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e house designs of Kazuyo Sejima and Ryue Nishizawa from the 1900s to the early 2000s' works. By analyzing the degree of space integration of each house using the Convex Map of the Space Syntax Theory, this study arrived at the following conclusions in the respects of private space and public space. First, from period 1 (the 1990s) to period 2 (the first half of the 2000s), the differences between average integration values of private space and public space in their works have decreased. Over time, in general, average integration values of private space have increased, and, on the other hand, those of public space have decreased, leading to smaller differences between two sets of values, which means that, as the integration degrees of private and public spaces have become similar, the boundary which divides spaces becomes blurry. Second, in terms of private space, average integration values of private space in S-3 (House in a Plum Grove) and S-4 (House in China), works of period 2, are the highest among those values of their all 10 works. We can identify that, closure degrees of private space in their works have fallen over time. Third, in terms of public space, average integration values of I-2 (Villa in the Forest), I-5 (S-House), and I-6 (Weekend House), works of period 1, are the highest among those values of their all 10 works. Public space has become more central and open from period 1 to period 2.
본 논문은 세지마 카즈요(Kazuyo Sejima)와 니시자와 류에(Ryue Nishizawa)의 1900년대에서 2000년대 초반까지의 주택작품들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공간구문론(Space Syntax Theory)의 Convex Map을 통한 각 주택의 공간별 통합도(Integration)를 분석하여 개인공간 측면과 공용공간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제1기(1990년대) 주택에서 제2기(2000년대 전반) 주택으로 갈수록 개인공간과 공용공간의 통합도(Integration) 평균값의 차이가 작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1기 주택에서 제2기 주택으로 갈수록 대체적으로 개인공간의 통합도 평균값은 높아지고, 공용공간의 통합도 평균값은 낮아져 간극이 좁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개인공간과 공용공간의 통합도가 서로 비슷해지며 공간 구분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개인공간측면에서 살펴보면, 제2기(2000년대 전반) 작품인 S-3(House in a Plum Grove), S-4(House in China)에서의 개인공간들의 통합도 평균값이 10개 작품들중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개인공간은 제1기 보다는 제2기 작품들에서 더 폐쇄도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세째, 공용공간측면에서 살펴보면, 제1기(1990년대) 작품인 I-2(Villa in the Forest), I-5(S-House), I-6(Weekend House)에서의 공용공간들의 통합도 평균값이 10개 작품들중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공용공간은 제2기 보다는 제1기 작품들에서 더 중심적이며 개방적인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