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지습지 치환성 양이온 함량비의 특성과 함의

Implication of the Ratio of Exchangeable Cations in Mountain Wetlands

  • 신영호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BK21+ 4-Zero지향 국토공간창조사업단) ;
  • 김성환 (신라대학교 지리학과) ;
  • 류호상 (전북대학교 지리교육과)
  • Shin, Young Ho (BK21+ 4-Zero Land Space Creation Group,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Sung Hwan (Department of Geography, Silla University) ;
  • Rhew, Hosahang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4.03.21
  • 심사 : 2014.04.15
  • 발행 : 2014.04.30

초록

국내에서 보호되고 있는 심적습지, 장도습지, 그리고 화엄늪을 대상으로 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여 이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치환성 양이온 자료를 중심으로 연구 대상 습지들의 지화학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이들 습지는 공통적으로 저층습원의 유형에 포함되었지만 치환성 양이온의 분포양상은 상이했다. 치환성 양이온의 함량비를 변수로 이단계군집분석을 한 결과 3개의 군집으로 퇴적물 유형이 구분되었다. 지질, 토양, 식생 등의 환경요인의 차이로 인해 심적습지는 Ca집중퇴적물이, 장도습지는 Ca집중퇴적물과 Mg집중퇴적물이, 화엄늪은 K집중퇴적물이 각각 주요한 유형으로 나타났다. 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은 기후변화나 인위적 환경변화로 촉발되어지는 외부 환경요인으로 인해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산지습지의 환경변화 지시자가 될 수 있으며, 관리적 측면에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치환성 양이온의 함량비를 이용한 분류는 산지습지를 분류하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습지지형 또는 습지생태계의 변화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적절한 산지습지의 보전을 위해서는 퇴적물의 지화학적인 특성에 대한 분석 및 유형화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We suggested several implications by examining geochemical properties of sediments in Simjeok, Jangdo, and Hwaeomneup mountain wetlands which are natural preservation areas. Geochemical properties of wetland sediments show that all wetlands were included in the type of fens, but their distribution patterns we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We classified three sub-groups of sediments using the two step cluster analysis on the ratio of exchangeable cations. Wetland sediments can be grouped into Ca-dominated, Mg-dominated, and K-dominated types. Simjeok wetland have Ca-dominated sediments, while the sediments of Jangdo wetland indicate the Mg-dominated and Ca-dominated characteristics. Hwaeomneup wetland is composed of K-dominated sediment mainly. Different properties in the ratio are affected by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geological, pedological, and vegetational settings. Because these geochemical properties will be affected by climate change and human impacts, these will be environmental indicator in mountain wetlands and be used in wetland management. This scheme can be used for classification of mountain wetlands. Therefore, we should work on geochemical properties of wetland sediments and classification schemes based on geochemical properties not only to widen understanding in geomorphic system or ecosystem of mountain wetlands but to conserve mountain wetlands properl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