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a Herb pair of Pericarpium Zanthoxyli(Zanthoxyli Fructus) in 『Donguibogam』

『동의보감(東醫寶鑑)』에 활용된 천초(川椒)(촉초(蜀椒), 화초(花椒)) 약대(藥對)에 관한 연구(硏究)

  • Yang, Yoon-Hong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won, Jae-Won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Jang-Cheon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Boo-Kyun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양윤홍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 권재원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 이장천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 이부균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4.04.20
  • Accepted : 2014.06.05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erb-pair prototype composed of Pericarpium Zanthoxyli in "Donguibogam", to investigate origin of them. Methods : We researched the usages of Pericarpium Zanthoxyli compatibility as following procedure : 1. Choosing a related words such as Pericarpium Zanthoxyli(蜀椒, 川椒, 花椒) 2. Searching prescriptions: We searched prescriptions containing the related words in "Dongeuibogam" through "wook system", analyzed the selected prescription and found out herb-pair prototype composed of Pericarpium Zanthoxyli. Results : We found 12 fomulas in which Pericarpium Zanthoxyli herb pair was combinated and We made a Table 1. for the description of name of fomula, indication and herb configuration. Conclusions : Pericarpium Zanthoxyli was paired with below herbs; 檳榔(Arecae Semen), 細辛(Asari Radix), 苦楝根(Meliae Radix), 蔥白(Allii Fistulosi Bulbus), 茴香(Foeniculi Fructus), 巴豆(Crotonis Semen), 蓽撥(Piperis Longi Fructus), 露蜂房(Vespae Nidus), 肉桂(Cinnamomi Cortex), 艾葉(Artemisiae Argyi Folium), 細茶(Camellia sinensis), 雄黃(Realgar), 杏仁(Armeniacae Amarum Semen).

Keywords

I. 서 론

방제는 변증입법의 기초 위에 처방의 구성원칙을 세워 적당한 약물을 선택 배오하고, 일정한 제형을 설정하여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응용하는 의료수단1)으로서, 한의의료행위 중 처방과 제조를 말한다. 단일 약물의 효능이 배오를 통해 배오 이전의 효능이 달라지는 것에 배오의 의의가 있으며 그러므로 방제는 배오를 통해 구성된다고 할 수 있다.

배오이론은 한 種의 약물을 치료제로 써오면서 病狀에 따라 필요한 다른 약물을 가해서 써 봄으로써2), 두 세 가지 약물의 배오로 활용이 늘어감에 따라 이를 일반화하여 개념을 형성한 것으로『神農本草經』의 七情에서 최초의 구체적인 이론이 정립되었다. 배오이론 중 藥對는 최소단위의 처방구성이므로 약대 연구를 통해 처방이 확대 발전됨을 알 수 있다.

川椒(Pericarpium Zanthoxyli) 또는 蜀椒(Zanthoxyli Fructus)는 『神農本草經』 을 위시하여 그 후의 본초저작들과『五十二病方』, 『肘後備急方』을 비롯한 방제저작들에 그 활용이 기록되어 있다. 花椒 또는 秦椒라고도 불리우며 초피나무 Zanthoxylim piperitum A.P. DC.,와 화초 Z. bungeamun Maxim.와 산초나무(靑椒) Z. schinifolium S. et Z.의 성숙한 과피로서, 溫中散寒·除濕止痛·殺 蟲·解魚醒毒의 효능이 있고 주치증으로는 積食停飮, 心腹冷痛, 嘔吐, 噫呃, 咳嗽氣逆, 風寒濕痹, 泄瀉, 痢疾, 疝痛, 齒痛, 蛔蟲病, 蟯蟲病, 陰痒, 瘡疥3)등이 있다.

약물배오에 관한 선행연구로는, 藥物의 배오에 따른 기본방제의 활용에 대해 문헌적으로 고찰하여 七情配伍를 방제구성의 기본단위라고 주장하는 尹4), 相須配伍 相使配伍, 相畏, 相殺配伍 등 약물배오에 따른 효능의 변화를 연구한 尹5)과 약물배오 이론의 역사적 배경과 배오원리에 관한 기초적 연구를 수행한 朴6)의 연구 등이 있다. 蜀椒에 대한 한의학적 선행연구로는 蜀椒의 가열추출물이 白鼠의 摘出 胃腸管에 대해 진통효과와 평활근 작용을 실험한 朴, 盧7)의 연구와 川椒 또는 山椒의 摘出腸管에 대한 작용, 진통, 해열, 부종억제, 혈관투과성 및 혈압강하 작용에 대한 실험을 수행한 吳, 元, 丁8)의 연구, 촉초 배오에 관한 李등9)의 연구가 있다.

