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천궁(川芎)의 활용(活用)을 위한 『동의보감(東醫寶鑑)』 처방연구(處方硏究)

A prescription study in 『Dongeuibogam』 for the Applications of Cnidii Rhizoma

  • 장아령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 대학원 한약자원개발학과) ;
  • 이진호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 대학원 한약자원개발학과) ;
  • 김태현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 대학원 한약자원개발학과) ;
  • 김동현 (경희대학교 생명과학대학 한방재료가공학과) ;
  • 최형욱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 대학원 한약자원개발학과) ;
  • 정명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 대학원 한약자원개발학과) ;
  • 윤용갑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
  • 임규상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 대학원 한약자원개발학과)
  • Jang, A-Ryoeng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Lee, Jin-Ho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Kim, Tae-Hyun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Kim, Dong-Hyun (Department of Oriental Medicinal Materials and Processing, College of Life Science, Kyung Hee University) ;
  • Choi, Hyung-Wook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Jung, Myung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Yun, Yong-Gab (School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Lim, Kyu-Sang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투고 : 2014.05.05
  • 심사 : 2014.06.15
  • 발행 : 2014.06.30

초록

Objectives : Until now the study of Cnidii Rhizoma, hemorrhage, brain waves, such as ischemic brain injury, analgesic, effect overcome of the stress from pregnancy melanin formation and inhibiting effects skin whitening have been published regarding this article. Cnidii Rhizoma demonstrates its different abiliti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This paper reported that effect of Cnidii Rhizoma in Dongeuibogam blended prescriptions as main medicine. In addition, by analyzing data, we studied about utilizing of Cnidii Rhizoma. Methods : Cnidii Rhizoma in Dongeuibogam Prescriptions as the main ingredient was built with database of 202 prescriptions. Thus analyzed data was summarized in detail.(Table-1) If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title of the prescription but in other case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is different, formulations 1 and 2 were divided by the table. Results : The following results were reached through investigations on the prescriptions usikng Cnidii Rhizoma as a key component. 1. Prescriptions taking Cnidii Rhizoma as a monarch drug are utilized for 40 therapeutic purposes. In particular, 12.3% of prescriptions appear in the chapter of head, and 10.8% of those appear in the chapter of women, and 9.4% of eye, 8.9% of child, 6.4% of wind disease respectively. 2. Prescriptions utilizing Cnidii Rhizoma as the main ingredient are used in the treatment of headache, dizziness and pregnancy hemorrhage fetal movement, premature birth and they are also used for treating 131 different types of disease. 3. The dosage of Cnidii Rhizoma in formulas is from 2pun(about 0.75g) to 5don(nearly 18.75g), however 1don(nearly 3.75g) has been taken the most for clinical application. 4. We find out that according to herbs or prescriptions, Cnidii Rhizoma has a variety of functions such as ascending & descending of energy. Samultang is the most useful base prescription which used the Cnidii Rhizoma as the main component.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Cnidii Rhizoma once-amount use (don nearly 3.75g) 4g in head, gynecology, ophthalmology, pediatrics and paralysis disease associated with oriental medicine resource development can be considered to be widely u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Cnidii Rhizoma was used most with 1 don(4g) and can be widely used for the resource development to the disease such as brain, gynecology, ophthalmologhy, pediatrics and wind-associated symptoms.

