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보유시설, 상권 및 입지요인이 영화관 매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Determinants of Multiplex Movie Theater's Box Office Performance :Focused on Facilities, Trade Area and Location Factors

  • 투고 : 2014.01.27
  • 심사 : 2014.03.07
  • 발행 : 2014.04.28

초록

우리나라의 영화산업은 지난 10여 년 간 비약적으로 성장해 왔으며, 이에 따라 영화의 흥행이나 영화관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학계의 관심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지금까지 영화의 흥행이나 영화관 매출에 대한 연구들은 대부분 영화의 제작이나 배급 또는 상영단계의 영화컨텐츠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 영화산업은 미국과는 다르게 대기업에 의한 제작, 배급, 상영단계가 수직계열화 되어 있고, 이들이 운영하는 멀티플렉스가 전체 극장의 80%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영화 컨텐츠 요소가 영화관 매출에 끼치는 영향보다는 오히려, 영화관 자체의 시설이나, 영화관 주변의 상권 입지요인이 영화관 매출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기존의 상권이나 입지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덜 다루어졌던 자원 기반이론과 산업조직론의 S-C-PParadigm을 바탕으로, 영화관 자체의 내부환경 즉, 영화관 특성 요인과 영화관의 외부환경인 상권 입지요인(입지특성, 접근특성, 인구통계특성)이 영화관 매출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상영관 평균 수용인원은 대도시 뿐만 아니라 중소도시의 영화상영관에도 매출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대도시(인구 100만명 이상)에 위치한 영화상영관은 상대적으로 영화관 특성요인(진동좌석, 특수음향시설, 프리미엄영화관, VIP라운지의 유무)들이, 중소도시에 위치한 영화관은 입지특성(쇼핑몰 입점여부, 경쟁업체)이나 접근특성(지하철역, 버스노선)이 더 영화관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에 대해 기술하였다.

Korea's film industry has been growing over the last 10 years, and there has been much attention to the antecedents of film box office sales both academic and business communities. So far, previous research which explained success factors of film or movie mainly focused on 3 stages, production, distribution and screening. However, these 3 steps are heavily vertically integrated in Korea's firm industry unlike United States. Almost 130% of movie theaters are multiplex chain and operated by film production companies such as CJ and Lotte Entertainment In this situation, film sales are likely to he affected by movie theaters own facilities or location factors rather than movie contents. Based. on resource-based view and S-C-P paradigm, the authors examined "whether movie theater's facilities factors and trade area factors such as accessibility, competitive situation, and population have effect to movie theater's sales revenu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occupancy of theater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movie theaters sales in both large and small cities. In large cities, movie theater's facilities factors which included vibration seat special sound system, premium movie theater, VIP lounge are relatively important than trade area factors. In contrast, in small cities, location factors and accessibility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movie theaters sales. We discuss the manageri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 for the results and the specific limitations are suggested at the end of the paper.