천초에 관한 최근 국내연구는 鄭의 천초의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적 성질과 대식세포에서의 세포손상을 유발하는 lipopolysaccharides(LPS)에 대한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iNOS), cycleooxygenase-2(COX-2)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논문이 있는데 연구결과, Pericarpium Zanthoxyli 추출물이 자유기 억제와, iNOS와 COX-2 enzyme 및 지질의 과산화 억제를 통해 중요한 항산화적작용을 일으킨다는 것을 제시하였다10). 또 다른 논문으로는 趙의 분자 수준에서 real-time PCR을 이용해서, 천초 추출물이 OP9 cell의 지방 세포 분화 억제에 관한 논문과11) 金의 천초의 항비만 효과를 실험적으로 조사하기 위하여 천초 추출물을 OP9지방세포에 처리한 결과 지방세포 분화 초기에 발현하는 C/EBPβ 발현을 억제하여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함을 확인하는 논문12)이 있다. 천초(화초)에 관한 최근 중의학의 연구로는 常 등의 花椒가 溫中작용, 散寒작용, 助陽·復陽 작용 및 氣血煦養작용을 촉진하여 질병치료와 양생 및 미용의 목적을 달성한다는 연구13)와 何 등의 胃痛隱隱或痞滿, 綿綿不休, 喜暖喜按, 空腹痛甚, 得食則緩 勞累或受凉後發作或加重의 主症 2항과, 泛吐淸水, 神疲納呆, 四肢倦怠, 手足不溫, 大便溏薄, 舌淡苔白, 脈虛弱의 次症 2항이 있으면 脾胃虛寒證으로 변증한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에게 花椒과립 25알을 아침 식전 20분전에 복용시켜 치료한 45례의 치료 효과를 발표한 임상연구14)가 있다.

이에 오랜 역사적 활용과 최근의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는 천초(촉초,화초를 포함)가 약대로 배오되어『東醫寶鑑』에 어떻게 활용되었는지에 대해 조사·연구하여 일정한 知見을 얻었기에 이를 발표하고자 한다.

 

II. 본 론

1. 연구목적

동의보감에 활용된 천초의 약대를 찾고 그 약대의 원형을 규명하고자 한다.

2. 연구방법

욱시스템은 본초를 포함하는 처방을 찾고, 처방명, 출전, 본초구성, 처방효능 분석, 처방의 본초 정보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이에 저자는 욱시스템(http://wooks.or.kr/)15)에서 촉초, 천초, 화초의 용어를 입력하여 이와 관련된 처방을 찾아 이를 남산당 『東醫寶鑑』, 법인문화사 『東醫寶鑑』 과 대조하였으며 이들을 동의보감이 인용한 출전에서 검토한 후 확인하였다.

동의보감 중 천초가 포함된 처방들을 인용된 출전의 원문에서 확인된 처방들 중 선행연구에서 밝힌 천초약대와 비교하여 그 주치증이 처방의 주치증에 포함된 경우만을 천초약대가 활용된 처방으로 선정하였다.

약대로 구성되었음을 보여주는 근거로는 한의학 고전 및 약대에 관한 선행연구에 천초 약대로 밝혀진 것과 주치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본초의 효능, 주치증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된 기록 등을 기반으로 하였다. 이 근거를 각각의 천초 약대 설명에 기술하였으며 이를 정리하여 Table 1.로 만들었다.

Table1.Usages of a Herb pair of Pericarpium Zanthoxyli(Zanthoxyli Fructus) in 『Donguibogam』37)

3. 결과

위와 같은 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동의보감에는 다음과 같은 천초 약대가 사용되었음을 알게되었다.