키워드

Ⅰ. 緖 論

川芎(Cnidium officinale Makino)은 산형과(繖形科: Umbelliferae)에 속하는 多年生 草本인 芎藭이의 根莖으로 9-11월에 採取하여 줄기와 잎을 제거하고 乾燥시켜 藥物로 사용한다.1,2)

川芎은 性溫· 味辛· 無毒하며 肝 · 膽 · 心包經에 작용하는데 芳香性이 있어 走竄하며 能升能降하는 二向性이 있다. 活血行氣의 效能으로 위로는 頭目에 올라가고 아래로는 血海에 도달하며 밖으로는 皮毛에 스며들고 옆으로는 四肢에 통행하므로 血中의 氣藥이라고도 하였다. 또한 辛散溫通의 작용으로 祛風止痛하는 효능이 있어 頭痛과 風濕痺痛의 요약이다.3∼11)

그 성분으로는 Cindium officinale의 根莖에는 cnidilide, ligustilide, neocnidilide, butylphthalide, sedanolic acid등을 主體로 하는 정유 1∼2%를 함유하고 Ligustium chuanxiong의 根莖에는 ferulic acid, cnidium-lacton과 유사한 정유성분과 油狀의 알카로이드를 함유하고 있다.12, 13)

東醫寶鑑의 草部에서 川芎을 다음과 같이 說明하였다. 芎藭은 성질이 따뜻하고 맛은 매우며 독이 없다. 一切의 風病 · 氣病 · 勞損 · 血病등을 치료하고 오래된 瘀血을 제거하고 새로운 피를 생겨나게 하며 吐血, 코피 #xB7; 尿血 · 便血 등을 멎게 하며 風邪와 寒邪가 뇌에 들어가 머리가 아프고 눈물이 나는 것을 낫게 하며 명치끝과 옆구리가 차가운 원인으로 아픈 것을 치료한다. 手 · 足厥陰經과 少陽經에 들어가는 本經藥으로서 血虛로 인한 頭痛의 聖藥이다. 肝經의 風邪를 풀어준다. 川芎 한 가지만 먹거나 오랫동안 복용하면 眞氣를 흩어지게 하고 혹은 갑자기 죽게도 하므로 반드시 다른 약과 輔佐하여 써야한다.24)

지금까지 川芎의 연구로는 腦血流 · 腦波 · 虛血性 腦損傷 등의 腦에 관하여, 鎭痛작용, 姙娠중의 스트레스 克復效果와 피부미백과 멜라닌형성 抑制效果 등에 관한 論文이 발표되어 있다.14∼21)

이와 같이 川芎은 그 特性에 따라 多樣한 效能을 발휘하고 있는 바, 저자는 東醫寶鑑 中 川芎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 · 202處方24∼28)에 대한 治 療領域, 病症 및 主治, 使用量, 處方構成內容 等의 문헌적 자료 분석을 통하여 川芎의 活用에 대한 韓醫學的 知見을 얻었기에 報告하는 바이다.

 

Ⅱ. 本 論

調査方法은 東醫寶鑑 中 川芎이 主藥으로 配伍된 202處方의 內容을 database化하여 文獻的 資料分析 및 硏究內容을 整理하였다. 處方名은 同一하나 構成內容이 다른 경우는 處方에 1, 2를 表記하여 區分하였다.

本 論文에서 主藥이라 함은 處方構成에서 川芎의 役割이나 使用量이 君藥으로 作用하거나, 혹은 여러 가지 藥物과 等分으로 構成되어 있는 경우로 효능과 사용량으로 볼 때 主된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한정하였다.

이에대한 근거로 《素門·至眞要大論》의 “主病之謂君, 佐君之謂臣...”과,《脾胃論》의 “君藥分量最多, 臣藥次之, 使藥又次之, 不可令臣過于君”, “力大者爲君”,《活人心統》의 “凡用藥殊分, 主病爲君, 以十分爲率, 臣用七八分, 輔佐五六分, 使以三四分”이라한 내용을 참조하여 主藥을 定意하였다.22,23)

1. 川芎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治療領域에 대한 調査

川芎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를 東醫寶鑑중 病門을 中心으로 분류한 것을治療領域으로 정하고, 이에 대하여 頻度數가 높은 순서대로 整理하였다 (Table 1). 病門으로 볼 수 없는 雜方門의 2개 處方(玉容膏, 善應膏)은 病症에 따라 諸瘡으로 분류하였고, 正陽湯이 속한 天地運氣門은 除外하였다.

