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gional Revitalization Policies of the Ruhr, Germany: Path Dependence or Path Creation?

독일 루르지역의 지역재생정책: 추진과정과 성과에 대한 경로이론적 접근

  • Shin, Dong-Ho (Department of Urban and Real Estate Studies, Hannam University)
  • 신동호 (한남대학교 도시부동산학과)
  • Received : 2014.02.03
  • Accepted : 2014.02.24
  • Published : 2014.03.30

Abstract

During the 1970s and 1980s, most of the industrial cities of the Western World went through serious de-industrialization process. While the economy of the cities declined, the cities were suffering from the lack of job opportunities, under-use of industrial infrastructure, and environmental degradation. Many of the cities attempted to tackle such problems, but very few of them have succeeded. However, the Ruhr area is showing some promising signs.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regional revitalization policies of Dortmund, a central city of the Ruhr, and looks into the processes and outcomes of the policies. The author argues Dortmund has successfully created and set forth a new industrial path based on high-tech industries, such as information technology,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MEMS), logistics, and biomedical industries, away from its traditional industries, such as coal mining and steel making. Speaking from the perspective of path theory, he continues to argue that Dortmund has successfully 'locked-out' from the traditional industries, in contrast to the Grabher's argument.

독일 루르지역은 1850년대부터 현지에서 채굴되는 석탄과 주변지역에서 생산되는 철광석을 기반으로 제철공업이 크게 발전하였다. 그러나 1950년대부터 루르지역의 제철공업이 경쟁력을 잃게 되었고, 석탄광업과 제철공업이 사양화되면서 조업중단과 공장폐쇄가 이어졌다. 루르지역의 탈공업화현상은 1970년대 및 1980년대에 최고조에 달했고, 1990년대 이후에는 공장폐쇄로 도시경제가 피폐해지고 사회간접자본의 노후화와 방치된 공장지구 등으로 도시경관과 환경오염이 심각하였다. 루르지역의 대표적인 도시 중 하나인 도르트문트시는 2000년부터 도르트문트 프로젝트라고 하는 도시재생사업으로 도시경제를 재건하고, 도시경관을 개선하여 도시경제구조를 쇄신하는 성공적인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이 논문은 경로이론(Path Theory)에 입각하여 도르트문트의 도시재생사업을 조사, 연구하여 이론적,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