1) 川椒 檳榔의 藥對

川椒의 주치증으로 『本草綱目』 에 散鬼疰蠱毒, 殺回蟲, 冷蟲心痛16)이 있고 檳榔도 殺三蟲, 伏尸, 寸白의 효능이 있어 蛔厥腹痛, 寸白蟲病 및 諸蟲在服을 치료16)하므로 이 두 약물이 相須배오가 되어 蛔厥者 胃寒所生, 胃中冷則吐蛔를 치료하기 위한 川椒 檳榔의 약대를 구성한다.

2) 川椒 細辛의 藥對

『金匱要略』의 烏梅丸에 대해 吳崑은 천초, 세신의 辛味로 蛔蟲이 죽는다1)17)고 하였으므로 蛔 厥心腹痛을 치료하기 위한 처방에는 川椒 細辛가 상수배오 되어 약대9)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3) 川椒 苦楝根의 藥對

治瘵에서 尸蟲을 치료하기 위하여 川椒 苦楝根이 쓰이며2)18), 『本草綱目』 에 고련근의 주치가 회충, 利大腸16)이므로 勞瘵증상에서 시충을 제거하기 위하여 川椒, 苦楝根가 相須배오되었음을 알수 있다.

4) 川椒 蔥白(蔥根)의 藥對

川椒의 주치증으로 『本草綱目』 에 腹内冷痛,除齒痛16)있고 蔥白의 주치에는 음독복통16)이 있고 또한 陰寒腹痛 解毒殺蟲3)을 치료하므로 이 두 약물이 相須배오가 되어 久年泄瀉臍腹冷痛, 蟲牙痛, 風牙蟲牙痛 치료하기 위한 川椒 蔥白의 약대를 구성한다.

『醫學綱目』의 足跟凍瘡潰破 用椒蔥湯洗, 刮去腐肉3)19)에서 椒蔥湯은 川椒 蔥白의 전탕액이므로 川椒 蔥白이 약대가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洗痔瘻, 痔漏, 楊梅瘡毒, 下疳瘡. 膁瘡臭爛, 足跟凍瘡潰破치료를 위해 川椒 蔥白 약대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世醫得效方』의 附骨疽脓汁淋 하여 오랫동안 낫지 않는 附骨疽를 치료하기 위한 赤朮圓4)20)에 川椒 蔥白 약대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5) 川椒 茴香의 藥對

『本草綱目』에서 川椒 茴香 약대는 久瀉에 치료한다고 하였으므로5)16) 久年泄瀉臍腹冷痛 치료를 위한 川椒 茴香의 약대를 구성한다.

『仁齊直指方論』의 腎氣作痛으로 인한 水疝腫痛를 치료6)21)하기 위한 腰子散에 川椒 茴香 약대가 쓰임을 알 수 있다.

『世醫得效方』의 小安腎丸은 治腎氣虚乏 下元冷惫7)20)하여 생기는 여러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처방이며, 따라서 腎氣冷憊를 치료하기 위하여 川椒茴香 약대가 쓰임을 알 수 있고 또한 腎虛陽衰를 치료하기 위해 쓰임을 알 수 있다.

또한 『世醫得效方』의 復元丹에서 土不制水 水液妄行 三焦不瀉8)20)에 의한 水腫을 치료하기 위해서 川椒 茴香 약대가 쓰임을 알 수 있다.

이처럼 川椒 茴香은 相須배오9)되어 신, 요, 복, 하원의 냉증으로 인한 제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에 약대로 배오되었다.

6) 川椒 巴豆의 藥對

川椒의 주치증으로 『本草綱目』 에 散鬼疰蠱毒, 殺蟲, 除齒痛이 있고 巴豆는 喉痹牙痛, 風蟲牙痛16)의 효능있으므로 이 두 약물이 相須배오가 되어 蟲牙疼痛를 치료하기 위한 川椒 巴豆의 약대를 구성한다.

7) 川椒 蓽撥의 藥對

川椒의 주치증으로 『本草綱目』 에 除齒痛이 있고 蓽撥은 牙痛16)을 치료하는데 쓰이므로 이 두약물이 相須배오가 되어 疼牙落不犯手, 冷證齒痛를 치료하기 위한 川椒 蓽撥의 약대를 구성한다.

8) 川椒 露蜂房의 藥對

川椒의 주치증으로 『本草綱目』 에 散鬼疰蠱毒, 殺蟲, 除齒痛이 있고 露蜂房은 煎水漱牙齒하여 風蟲牙痛을 멈추게하는16) 효능이 있는데 이 두 약물은 相須배오가 되어 擦牙止痛方과 風冷齒痛, 蟲牙痛, 風牙蟲牙痛, 牙齒痛를 치료하기 위한 川椒露蜂房의 약대를 구성한다.