2. 川芎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病症 및 主治 調査

川芎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를 疾患別로 區分하고, 이에 대한 病證 및 主治를 調査하였다 (Table 2).

3. 川芎의 使用量에 대한 調査

川芎의 各 處方別 一回 使用量을 調査하여 整理하였는데 ‘各 等分’과 一回 使用量이 분명하지 않은 處方 76개는 統計에서 除外하였다(Table 3).

4. 川芎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構成內容 調査

川芎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를 疾患別로 區分하고, 이에 대한 構成基本處方 內容은 인용서적을 근거로 기본방을 그대로 사용하여 處方 頻度數가 가장 많은 頭門, 婦人門, 眼門, 小兒門, 風門 등 총 97처방 (川芎主藥 處方의 48% 차지)調査하여 分析하였다(Table 4).29)

 

Ⅲ. 考 察

川芎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治療領域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頭, 婦人, 眼, 小兒, 風, 諸瘡, 寒, 血, 牙齒, 虛勞, 痎瘧, 耳, 後陰, 積聚, 癰疽, 氣, 大便, 胸, 脇皮, 前陰, 火, 精, 聲音, 痰飮, 口舌, 咽喉, 腹, 手, 毛髮, 吐, 浮腫, 神, 言語, 胞, 蟲, 小便, 腰, 肉, 咳嗽, 脹滿 등 40개 領域에서 활용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중 頭門에 사용한 處方 빈도수가 12.3%로 가장 많았고, 婦人門에 사용한 빈도수는 10.8%,眼門에 사용된 빈도수는 9.4%, 小兒門은 8.9%, 風門은 6.4% 등으로 川芎은 주로 頭痛, 眩暈, 眼科疾患과 婦人의 血에 관한 疾患, 그리고 小兒와 外感으로 인한 痛症疾患에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그 밖의 治療領域의 處方인용 빈도수는 Table 1과 같았다.

Table 1.川芎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治療領域

川芎이 主藥으로 활용된 病症을 조사해보면 Table 2에서 보는 바와 같았다.

頭部疾患에 있어서는 頭風證, 風暈, 濕暈, 頭目不淸利, 正頭痛, 偏頭痛, 風寒頭痛, 痰厥頭痛, 氣厥頭痛, 熱厥頭痛, 濕厥頭痛, 頭痛當分六經, 首風證, 眉稜骨痛에 川芎 主藥으로 사용되었다. (Table 2-1)

Table 2-1.頭門에 川芎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病症 및 主治

婦人疾患에서는 求嗣, 胎漏胎動, 半産, 交骨不開難産, 子腫, 子淋, 感寒, 血崩, 産後不語, 産後發熱, 下乳汁, 産後風痓, 産後虛勞, 姙娠通治에 川芎이 主藥으로 사용되었다. (Table 2-2)

Table 2-2.婦人門에 川芎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病症 및 主治

眼科疾患에서는 內障, 外障, 瞖膜, 眼昏, 視一物爲兩, 通治眼病에 川芎이 主藥으로 사용되었다. (Table 2-3)

Table 2-3.眼門에 川芎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病症 및 主治

小兒疾患에서는 에 急驚風, 諸疳, 諸熱, 感冒風寒, 語遲行遲, 諸瘡, 發熱三朝, 解毒, 倒靨, 痘後瞖膜, 附孕婦痘瘡에 川芎이 主藥으로 사용되었다. (Table 2-4)

Table 2-4.小兒門에 川芎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病症 및 主治

風病에서는 風有中血脉, 中腑中臟之異, 口眼喎斜, 手足癱瘓, 中風熱證, 中風宜調氣, 風非大汗則不除, 風病須防再發, 諸風通治, 三痺에 川芎이 主藥으로 사용되었다. (Table 2-5)

