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act of Industrial Diversity to Unemployment and Employment Instability: An Analysis of Regional Economy Using Panel Regression Model

산업구조의 다양성이 실업과 고용불안정에 미치는 영향: 패널회귀모형을 이용한 지역경제 분석

  • Received : 2014.02.05
  • Accepted : 20140229
  • Published : 2014.03.30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s how industrial diversity affects unemployment and employment instabili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gional economy. Through this analysis, we examine how the industry-specific policy to promote some industry strategically in most of areas affects the stability of the regional economy. We measure Herfindahl indexes using the 1993-2010 data of 16 regions in Korea, and use panel regression model for empirical analysis. The main results from this empirical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confirm that the industrial structure of most regions has been changed to the direction of specialization in 1990s and to the direction of diversification in 2000s through analyzing the changes in the values of Herfindahl indexes during the given period. Second, we find from the estimation results of panel regression model that the higher industrial diversity in most of regions is, the lower the unemployment rate is. Howeve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industrial diversity and employment instability only partially confirmed. Third, there exist high unemployment rate and employment instability in most metropolitan areas, but it is hard to say that this relationship is highly statistically significant. From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it is likely that the industry-specific policies such as the regional strategic industry development policies unlike policy goals make the unemployment rate to rise and economic instability to increase. From the viewpoint of employment aspects, the strategies to increase industrial diversity would be desirable rather than those to specialize in the industrial structure.

본 연구는 산업구조의 다양성이 실업과 고용안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지역경제 수준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대부분의 지역에서 일부 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려는 산업특화정책이 해당 지역경제의 안정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1993년부터 2010년까지의 우리나라의 16개 시도의 자료를 이용하여 허핀달지수를 측정하고 패널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주요 실증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허핀달지수를 계산하여 산업구조 다양성 정도와 변화를 측정해 본 결과 대부분의 지역에서 1990년대에는 산업구조가 특화되다가 2000년대에는 다양화되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패턴이 발견되었다. 둘째, 패널회귀모형의 추정 결과, 대부분 지역에서 산업구조의 다양성을 높일수록 실업률이 낮아지는 현상을 보였다. 그렇지만 산업구조 다양성과 고용불안정도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부분적으로만 확인되었다. 셋째, 대도시일수록 실업률이 높고 고용이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러한 관계가 매우 유의하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취업자수증가율이 높은 지역일수록 고용불안정지수는 낮고, 경제활동인구 중 여성비율이 높은 지역일수록 고용불안정지수는 낮으며, 취업자 중 대학 졸업자 비율이 높은 지역일수록 실업률이 높지만 고용불안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실증분석을 고려해보면, 지역전략 산업육성정책과 같은 산업특화정책은 정책의도와는 달리 지역경제 전반의 실업률을 상승시켜서 경제 불안정성을 증대시킬 가능성이 있다. 고용 측면의 관점에서 본다면 산업구조를 특화시키는 것보다 다양성을 높이는 전략이 바람직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