9) 川椒 肉桂의 藥對

『本草綱目』 에서 川椒 肉桂의 약대는 諸痺 치료에 쓰이므로9)16) 陰囊濕痒 치료하기 위한 川椒 肉桂의 약대를 구성한다.

동의보감 본문에서 陰囊濕痒 치료를 위한 椒粉散에는 육계가 없으나 『蘭室秘藏』 卷下 陰痿陰汗門10)22)에는 肉桂가 있어 川椒 肉桂의 상수배오된 약대9)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10) 川椒 艾葉 細茶의 配伍

『古今醫鑑』에 若遇頑瘡, 先用花椒, 細茶, 艾葉濃煎水, 頻頻溫洗令淨11)23)라고 구체적인 약물을 기재하였으므로 川椒 艾葉 細茶의 약대임을 알수 있다.

따라서 內外膁瘡 久年不愈 치료를 위해 川椒艾葉 細茶 배오가 쓰였다는 것을 알 수 있고 『萬病回春』의 滌法. 洗諸般惡瘡12)24)에 花椒 艾葉 細茶 약대로 쓰임을 알 수 있다.

11) 川椒 雄黃의 藥對

『金匱要略』의 升麻鼈甲湯13)25)에서는 川椒와 雄黃이 相畏배오가 되어 陰毒을 치료에 쓰이므로 陰毒 疥癬及諸般惡瘡 陰蝕瘡을 치료하기 위한 처방에는 川椒 雄黃의 相畏배오된 약대9)가 쓰임을 알 수 있다.9)

12) 川椒 杏仁의 藥對

『本草綱目』에서 川椒 杏仁의 약대는 腎風囊痒을 치료14)16)하므로 『醫學入門』의 疥癣風癩, 諸濕痒瘡及婦人陰蝕瘡, 漆瘡火丹, 諸般惡瘡15)26)를 치료하기 위한 摩風散에 川椒 杏仁의 상사배오된 약대9)가 쓰임을 알 수 있다.

 

III. 고 찰

1. 약대에 대한 고찰

1) 약대의 개념

약대란 對子, 兄弟藥, 姉妹藥, 藥組 등으로 불리우며 兩味의 藥으로 짝을 맞춘 임상에서 상용되는 상대적으로 고정된 藥物 配伍중의 최소 단위이다3).

이에 대한 다른 설명으로는 兩藥의 배오응용으로 서로 간에 협동작용이 있으며, 부작용을 해소하고 장점을 취하며 상호작용으로 특수한 효과를 생산하는 것27), 관습적으로 兩藥을 합용하여 협동작용, 약효의 증강 또는 독성부작용의 해소, 제거하여 그 단점을 억제하고 장점을 취하여 원래의 약과 비교하여 다른 새로운 작용을 만들어내는 경험적 배오27), 어떤 증상에 대하여 임상응용시 확실한 효과가 있고 중의학 배오이론과 조합법도에 부합하는 兩種의 藥物配對로서 그 효능이 단미보다 뛰어나며, 대부분 약효가 증강되거나, 전면적 또는 부분적으로 독성부작용을 해소, 제거하는 것27), 역대 의가들의 반복적인 실천으로 精練되고, 약대, 칠정배오이론과 부합하며, 임상상 協同, 持制 또는 新生 효능이 있어, 이미 형성된 상대적으로 고정된 형식으로 통상 兩味의 연합 사용27)이라는 설 등이 있다.