Table 2-5.風門에 川芎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病症 및 主治

諸瘡 · 寒 · 血병에서는 大風瘡, 天疱瘡, 瘰癧, 疳瘻, 疥癬, 有名無名諸惡瘡, 兩感傷寒爲死證, 傷寒表證, 可汗不可汗證, 外感挾內傷證, 衄血, 便血, 失血眩暈, 通治血病藥餌에 川芎이 主藥으로 사용되었다. (Table 2-6)

Table 2-6.諸瘡 ⋅ 寒 ⋅ 血門에 川芎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病症 및 主治

牙齒 · 虛勞 · 痎瘧질환에서는 蟲蝕痛, 牙齒動搖, 齒病含漱方, 陽虛用藥, 陰陽俱虛用藥, 虛勞通治藥, 六經瘧, 瘧晝發夜發宜分治, 痎瘧에 川芎이 主藥으로 사용되었다. (Table 2-7)

Table 2-7.牙齒⋅ 虛勞 ⋅ 痎瘧門에 川芎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病症 및 主治

耳 · 後陰 · 積聚 · 癰疽 · 氣 · 大便질환에서는 耳鳴, 耳痛成膿耳, 瘻痔, 腸風臟毒, 痔漏, 六鬱爲積聚癥瘕痃癖之本, 食鬱, 癰疽五發證, 腎癰, 便癰, 附骨疽, 氣痛, 氣鬱, 泄證有五, 寒痢에 川芎이 主藥으로 사용되었다. (Table 2-8)

Table 2-8.耳 · 後陰 · 積聚 · 癰疽 · 氣 · 大便門에 川芎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病症 및 主治

胸 · 脇 · 皮 · 前陰 · 火병에서는 熱心痛, 積心痛, 單方, 氣鬱脇痛, 風寒脇痛, 脇痛分左右, 丹毒, 麻木, 寒疝藥, 血疝藥, 陰囊濕痒, 中焦熱, 五心熱, 陰虛火動에 川芎이 主藥으로 사용되었다. (Table 2-9)

Table 2-9.胸 · 脇 · 皮 · 前陰 · 火門에 川芎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病症 및 主治

精 · 聲音 · 痰飮 · 口舌 · 咽喉 · 腹 · 手 · 毛髮 · 吐 · 浮腫질환에서는 夢泄屬心, 聲音出於腎, 因雜病失音, 熱痰, 痰飮通治藥, 口臭, 口糜, 單乳蛾雙乳蛾喉痺, 咽喉痛, 痰飮腹痛, 腹痛通治, 肩臂病因, 痰飮多爲臂痛, 鬚髮黃落, 吐藥, 氣分證血分證, 浮腫通治藥, 香譜에 川芎이 主藥으로 사용되었다. (Table 2-10)

Table 2-10.精 · 聲音 · 痰飮 · 口舌 · 咽喉 · 腹 · 手 · 毛髮 · 吐 · 浮腫에 川芎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病症 및 主治

神 · 言語 · 胞 · 蟲 · 小便 · 腰 · 肉 · 咳嗽 · 脹滿질환에서는 癲癎, 大驚不語, 經斷復行, 治諸蟲藥, 血淋, 濕熱腰痛, 肉苛證, 子午之歲, 勞嗽, 血脹에 川芎이 主藥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able 2-11)

Table 2-11.其他 門에 川芎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病症 및 主治

川芎이 主藥으로 사용된 處方의 一貼當 川芎사용량을 조사한 결과는 Table 3과 같았다. 126種의 方劑에서 川芎의 사용량은 二分∼四分, 五分∼八分, 一錢二分∼一錢半, 一錢六分∼二錢, 二錢半∼五錢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東醫寶鑑 原文에서는 사용량이 二分에서 三兩까지도 기재되어 있었지만, ‘各 等分’과 같이 一回 使用量이 分明하지 않은 처방 76개를 統計에서 除外하면 Table 3과 같이 二分에서 五錢까지로 나타났음을 알 수있었다. 그 중에서도 사용량이 一錢인 경우가 전체의 46.8%로 가장 많았는데 이는 다른 약과의 調劑過程에 참고해야 할 것으로 思料된다.

