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urvey on Competencies of Consultants of Guidance Consulting Supervision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를 활용한 컨설팅장학 생활지도 영역 컨설턴트의 역량 분석

  • Received : 2014.02.10
  • Accepted : 2014.05.07
  • Published : 2014.05.28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he competencies of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18 clients and 118 consultants.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s,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were conducted based on perception levels of clients and consultants to increase understanding of current situations and trends. Findings are expected to assist in planning. Regarding the perception of clients, Quadrant 2 (Concentrate Here) included consulting supervision expertise and content expertise, and Quadrant 4 (Possible Overkill) included skill expertise. Regarding the perception of consultants, Quadrant 1 (Keep Up the Good Work) included skill expertise; Quadrant 2 (Concentrate Here) included content expertise; and Quadrant 3 (Low Priority) included consulting supervision expertise. Results revealed that clients had no responses for Quadrant 1, but they offered 10 items associated with Quadrant 2, one item for Quadrant 3, and four items for Quadrant 4. Consultants responded with five items for Quadrant 1, three items for Quadrant 2, three items for Quadrant 3, and four items for Quadrant 4.

본 연구는 컨설팅장학 생활지도 영역 컨설턴트의 역량에 관심을 가지고 생활지도 영역 컨설턴트의 어떤 역량이 가장 중요한지, 그리고 어떤 역량을 우선적으로 강화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우선 순위를 찾는데 목적을 두었다. 조사대상은 17개 시도교육청 생활지도 영역 관련 의뢰인과 컨설턴트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의뢰인 총 318명, 컨설턴트 총 118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자료였으며, 이들의 자료로 IPA 분석을 실시하였다. IPA 분석을 통한 영역별 결과에서, 의뢰인의 경우 2사분면(우선 시정 노력)에 컨설팅장학 능력과 내용전문성이, 4사분면(과잉노력 지양)에는 방법전문성이 포함되었다. 컨설턴트의 경우 1사분면(지속 유지)에 방법전문성이, 2사분면(우선 시정 노력)에 내용전문성이, 그리고 3사분면(낮은 우선 순위)에는 컨설팅장학 능력이 포함되었다. 항목별로 살펴본 결과는 의뢰인의 경우 1사분면(지속 유지)에는 어떤 항목도 포함되지 않았다. 한편 2사분면(우선 시정 노력)에는 10개, 3사분면(낮은 우선 순위)에는 1개가 포함되었으며, 4사분면(과잉노력 지양)에는 4개 항목이 포함되었다. 컨설턴트의 경우 1사분면(지속 유지)에 5개 항목이 2사분면(우선 시정 노력)에는 3개, 3사분면(낮은 우선 순위)에는 3개, 4사분면(과잉노력 지양)에는 4개 항목이 포함되어 의뢰인의 인식과는 다른 형태를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영남, 생활지도와 상담, 교육과학사, 2012.
  2. 김성섭, 임재문, 이형룡, "중요도-실행도 분석을 통한 국제회의 평가 : ISR2001국제회의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관광연구, 제16권, 제2호, pp.257-275, 2001.
  3. 김정현, 박수정, "컨설팅 장학 담당 장학사의 컨설팅 장학에 대한 동의-실행도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4호, pp.189-210, 2011.
  4.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한국 남녀 중학생 집단에서 자기결정성이 학업성취도에 주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제20권, 제1호, pp.243-264, 2009.
  5. 김충기, 생활지도와 상담, 교육과학사, 1997.
  6. 나민주, 이지혜, 김용, 2012년 컨설팅장학 의뢰인 만족도 조사, 한국지방교육연구소, 2013.
  7. 박상완, "학교 컨설턴트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과제", 교육행정학연구, 제26권, 제2호, pp.343-362, 2008.
  8. 박수정, "학교컨설팅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pp.307-331, 2011.
  9. 박효정, 김민조, 김병찬, 홍창남, "학교컨설팅 체제 구축 연구( I ): 학교경영컨설턴트 양성 프로그램 시범 운영 및 생활지도컨설턴트 양성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2010.
  10. 박효정, 신철균, 박선환, 박호근, "학교컨설팅 체제 구축 연구(II): 학교경영컨설턴트 양성 프로그램 시범 운영 및 생활지도컨설턴트 양성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2011.
  11. 변귀자, 중학교에서의 컨설팅 장학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2. 오기열, "2012년 컨설팅장학의 이해와 방향", 컨설턴트 실무 연수 자료집, 한국지방교육연구소, 2012.
  13. 이가영, 컨설팅 장학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분석,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4. 이경숙, 초등학교 교내 자율장학 운영 실태 및 교사의 인식, 수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5. 이지혜, 김복미, 한준수, 2011년 컨설팅장학 의뢰인 만족도 조사, 한국지방교육연구소, 2011.
  16. 이지혜, 조붕환, 이인회,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컨설팅장학 활성화 방안,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2012.
  17. 정영수, 김성렬, 박영숙, 김민조, 김숙이, 이인회, 이지혜, 정재훈, 컨설팅장학 의뢰인 자기진단 매뉴얼, 한국지방교육연구소, 2013.
  18. 조미나, 양일선, "레스토랑 유형에 따른 레스토랑 서비스 인카운터 품질 평가 수준, 감정적 반응, 고객 만족 및 서비스 충성도 차이 분석",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제21권, 제5호, pp.524-535, 2006.
  19. 주도연, "학교현장의 컨설팅 장학에 대한 요구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4호, pp.293-513, 2011.
  20. 진동섭, 홍창남, 김도기, 학교경영컨설팅과 수업컨설팅, 파주: 교육과학사, 2008.
  21. 최승택, "컨설팅장학 인력 관리 및 운영 개선 방안: 서울특별시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 제2회 학교컨설팅 포럼 자료집, pp.1-18, 2012.
  22. J. Martilla and J. C. James,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Vol.41, No.1, pp.13-17, 1977. https://doi.org/10.2307/1250226
  23. Shertzer, Bruce, and C.Shelley, Fundamentals of Guidance, Boston: Houghton Mifflin Co, 19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