2) 약대의 연혁

약대의 雛形은 『呂氏春秋』의 “夫草有莘有藟 獨食之則殺人 合食之則益壽”의 기록에 처음 나타났으며, 『黃帝內經』 중 烏賊骨, 茹蘆의 배합으로 血枯를 치료하고16)28), 半夏와 秫米를 상호배오하여 失眠을 치료한 것29), 『五十二病方』에 “OO二 鹽一合撓而蒸”으로 嬰兒의 索痙을 치료한 것30), 『神農本草經』중 七情 중 單行을 제외한 배오, 『傷寒論』중 40건에 달하는 兩味 약의 組方 등이 모두 약대의 原型이라 할 수 있다. 北齊·徐之才의 『藥對』는‘撰以衆藥名君臣佐使 性毒 相反 及所主疾病分類하여 治病用藥最祥’31)한 본초서이다. 『重修政和經史證類備用本草』에 인용된 약물중 군약은 64종, 신약은 117종, 사약은 61종이며 좌약은 없었다. 또한 한 약물이 여러 병종에 나타나나 紫草를 제외하고는 92종의 약물의 군신사약의 지위는 변하지 않았다32). 이 후 약대가 임상응용에서 꾸준히 창조되어 『丹溪心法』중 황백, 창출의 二妙散, 『宣明論方』중 활석 감초의 益元散은 모두 후대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청대의 『得配本草』는 약물간의 배오작용을 분명히 밝혀, 得, 配, 佐, 和로 임상 약대응용을 모아 놓았으며, 당·송 이래의 약대에 대해 가장 많이 수록하고, 자세하게 설명한 저작이라 할 수 있다.

3) 약대의 의의

약대는 처방의 최소단위로써 단독으로 사용할수도 있고, 연합하여 처방을 이룰 수도 있으며, 또한 成方에 가감하여 응용할 수도 있다. 즉 두약물이 처방의 君藥으로, 또는 臣藥, 佐藥 혹은 使藥이 되기도 하며 더 나아가 한 약물은 군약이 되고 다른 약물은 輔·佐·使藥이 되기도 한다. 이 외에 成方에 약대를 가감하여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다33).

이러한 약대는 약대 단독으로 쓰이는 경우가 있으나 대부분 용량, 제형 등을 달리하여 방제중에 중요한 일부분이 되므로 단미와 방제간의 교량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기존의 방제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도구가 될 뿐만 아니라. 질병 치료를 위한 새로운 방제를 창조할 수 있는 단서가 되기도 한다.

2. 천초에 대한 고찰

1) 천초의 주치증에 관한 문헌내용.

(1)『神農本草經』에서의 주치는 邪氣咳逆, 溫中, 逐骨節皮膚死肌, 寒濕痺痛, 下氣 이며 오래 복용하면 頭不白, 輕身, 增年34)한다고 한다.

(2)『重修政和經史證類備用本草』는 위『神農本草經』의 주치에『名醫別錄』의 주치증 除六腑寒冷傷寒 溫瘧 大風汗不出 心腹留飮宿食 腸澼下痢 洩精, 女子字乳余疾, 散風邪, 瘕決水腫, 黃疸, 鬼疰蠱毒 殺蟲 解魚를 첨가 했으며. 開腠理, 通血脈, 堅齒髮, 調關節, 耐寒暑31)하는 효능을 추가하였다.

(3)『本草綱目』은 위『重修政和經史證類備用本草』의 주치증 이외에

①『甄權』의 頭風下泪, 腰脚不遂,虛損留結, 破血,下諸石水,治咳嗽,腹内冷痛,除治痛, ②『大明』의 破癥結開胸, 治天行時氣, 産後宿血, 壯陽, 療陰汗, 暖腰膝, 縮小便, 止嘔逆. ③『孟詵』의 通神去老, 益血,利五臟,下乳汁,滅瘢,生毛髮.

④ 그리고 李時珍 본인이 경험한 散寒除濕 解鬱結 消宿食 通三焦 温脾胃 補右腎命門 殺蛔蟲止泄瀉 등을 첨가하였다.