Table 3.川芎의 一回使用量

川芎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를 疾患別로 區分하고, 이에 대한 構成基本處方 內容을 處方 頻度數가 가장 많은 頭門, 婦人門, 眼門, 小兒門, 風門등 총 97처방 (川芎主藥 處方의 48% 차지)調査하여 分析하였다.

먼저 Table 4-1에서 보는 바와 같이 頭風證에는 川芎散, 溫白丸, 防風湯, 川芎茶調散이 眩暈에는 麻黃附子細辛湯, 川芎散, 三生丸, 溫白丸, 乳香散등이 頭痛에는 三生丸, 溫白丸 등이 기본방으로 활용된 것으로 보아 三生丸, 溫白丸이나 川芎茶調散등의 祛風鎭痛藥과 함께 사용된 것을 알 수있었다.

Table 4-1.頭門에 川芎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構成內容

婦人疾患에서는 Table 4-2와 같이 姙娠을 원하는 求嗣에서는 桂枝茯笭丸類, 四君子湯, 芎歸湯등이 姙娠중의 질환인 胎漏胎動, 半産 등에서는 四物湯, 保安白朮湯, 小膠艾湯, 桃紅四物湯등이 川芎과 配伍되어 활용되었고 分娩후의 疾患인 血崩, 産後發熱, 産後風痓 등에서는十全大補湯類, 膠艾四物湯類, 八珍湯類, 異香四神散, 四物湯, 防風湯등을 基本方으로 되어 있으며 주로 四物湯을 활용하였다.

Table 4-2.婦人門에 川芎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構成內容

Table 4-3과 같이 內障, 外障, 視一物爲兩등의 眼科疾患에서는 四物湯, 蒼朮散類, 菊花散類, 淸凉散類, 散熱飮子, 回香凉膈散, 洗肝散去大黃, 蒼朮散去白蒺藜 등의 기본방을 중심으로 川芎과 配伍되어 활용한 것을 보면 四物湯과 散熱飮子, 菊花, 決明子 등의 淸熱凉血之劑를 응용한 것을 알 수있었다.

Table 4-3.眼門에 川芎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構成內容

小兒疾患은 Table 4-4와 같이 瀉淸丸, 四物湯類, 荊芥敗毒散類 등이 기본방을 활용하여 川芎과 配伍된 것으로 보아 急驚風, 諸熱, 發熱三朝 등의 小兒에게 흔한 疾患에 祛風解熱藥을 활용하였다.

Table 4-4.小兒門에 川芎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構成內容

Table 4-5는 風病에 川芎과 함께 配伍된 기본방을 보여주고 있는데 口眼喎斜, 手足癱瘓, 中風熱證, 風病須防再發등의 질환에 烏藥順氣散類, 防風湯, 導痰湯, 芍藥甘草湯, 十全大補湯, 四物湯, 四君子湯, 古防風湯, 大川芎丸, 導痰湯類 등을 활용하였는데 祛風祛痰之劑와 補氣血藥등과 함께 사용하였다.

