91$ (range 0.3 to 2.31) 였으며, 좌심방확장이 있는 고양이에서 $1.90{\pm}1.60$ (range 0.3 to 5.79) ug/mL, SEC-T이 있는 고양이에서 $1.72{\pm}0.72$ (range 0.6 to 2.31) ug/mL, SAM이 있는 고양이에서 $1.19{\pm}0.70$ (range 0.3 to 2.31) ug/mL 그리고 ATE가 있는 고양이에서 $1.63{\pm}0.80$ (range 0.6 to 2.31) ug/mL 였다. 본 연구에서 D-dimer의 농도치가 좌심방 확장과 심부전 유무와 절대적인 상관관계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HCM, ATE, SECT 그리고 SAM이 있는 고양이군이 대조군에 비해 혈장 D-dimer의 중간값과 평균 농도치가 더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HCM이 있는 고양이에서 응고 항진이 나타난다는 명확한 증거이다. 이번 연구는 한국에서 HCM이 있는 고양이의 응고 항진을 평가한 첫 연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