(4)『本草綱目疏』에서는『重修政和經史證類備用本草』의 주치증을 인용하면서,

邪氣咳逆, 皮膚死肌, 寒濕痺痛, 心腹留飮宿食, 腸澼下痢, 黃疸, 水腫 등의 병증을 주치하는 이유는 이 병증들이 모두 脾·肺經의 병이며 肺가 虛하면 外邪가 들어와 咳逆上氣가 되고, 脾가 허하면 水穀을 運化하지 못하여 留飮宿食, 腸澼下痢, 水腫, 黃疸이 된다고 하였다. 또한 두 경락이 모두 風寒濕邪를 받았기 때문에 痛痹, 或死肌, 或傷寒溫瘧에 이르게 된다고 한다. 천초의 辛溫한 약성은 發汗시켜 腠理를 열 수 있으므로 外邪가 皮膚를 통해 나가게 되고, 腸胃를 따뜻하게 하고, 結滯된 것을 散結시킬 수 있으므로 六腑의 寒冷을 없애며, 腸胃가 따뜻해지면 中焦를 다스리게되어 留飮, 宿食, 腸澼下痢, 水腫, 黃疸 등 모두 증상이 모두 치유된다. 또한 女子가 자녀를 생육하면서 생기는 모든 질병 또한 風寒이 外侵하여 冷이 생겨 안에 머무르기 때문이며, 泄精, 瘕決 또한 下焦가 虛寒하여 생긴 것이다. 천초는 右腎命門에 들어가, 相火元陽을 補한즉 精이 스스로 굳게 되고, 癓瘕가 없어진다. 療鬼疰蠱毒, 殺蟲, 解魚의 효능은 천초가 陽氣之正을 얻었기에 일체의 幽暗明毒을 없앨 수 있다고 한다. 外邪가 흩어지므로 關節이 고르게 되고, 內病이 없어지므로 血脈이 通하게 된다. 補陰·凉血의 약을 보좌하므로 머리가 희지 않고, 치아와 모발이 단단해지고, 추위와 더위를 참아낼 수 있으며, 몸이 가벼워지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頭不白, 齒發堅 耐寒暑輕身增年自來矣)35)고 하며 천초의 제 질환에 대한 치료 기전을 설명하고 있다.

(5)『東醫寶鑑』에서의 천초의 주치증은 主皮膚死肌, 寒濕痺痛, 除六腑寒冷, 鬼疰蠱毒, 殺蟲解魚, 除齒痛, 壯陽, 止陰汗, 煖腰膝, 縮小便, 下氣라 되어 있어『神農本草經』,『名醫別錄』그리고『大明』의 주치증을 일부 인용하였으며, 단방의 주치를 각 병문마다 기술하고 있다.

내경편 권삼 蟲 : 殺瘵蟲及諸蟲. ○治瘵 紅椒二分 苦練根一分 作末 丸服 尸蟲盡從大便泄出.

외형편 권이 牙齒 : 堅齒髮 除齒痛. ○凡齒痛惟藉川椒麻痺 ○牙齒痛 川椒 露蜂房 等分爲末 每二錢 入鹽一匙 水煎 含漱吐之.

외형편 권삼 胸 : 治心胸冷痛 酒煮取汁飮之 ○苦熱 食氷雪冷物過多 積冷心脾疼 半歲不愈 川椒三十粒 浸漿水中 經一宿漉出 還以漿水呑下 其病卽脫 更不復作.

외형편 권삼 腹 : 主腹內冷痛 取四十九粒 漿水浸一宿 令口合 空心 以井水呑下.

외형편 권삼 骨 : 逐骨節寒濕痺痛 煮服 丸服竝佳.

외형편 권사 足 : 治寒濕脚氣. 川椒 盛疎布袋中置微火上 跣足踏椒囊 寒濕散去 卽效.

외형편 권사 前陰 : 凡腎氣痛. 須用川椒 水煎服○陰冷 腫痛. 生椒 布褁着囊丸 熱氣通 卽差. ○奔豚氣及內外腎牽痛 椒葉和艾及蔥白 同硏爛 以醋湯拌罯 妙.

잡병편 권팔 諸瘡/漆瘡 : 川椒煎湯洗之 卽愈36).

3. 천초 약대에 대한 고찰

李 등의 연구에서 일부 천초 약대가 밝혀졌으나 그 외에 본 조사결과 다음과 같은 근거로 새로운 천초 약대를 규명하였다.

1)『東醫寶鑑』에서 질환의 치료를 위한 처방의 목적과 그 구성약물인 천초의 효능이 일치하며, 같은 효능을 갖는 다른 약물이 배오된 경우 두 약물은 해당 증상을 치료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배오되었으므로 약대를 구성한다 할 수 있다. 즉 蛔厥吐蟲을 치료하기 위한 천초·빈랑과 齒痛을 치료하기 위한 천초·필발, 천초·노봉방 등이다.

2)『東醫寶鑑』이 인용한 출전에 2味 또는 3味의 천초를 포함한 처방은 그 자체로 약대를 구성한다. 즉 瘵를 치료하기 위한 천초·고련피, 일소산의 천초·파두, 凍瘡을 치료하기 위한 川椒湯의 천초·총백과 諸般惡瘡을 치료하기 위한 세약방의 천초·애엽·세다가 이에 해당한다.