Table 4-5.風門에 川芎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構成內容

川芎은 配伍되는 藥物에 따라 주 效能이 변화되는데18), ‘下行血海’의 작용으로 補血하는 當歸와 배합되면 芎歸湯으로 補陽하고 氣를 循環시켜서 瘀血을 제거하고 止痛하는 효과가 있어 月經不順이나 産後瘀血로 인하여 발생하는 腹痛, 癰瘡腫痛 및 風濕으로 인한 痺痛에 상용한다. 芎歸湯에 地黃과 芍藥을 가한 것이 四物湯으로 血虛를 補하고 經血을 조절하는 작용을 나타낸다. 여기에 人蔘과 黃芪등을 가하면 氣虛를 補하고 新血을 生하게 한다. 또한 乳香 沒藥과 함께 사용하면 活血止痛하고 桃仁 紅花와 같이 배합하면 瘀血을 消散시키며 香附子와 같이 사용하여 活血行氣하여 止痛하는 작용이 있다. 아마도 이런 配伍作用을 기반으로 婦人, 眼, 小兒疾患에 川芎을 응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 약물은 ‘上行頭目’의 작용이 있어 風寒頭痛에는『川芎茶調散』과 같이 白芷 細辛 荊芥등과 배합하고 風熱頭痛에는『川芎散』에서와 같이 石膏 菊花 白殭蠶과 배합하며 肝風의 眩暈과 頭痛에는 天麻와 배합하고 風濕痺痛에는『羌活勝濕湯』에서와 같이 羌活 獨活 防風과 배합하여 사용 하였다.19) 이런 川芎의 配伍作用을 바탕으로 頭,眼, 小兒門에 川芎을 다른 藥物과 같이 사용한 것 으로 사료된다.

이는 또한 東醫寶鑑24)에서 ‘川芎 한 가지만 먹거나 오랫동안 복용하면 眞氣를 흩어지게 하고 혹은 갑자기 죽게도 하므로 반드시 다른 약과 輔佐하여 써야한다.’ 라고 하였으니 川芎의 活用에서 다른 약과의 配合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川芎이 主藥으로 사용된 處方의 基本方의 빈도는 四物湯이 압도적으로 가장 많았으며 頭門에서는 川芎茶調散, 三生丸, 溫白丸이 風門에서는 九味羌活湯, 人蔘敗毒散등을 기본방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이는 處方에서 川芎은 芳香性이 있어 走竄하며 能升能降하는 二向性이 있고 活血行氣의 效能으로 위로는 頭目에 올라가고 아래로는 血海에 도달하며 밖으로는 皮毛에 스며들고 옆으로는 四肢에 통행하며 또한 辛散溫通의 작용으로 祛風止痛하는 효능이 있어 頭痛과 風濕痺痛 의 治療에 重要한 藥이 됨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대부분의 病因이 風病과 血病을 治療 하는데 川芎이 配伍되어 사용 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結果는 川芎이 配伍된 方劑를 분석하고 構成藥物의 작용을 理解하는 것뿐만 아니라, 韓藥資源의 開發을 위한 川芎活用의 理論的根據를 提示하는데 많은 寄與를 할 수 있을 것으로 思料된다.

 

Ⅳ. 結 論

韓藥資源의 폭넓은 開發과 活用을 위하여 東醫寶鑑에 川芎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 202處方에 대한 治療領域, 病症·主治, 各 處方別 一回 사용량, 構成內容 등의 資料調査를 한 바 다음과 같이 要約할 수 있었다.

1. 川芎이 主藥으로 構成된 方劑는 총 40개 治療領域에 사용되었으며, 頭門이 12.3%로 가장 많은 빈도수를 나타내었고, 婦人門이 10.8%, 眼門이 9.4%, 小兒門이 8.9%, 風門은 6.4%순으로 이상 5가지 治療領域이 총 97처방·48%를 차지하였다.

2. 川芎은 頭痛, 眩暈등의 頭部 病症에, 胎漏胎動, 半産과 같이 婦人 病症에, 內障 外障등의 眼科 病症에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었으며, 그 밖에도 風, 小兒, 諸瘡, 牙齒, 虛勞, 痎瘧 등에서 131개病症에 다양하게 活用되었다.

3. 川芎을 主藥으로 활용한 處方의 一回 사용량은 二分~五錢까지 다양하며, 그 중에서도 一錢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그 다음은 五分~八分, 一錢二分~一錢半의 순이었다.