키워드

참고문헌

  1. 영화진흥위원회, 2012년 한국영화산업 결산, 영화진흥위원회, 2013.
  2. 윤충한, 김홍대, "영화 배급 상영의 수직계열화가 상영영화 선택 및 상영횟수에 미치는 영향", 문화경제연구, 제15권, 제2호, pp. 127-149, 2012.
  3. 유현석, "한국영화의 흥행 요인에 관한 연구:제작관련 변수들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46권, 제3호, pp. 183-213, 2002.
  4. 김학용, "네트워크 기반 2000년대 한국영화의 관객 동원력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호, pp. 429-437,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429
  5. W. E. Bakerand R. R. Faulkner, "Roleas Resource in the Hollywood Film Industry,"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 97, No. 2, pp. 279-309, 1991. https://doi.org/10.1086/229780
  6. T. Hennig-Thurau, M. B. Houston, and G. Walsh, "Determinants of Motion Picture Box Office and Profitability:An Interrelationship Approach," Review of Managerial Science, Vol. 1, No. 1, pp. 65-92, 2007. https://doi.org/10.1007/s11846-007-0003-9
  7. J. Prag and J. Casavant, "An Empirical Study of the Determinants of Revenues and Marketing Expenditures in the Motion Picture Industry,"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Vol. 18, No. 3, pp. 217-235, 1994. https://doi.org/10.1007/BF01080227
  8. S. Sochay, "Predicting the Performance of Motion Pictures," Journal of Economics, Vol. 7, No. 4, pp. 1-20, 1994.
  9. 안성아, 김태준, "영화 개봉 점유율과 관객감소율의 영향요인 분석", 마케팅연구, 제18권, 제3호, pp. 1-17, 2003.
  10. K. Jedidi, R. Krider, and C. Weinberg, "Clustering at the Movies," Marketing Letter, Vol. 9, No. 4, pp. 393-405, 1998. https://doi.org/10.1023/A:1008097702571
  11. 박형현, 박찬수, "영화평론과 흥행성과간의 관계:인터넷 시대에도 유효한가?", 마케팅연구, 제16권, 제4호, pp. 71-85, 2001.
  12. 김소영, 임승희, 정예슬, "영화 유형별 흥행 성과예측 요인의 비교 연구:예술 영화와 상업 영화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2호, pp. 381-393, 2010.
  13. 이동기, 김상훈, 박영은, 박현정, "한국영화의 수익성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경영학연구, 제39권, 제2호, pp. 459-488, 2010.
  14. 한민희, 강현모, 김대승, "한국 시장에서 상영한 한국영화와 외국영화의 3단계 성과와 군집행동현상의 분석", 한국마케팅저널, 제11권, 제4호, pp. 21-48, 2010.
  15. J. B. Barney, "Firm Resources and Sustained Competitive Advantage," Journal of Management, Vol. 17, No. 1, pp. 99-120, 1991.
  16. E. Penrose, The Theory of Growth of the Firm, New York:Oxford University Press, 1959.
  17. R. Amit and P. J. H. Schoemarker, "Strategic Assets and Organizational Rent,"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 14, No. 1, pp. 33-46, 1993.
  18. J. T. Mahoney and J. R. Pandian, "The Resource-Based View With in the Conversation of Strategic Management,"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 13, No. 5, pp. 363-380, 1992. https://doi.org/10.1002/smj.4250130505
  19. G. S. Day, "The Capabilities of Market-Driven Organizations," Journal of Marketing, Vol. 58, No. 4, pp. 37-52, 1994. https://doi.org/10.2307/1251915
  20. S. D. Hunt and R. M. Morgan, "The Comparative Advantage Theory of Competition," Journal of Marketing, Vol. 59, No. 2, pp. 1-15, 1995.
  21. R. M. Grant, "The Resource-based Theory of Competitive Advantage,"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Vol. 33, No. 1, pp. 114-135, 1991. https://doi.org/10.2307/41166664
  22. R. M. Grant, "Toward a Knowledge-based Theory of the Firm,"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 17, winter special issue, pp. 109-122, 1996. https://doi.org/10.1002/(SICI)1097-0266(199602)17:2<109::AID-SMJ796>3.0.CO;2-P
  23. D. J. Teece, G. Pisano, and A. Shuen, "Dynamic Capabilities and Strategic Management,"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 18, No. 7, pp. 509-533, 1997. https://doi.org/10.1002/(SICI)1097-0266(199708)18:7<509::AID-SMJ882>3.0.CO;2-Z
  24. P. Davis, "Spatial Competition in Retail Markets:MovieTheaters," RAND Journal of Economics, Vol. 37, No. 4, pp. 964-982, 2006. https://doi.org/10.1111/j.1756-2171.2006.tb00066.x
  25. 임채운, 이호택, "제조업체 Private Labels 도입의 선행요인:전략적 시장관리 관점을 중심으로", 유통연구, 제17권, 제1호, pp. 65-86, 2012.
  26. M. A. McDermott,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Core Competence and Firm Performance, PhD. Thesis, State Univ. of New York, Albany, 2003.
  27. T. Y. Eng, "Does Customer Portfolio Analysis Relate to Customer Performance? An Empirical Analysis of Alternative Strategic Perspective," Journal of Business & Industrial Marketing, Vol. 19, No. 1, pp. 49-67, 2004. https://doi.org/10.1108/08858620410516736
  28. 임영균, 안광호, 김상용, 고객지향적 유통관리, 학현사, 제1판, 2006.
  29. 이상엽, 김재환, "백화점 출점을 위한 매출액 예측에 관한 연구", 부동산연구, 제20권, 제1호, pp. 139-162, 2010.
  30. 최인호, 김영록, "대형상업시설의 입지별 선택특성에 관한 소비자 행태분석 - 서울시 백화점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제41권, 제3호, pp. 95-108, 2006.
  31. 최열, 석혜주, "대형할인점 입지적 특성 및 선호요인 분석 - 부산시 대형할인점을 중심으로",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제39권, 제5호, pp. 123-134, 2004.
  32. 권용걸, 강양석, "대형할인점 입지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제37권, 제1호, pp. 207-218, 2002.
  33. 이상규, "대형할인점의 매출액 결정에 있어 입지요인의 영향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제40권, 제1호, pp. 35-52, 2004.
  34. T. Zhou, "Show Me the Location:A GIS Approachon Discount Store Location Study," ESRI(Environmental Systems Research Institute, Inc.) Proceedings 98, pp. 1-22, 1999.
  35. 이임동, 이찬호, 강상목, "편의점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부동산학연구, 제16집, 제4호, pp. 53-77, 2010.
  36. 신우진, 문소연,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의 입지특성이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분석", 부동산학연구, 제17집, 제2호, pp. 111-123, 2011.
  37. 박재욱, 백화점 매출액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요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38. 김현정, 박영은, 정혜은, 박지영, 한국 영화관객의 관람구매 결정요인과 마케팅 방안 연구, 영화진흥위원회, 2005.
  39. 이군희, 사회과학 연구방법론, 법문사, 2004.
  40. 장경, 고현민, "멀티플렉스에서의 물리적 서비스 환경과 고객의 만족에 관한 연구",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제27권, 제2호, pp. 29-36, 2004.
  41. http://www.thebell.co.kr/front/free/contents/news/article_view.asp?key=201312300100047250002891
  42. 민영은, 멀티플렉스 영화관이 백화점에 미치는 엔터테인먼트 마케팅효과에 관한 연구:백화점쇼핑만족도, 선호도, 재방문의사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43. 태경섭, 임병준, "상권경쟁을 고려한 신규점포의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서울시 대형마트를 대상으로", 대한지리학회지, 제45권, 제5호, pp. 609-627,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