3) 李 등의 연구에서의 천초·회향의 약대는 久瀉를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되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 약대가 腎虛陽衰하여 腎氣冷憊로 생기는 증상들을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되었음을 알게 되었으며, 久瀉도 신양허로 인한 증상의 경우에 해당한다. 또한 천초·총백의 약대도『肘後備急方』에서는 陰毒을 치료하기 위하여,『本草綱目』에서는 囊瘡痛痒을 치료하기 위하여 배오되었으나,『東醫寶鑑』에서는 그 외에 牙齒痛, 痔瘻, 癰疽, 諸瘡 등을 치료하기 위하여 배오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IV. 결 론

이상과 같이 고찰을 통해 살펴본 촉초의 약대는 다음과 같은 효능을 나타낸다.

(1) 川椒 檳榔의 藥對 : 蛔厥에 胃寒所生, 胃中 冷則吐蛔를 치료. (2) 川椒 細辛의 藥對 : 蛔厥心腹痛을 치료. (3) 川椒 苦練根의 藥對 : 瘵를 치료. (4) 川椒 蔥白(蔥根)의 藥對 : 久年泄瀉臍腹冷 痛, 蟲牙痛, 風牙蟲牙痛을 치료. 洗痔瘻, 痔漏, 楊梅瘡毒, 下疳瘡. 膁瘡臭爛, 足跟凍瘡潰破, 附骨疽脓汁淋漓를 치료. (5) 川椒 茴香의 藥對 : 久年泄瀉臍腹冷痛, 水 疝腫痛, 腎氣冷憊, 腎虛陽衰, 水腫을 치료. (6) 川椒 巴豆의 藥對 : 蟲牙疼痛을 치료 (7) 川椒 蓽撥의 藥對 : 疼牙落不犯手, 冷證齒痛을 치료. (8) 川椒 露蜂房의 藥對 : 川擦牙止痛方과 風冷 齒痛, 蟲牙痛, 風牙蟲牙痛, 牙齒痛를 치료. (9) 川椒 肉桂의 藥對 : 陰囊濕痒을 치료. (10) 川椒 艾葉 細茶의 藥對 : 內外膁瘡 久年不愈를 치료. 滌法. 洗諸般惡瘡을 치료. (11) 川椒 雄黃의 藥對 : 陰毒 疥癬及諸般惡瘡 陰蝕瘡을 치료. (12) 川椒 杏仁의 藥對 : 疥癣風癩, 諸濕痒瘡及婦人陰蝕瘡, 漆瘡火丹, 諸般惡瘡을 치료.