4. 川芎은 配伍되는 藥物과 處方에 따라 能升能降하여 活血行氣, 祛風止痛, 等의 작용을 하는데, 대부분의 病因이 風病과 血病 으로 頭部,小兒, 風疾患에서는 祛風을 婦人疾患과 眼科疾患에서는 補血活血藥과 淸熱瀉火藥을 함께 사용되었으며 血虛의 대표적인 通治方인 四物湯이 基本方으로 가장 많이 사용 되었다.

이상과 같은 結果로 보아 川芎은 1회 사용량 一錢·4g 정도의 分量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頭部, 婦人科, 眼科, 小兒科 및 風과 관련된 病症에 대한 資源開發에 널리 活用될 수 있을 것으로 思料된다.

참고문헌

  1. Shin MG. Clinical Herbal Medicine. Seoul. Youngrimsa. 1997: 249-52.
  2. National Oriental Medicine School Coeditorship of Herbal Medicines Professors. Herbal Medicine. Seoul. Youngrimsa. 2004:447-8.
  3. Bu YM. Herbal Medicine. Seoul. Youngrimsa. 2012: 598-602.
  4. Ok ES. Herbal Medicine. Seoul. Shingwang Publishers. 2004: 244-5.
  5. Korean Oriental Medicine Research Institute. Herbal Medicine. Seoul. Yeogang Publishers. 1993: 316-7.
  6. Lee SI. Herbal Medicine. Seoul. Suseowon. 1981: 407-9.
  7. Kim JS. Herbal Medicine. Seoul. Jinmyong Publishers. 1975: 367-370.
  8. Nong IG. (Chinese Herbal Medicine) Herbal Medicine. Seoul. Bokuennews. 1998: 479-81.
  9. Yuk CS, Ahn DG. Modern Herbal Medicine. Seoul. Gomunsa. 1972:378.
  10. Hwang CS. Dongreung Herbal Medicine. Seoul. Daejong. 2013: 146-7.
  11. Shin GG. Itemized Discussion of Shin. Gil Gu's Herbal Medicine. Seoul. Sumunsa. 1988:600-3.
  12. Kim HG. Pharmacological Action of Herbal Medicine. Seoul. Koryo Medicine. 2000:90-2.
  13. Han JH, Kim GY. Herbal Medicine Pharmacology. Seoul. Euiseongdang. 2004: 364-7.
  14. Choi BH. Effect of Cridii Rhizoma Water Extract on the Cerebral Blood Flow.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Graduate School of Wonkwang University. 2003.
  15. Yeon BR. Effect of Volatile Organic Chemicals in the Essential Oil of Cnidium officinale Makino on Electroencephalogram. Department of Biological Chemistry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013.
  16. Baek IS. The Effect of Cnidium Officinale extract on the Ischemic Stroke and Oxidative Neural Damage in Rats' Brai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Graduate School of Kyungsan University. 2002.
  17. Hong SY. Effects of Prenatal Cnidium officinale Makino Treatment on spatial Memouy and Neurogenesis in the Hippocampus of Rat Pups Borm from the Matemal Rats Exposed to Nosise-stress during Pregnanc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Graduate School of Kyungwon University. 2006.
  18. Kim JH. A Study on Pharmacological Action of Analgesic Effect of Cnidium officinale Makino,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Graduate School of Kyunghee University Gradate School. 2006.
  19. Park WP. Analgesic Effect of the Essential oil Fragrance from the Rhizomes of Cnidium officinale Makino.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Graduate School of Dongguk University. 2002
