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gional Labor Migration in Experienced Employees' Sector: based on the yearly statistics of employment insurance 2008-2011

경력직 노동력의 지역 간 이동에 관한 연구: 2008-2011년 고용보험통계를 중심으로

  • Lee, Chung Sup (Institute of Rice, Life and Civiliz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이정섭 (전북대학교 쌀.삶.문명연구원)
  • Received : 2014.01.08
  • Accepted : 2014.02.20
  • Published : 2014.03.30

Abstract

This study is the analysis on the labor migration between 16 provinces in experienced employees' sector by using the employment insurance statistics of 2008 to 2011. In wage workers of Korea, all of regular and some of temporary employees subscribe to the employment insurance and among these, about 40-50% career workers have moved their jobs every year. Targeting these, first I perform cluster analysis to explore the spatial boundaries of intra and inter-regional labor migration, and second measure the regional linkages extracting the inter-regional migrants. As results, the clusters of labor migration are similar to 5+2 Mega-regional Economic Zones. However, in the regional linkages between clusters, Seoul-metropolitan area has a great influence to other regions in inflow and outflow.

이 연구는 2008년부터 2011년까지의 고용보험통계를 이용하여 경력직 노동력 이동에 대해 16개 시도를 공간단위로 분석한 것이다. 우리나라 임금근로자 중 전체 상용직과 일부 임시 및 일용직 근로자가 고용보험 가입자이고, 이들 중 매년 약 40-50%의 경력직 근로자가 직장을 옮기고 있다. 이러한 고용보험 가입 경력직 노동력의 이동에 대해 첫째 전체 이동 근로자 대상으로 군집분석을 진행하여 그 권역을 탐색하고, 둘째 타 시도로 이동하는 근로자를 추출하고 유출비와 유입비를 이용해 지역 간 이동의 연계와 상호작용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이동권역은 지난 정부가 설정했던 5+2 광역경제권과 유사한 군집을 이루었지만, 지역 간 이동에 있어서는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이 나머지 시도에 탁월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