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일본 시청자의 한국 드라마 시청에 관한 연구 -한일 역사 인식에 따른 한국 드라마 시청 성과를 중심으로-

Analysis of Korean Drama Viewing in Japanese Viewers -Effects of Historical Recognition with Korea and Japan-

  • 김미선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연구소) ;
  • 유세경 (이화여자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 투고 : 2014.02.04
  • 심사 : 2014.02.24
  • 발행 : 2014.05.28

초록

본 연구는 한류 확산의 진원지이자 한국 드라마 수출의 주요국인 일본을 대상으로 일본 시청자들의 한국 드라마 시청과 한국에 대한 태도 형성 관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한국과 일본은 과거 지배-피지배라는 역사적 특수성을 가지고 있는바, 일본 시청자들의 한일 역사 인식에 따른 한국 드라마 시청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한국 드라마 주시청자층인 일본 여성 10~60대 250명을 대상으로 현지 서베이를 실시한 결과, 긍정적인 한일 역사 인식은 한국 드라마 시청의 높은 몰입행위를 나타냈고, 높은 몰입행위는 전체적인 한국 드라마 평가와 한국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일 역사 인식이 한국 드라마 수용의 주요 영향 요인임을 밝힌 연구결과는 발전적인 한국 드라마 유통을 위해 일본 시청자의 왜곡 없는 한일 역사 인식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상호 문화외교적 정책방안이 재고되어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influence of viewing Korean TV drama on the Japanese attitude toward Korea. Especially this study focuses how Japanese's recognition about Korea and Japanese history influence the evaluation of Korean TV drama. This study conducts survey on 250 Japanese female viewers. As result, it was founded that the historical recognition of Japanese have positive effects on viewing evaluation and Korea national image. The findings suggests that the historical recognition with Korea and Japan worked a important factor for Korean dram flow.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cultural-diplomatical policy to rectify the historial recogni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방송통신위원회, 2013년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2013.
  2. K. Iwabuchi, "한류가 재일 한국인과 만날 때-초국가적 미디어 교류와 로컬 다문화 정치의 교착", 프로그램/텍스트, 제11호, pp.87-120, 2004.
  3. 유세경, 김미선, 정지인,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한국 드라마 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 중국, 일본 수용자의 문화적 정체성에 따른 시청동기, 행위, 평가 분석을 중심으로, 방송문화진흥회 연구보고서, 2012.
  4. H. Schiller, Mass Communication and Cultural Dominance, White Plains, NY: International Arts and Science Press, 1976.
  5. 정윤경, 아시아 수용자 연구,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2003.
  6. A. Steberny, "The global and the local in international communication," Mass Media and Society, pp.93-119, 2000.
  7. J. Sinclair, Geolinguistic resion as global space: The case of Latin America, in G. Wang, J. Servases, and A. Goonasekera(eds.), The New Communications Landscape: Demystifying media Globalization(pp.19-32), London & New York: Routledge, 2000.
  8. J. Straubhaar, "Beyond media imperialism: Asymmetrical interdependence and cultural proximity," Critical Studies in Mass Communication, Vol.8, pp.39-59, 1991. https://doi.org/10.1080/15295039109366779
  9. M. Elasmar, The Impact of International Television: A Paradigm Shift,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2003.
  10. J. Chan and E. Ma, "Asian television: Global trend and local processes," Gazette, Vol.58, No.1, pp.45-60, 1996. https://doi.org/10.1177/001654929605800103
  11. 윤경원, 나미수, "일본 청소년들의 한국 대중문화 수용과 문화적 정체성", 한국방송학보, 제19권, 제1호, pp.7-46, 2005.
  12. 이수연, "텔레비전 드라마의 즐거움: 남성 시청자와 모래시계", 한국언론학보, 제34호, pp.136-169, 1995.
  13. M. Rogers and K. Bhowmik, "Homophily-heterophily: Relational concepts for communication research," Public Opinion Quarterly, Vol.34, pp.523-538, 1970. https://doi.org/10.1086/267838
  14. 박웅기, 송진경, "텔레비전 드라마 시청에서의 감정적 동일시에 관한 연구: 동질성, 시청동기, 시청만족도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3권, 제2호, pp.233-275, 2009.
  15. 김성필, 김종숙, 이민순, "한류 이미지가 한국교육상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대학생들의 몰입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2호, pp.460-474, 2013.
  16. A. Rubin, "Uses of daytime television soap operas by college students," J.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29, pp.241-258, 1985. https://doi.org/10.1080/08838158509386583
  17. D. Zillmann, Empathy: Affect from bearing witness to the emotions of others, Zillmann, Dolf(Ed), Responding to the Screen: Reception and Reaction Processes Communication(pp.135-167), England: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1991.
  18. C. Hall, National Images: A Conceptual Assessment, Paper presented to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Boston, 1996.
  19. 유승관, "한.일 양국 수용자의 드라마 시청과 국가이미지 형성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방송통신연구, 여름호, pp.193-220, 2009.
  20. 유재웅, "한국 TV 드라마 시청이 제작국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중국과 일본 시청자를 대상으로", 한국홍보학연구, 제11권, 제2호, pp.126-158, 2007.
  21. B. Goodall and G. Ashworth, Marketing in the tourism industry: The promotion of destination regions, London: Routledge, 1990.
  22. 김훈순, 한은경, 이동후 공편, "텔레비전 드라마의 여성들", 미디어 性과 像, pp.217-339, 나남, 2003.
  23. S. Alexis and K. Suarchavarat, "American TV and Social Stereotypes Of Americans in Thailand," Journalism Quarterly, Vol.65, No.4, pp.648-654, 1988. https://doi.org/10.1177/107769908806500313
  24. P. Suzanne and H. Robert, "U.S. Programs on Australian Television: The Cultivation Effect," J. of Communication, Vol.31, No.1, pp.97-105, 1981.
  25. I. Martin and J. Crella, Commercial Television as an Educational and Political Institution: A Case Study of Its Impact on the Students of Telesecundaria, in R. Atwood and E.G. McAnany(eds.), Communication and Latin America Society: Trends in Critical Research. 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86.
  26. 김주연, 안경모, "중국에서의 한류콘텐츠 선호가 한국상품 구매, 한국방문 및 한글학습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pp.447-458,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5.447
  27. M. Shapiro, and A. Lang, "Making Television Reality: Unconscious processes in the construction of social reality," Communication Research, Vol.18, pp.685-705, 1991. https://doi.org/10.1177/009365091018005007
  28. 히라타 유키에, 한국을 소비하는 일본: 한류, 여성, 드라마, 책세상, 2005.
  29. 심두보, "국제 커뮤니케이션 현상으로서의 한류와 하이브리디티", 프로그램/텍스트, 제11호, pp.65-85,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