  20. Kim YZ. The Whitening Effect of the mixture of Johyeob and Cheongung as the material of herbal cosmetics. Department of Polymer Engineering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 University. 2006.
  21. Kim YJ. Inhibitory Effect of Methanolic Extract of Cnidii Rhizoma on the Melanogenesis. Department of Oriental Medicine Graduate School of Sangji University. 2005.
  22. Lee B. Compositional Herbal Effect (Book 1). Beijing. Public Sanitation Publishers. 2002: 68.
  23. Heo JG, Wang MJ. Compositional Herbal Effect. Beijing. Public Sanitation Publishers. 1995: 14.
  24. Heo Jun. Newly Cross-translated Dongeuibogam. Seoul. Beobinmunhwasa. 2007; 236, 260, 262, 286, 306, 315, 316, 319, 321, 336, 339, 348, 371, 382, 476, 498, 518, 538, 556, 572, 574, 576, 578, 579, 582, 583, 609, 610, 615, 624, 625, 628, 629, 631, 632, 636, 638, 645, 655, 656, 662, 680, 681, 696, 697, 703, 710, 715, 740, 742, 773, 776, 787, 793, 794, 805, 812, 838, 840, 867, 877, 878, 887, 901, 905, 906, 943, 1002, 1023, 1024, 1033, 1035, 1036, 1039, 1040, 1041, 1042, 1045, 1047, 1069, 1091, 1130, 1137, 1175, 1187, 1246, 1247, 1248, 1259, 1260, 1308, 1349, 1351, 1352, 1379, 1380, 1390, 1431, 1432, 1435, 1486, 1499, 1504, 1506, 1527, 1532, 1534, 1540, 1548, 1549, 1554, 1568, 1635, 1636, 1642, 1653, 1656, 1657, 1664, 1669, 1670, 1673, 1676, 1677, 1679, 1680, 1683, 1694, 1726, 1745, 1749, 1754, 1758, 1759, 1761, 1769, 1771, 1776, 1789, 1795, 1797, 1959-60.
  25. Lee C. Introduction of Noted Herbal Medicine. Seoul. Beobin Munhwasa. 2009; 129, 1098, 1116, 1133, 1137, 1568, 1585, 1736, 1748, 1756, 1766, 1783, 1786, 1792, 1817, 1889, 1950, 1951, 1960, 1980, 1999, 2011, 2039, 2040, 2069, 2070, 2085, 2088, 2114, 2118, 2124, 2132, 2133.
  26. Gong JH, Jin JG. Manbyenghuichun. Seoul. BeobinMunhwasa. 2007; 152, 433, 597, 600, 601, 677.
  27. Nu Y, Jin JP. Euihakgangmok. Seoul. BeobinMunhwasa. 2010; 236, 354, 360, 363.
  28. Woo D. Herbal Medicine Standard. Seoul. Seongbosa ; 356, 364, 430.
  29. Yun YG. New Korean Compositional Herbal Effect 2223. Seoul. Jeongdam. 2006; 4, 9, 19, 56, 65, 67, 68, 114, 119,150, 166, 170, 185, 252, 278, 279, 280, 300, 302, 312, 314, 315, 318, 319, 321, 322, 325, 329, 332, 334, 335, 336, 343, 355, 378, 391, 397, 436, 438, 458, 461, 463, 511, 512, 516, 517, 536, 549, 553, 560, 661, 666, 672, 694, 720, 728, 753, 783, 787, 831, 845, 852, 853, 896, 929, 947, 952, 968, 974, 987, 992, 993, 996, 1004, 1012, 1014, 1033, 1051, 1052, 1061, 1066, 1090, 1121, 1127, 1130, 1131, 1133, 1170, 1200, 1216, 1221, 1238, 1269, 1270, 1274, 1275, 1280, 1287, 1288, 1292, 1295, 1305, 1308, 1311, 1312, 1327, 1339, 1341, 1353, 1389, 1430, 1443, 1463, 1468, 1469, 1531, 1554, 1576, 1588, 1640, 1641, 1660, 1686, 1688, 1717, 1720, 1736, 1738, 1749, 1796, 1806, 1810, 1832, 1833, 1855, 1872, 1875, 1902, 1949, 1970, 1985, 1987, 1992, 2137, 2170, 2173, 2179, 2231, 2242, 2263, 2316, 2340, 2358, 2361, 2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