References

  1. Co-compilation by professors of formula study of Korean Medicine School. Formula Study. Seoul:Yongnimsa. 2009:27.
  2. Kang SS. Baleunbangjehag. Seoul:Taesong Munhwasa. 1996:47.
  3. Herbology Editorial Committee of Korean Medicine School. Herbology. Seoul:Younglimsa. 2012:97, 174, 298-9, 380-2, 420-1, 713.
  4. Yun YG. Studies on the use of primary prescription by Herb Compatibility. The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al Prescription. 1991;2(1):7-18.
  5. Yun YG. Studies on Changes in efficacy and prescription by Herb Compatibility. The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al Prescription. 1997;5(1):11-22.
  6. Park SD. Studies on Herb Compatibility Theory. The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al Prescription. 1999;7(1):55-64.
  7. Park SD, No SH. Effect of gastrointestinal motility and pain relief by Zanthoxyli Fructus in rats.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1987;2(1):35-42.
  8. Oh WG, Won JH, Jung KM.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s of Zanthoxyli Fructus and Fagarae mandshuricae Fructus.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Pediatrics. 1990;4(1):1-17.
  9. Lee BK, Lim KS, Kang HJ, Lee JC. Study on Herb Pair of Zanthoxyli Fructus(Pericarpium Zanthoxyli). The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al Prescription. 2012;20(1):123-132.
  10. Chung JW. Methanolic extract of Pericarpium Zanthoxyli inhibits iNOS/ COX-2 and lipid peroxidation. Seoul:Department of Pharmacology and Toxicology School of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2013.
  11. Jo DC. Inhibiti on Effects of Pericarpium Zanthoxyli Extracton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OP9 Cells. Yiksan:Dept. of Oriental Medicine Graduate School of Wonkwang University. 2012.
  12. Kim HR. Pericarpium Zanthoxyli Extracts inhibits the adipocyte differentiation through the regulation of C/EBPb expression in OP9 Cells. Yiksan:Dept. of Oriental Medicine Graduate School of Wonkwang University. 2013.
  13. Chang FY, Li Y, Song X, Sun Y, Lai J, Li YC, et. al. Analysis of Chinese Prickly Ash Effects on Anti-aging, Health Preserving and Facial Beautification. Chinese Archive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2;30(1):38-40.
  14. He H, Gao GH. Observation of Treatment Efficacy Treated by Single Herb Zanthoxyli Fructus on Functional Dyspepsia Differentiated Spleen-Stomach Deficiency Cold Syndrome 45 Cases. Gansu Medical Jounal. 2013;32(7):525-7.
  15. URL: http://164.125.205.150/HerbCenter.aspx.Accessed April 30, 2014.
  16. Li Shizhen. Bencaogangmu. Beijing: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2003:1852-3, 18531-2, 1582, 1852, 2053-6, 873, 2228, 1854, 1855.
  17. Wu kun. Yi fang kao. Seoul:Uiseongdang. 1993:51.
  18. Yu Tuan. Yixuezhengzhuan. Beijing:Zhongyi Guji Chubanshe. 2002:165.
  19. Lou ying. Yixuegangmu. Beijing:China Pres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1998:430.
  20. Wei Yi-lin. Shiyidexiaofang. Seoul:Yogang Ch'ulp'ansa. 1987:266, 317-8, 597.
  21. Yang Shiying. Series of Chinese Medicine Vol 12. ZinnsaiTyokusi. Seoul:Yogang Ch'ulp'ansa. 1988:366-367.
  22. Li Dongyuan. Li Dongyuan Yixuequanshu. Taiyuan:Shanxi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House. 2012:167.
  23. Gong xin. Gujinyigam. Beijing:China Pres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07:456.
  24. Gong Tingxian. Wanbinghuichun, the second volume. Seoul:Gyechuk Munwhasa. 2003:412.)
  25. Gwakdongryeol. Jinguiyaolueyijie. Seoul:Seongbosa. 2002:96.
  26. Li Chan. Yixuerumen. Seoul:Taesong Munhwasa. 1980:369.
  27. Zhao Jufeng, Huai Zhou. A tentative assumption on the concept of herb pairing and a theory of combination. Journal of Shanxi College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06;7(3):17.
  28. Wang B.(annotation). Huangdi's Internal Classic-Plain Question. Seoul:Yeogang. 1987:127, 49, 87.
  29. Wang B(annotation). Huangdi's Internal Classic-Miraculous Pivot. Seoul:Yeogang. 1987:408.
  30. Sheng Jialin. History of Herb pairing and the outline of a theoretical Study. Journal Of Shandong Universit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1995;8(3):33.
  31. Tangshenwei. Chongxiuzhenghejingshizhengleibeiyongbencao. Taipei:Southern Bookstore Publishing. 1976:39, 340.
  32. Van Wing, Liang Mao-Xin, Ma Ji. Investigation on monarch, minister, adjuvant and dispatcher herbs of Herb Pairs. China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Pharmacy. 2011;26(8):1692-4.
  33. Park DS, Kim SC, Park SK, Shin SS. Organizing principle of herbal medicine prescription. Seoul:Yongnimsa. 2004:30-1.
  34. Shang zhi jun. Notes on Shennongbencaojing. Beijing:Academy Press. 2008:133.
  35. Mou xi yong. Shennongbencaojingshu. Beijing: Zhongyi Guji Chubanshe. 2002:519-20.
  36. Tongui Munhon Yon'gusil (Korea). Dongeuibogam. Seoul:Bubinmunhwasa. 2009:470-471, 480, 529, 529, 700, 702-703, 705-706, 757, 777, 835, 860, 877, 880, 888, 895, 914, 1098, 1256, 1376-1377, 1507, 1533, 1554, 1557, 1558, 1561, 1562, 1564, 1566, 15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