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Analysis of Importance Weights of Riverfront Assessment Items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 Focused on the Gyeong-An Stream in Gyeonggi Province -

AHP 기법을 이용한 하천 친수공간 평가항목 중요도 분석 연구 - 경기도 경안천을 중심으로 -

  • 이형숙 (가천대학교 건축대학 조경학과)
  • Received : 2014.02.07
  • Accepted : 2014.02.21
  • Published : 2014.03.30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assessment items to evaluate riverfront for amenity and recreation and to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items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Total 15 items of 5 categories were identifi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panel discussion. Based on the AHP analysis results, a weighted value was set for each of the layers in the hierachy. 'Ecological Characteristics' (0.333) was rated with the highest weighted value. followed by 'Landscape Characteristics'(0.190) and 'Physical Characteristics'(0.166). Among the assessment items, 'Water Quality' (0.152) and 'River Naturality'(0.118) had higher weighted values. With the set of assessment items field assessments were carried out for Gyung-An Stream of Gyeonggi-Do to exam its applicability. Total 6 segments and 31 reaches out of the 22.5 km long river were evaluated and the mean scores of the five categories were converted into a percentile score for comparison. Overall, the segments which had higher scores were located close to neighborhood areas and had better connections with other historical and cultural amenities. Also, existing facilities was an important factor and needs to be considered for waterfront development.

Keywords

References

  1. 광주시 통계정보시스템 : https://stat.gjcity.go.kr/statdb/statdb02.asp
  2. 국토교통부, 2011, 경안천 하천기본계획(변경)보고서.
  3. 김병찬, 김만식, 맹봉재, 2011, 다기준의사결정을 이용한 친수공간 이용지수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2011 학술대회논문집, 195.
  4. 김성만, 2012, 다기준의사결정법(CP)을 이용한 도심 친수공간 적지선정 방법개발,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변금옥, 한광두, 성연주, 오승현, 강정웅, 최순호, 2011, 하천 어메너티 유형복원 계획가이드, ECORIVER21.
  6. 박봉진, 윤연중, 오윤근, 신종이, 2005, 하천공간정비계획을 위한 하천구역구분과 기능공간배치 평가 방법의 제안, 한국수자원학회, 38(2): 78-88.
  7. 박성룡, 2011, 광주 도심내 친수공간 적지 선정 방법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 박창석, 배민기, 오충현, 이장호, 김명철, 2009, 하천과의 거리 및 수변구역 지정에 따른 경관특성 비교, 한국조경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71-75.
  9. 성연주, 변금옥, 김병찬, 2010, 도시하천의 이용지수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춘계 종합학술대회, 641-643.
  10. 변금옥, 성연주, 2010, 하천복원모델 개발에 대하여: 어메니티를 중심으로, 한국수자원학회, 43(11): 106-112.
  11. 송주일, 이준호, 윤세의, 2008, 도시하천의 복원과 관리를 위한 하천평가기법 개발, 대한토목학회, 28(3): 283-296.
  12. 송주일, 윤세의, 2008, 하천공간관리를 위한 하천구역 구분 기법 연구, 국토연구, 59: 61-78.
  13. 송주일, 윤세의, 2012, 하천구역구분의 기준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32(2): 131-137.
  14. 오승현, 2009, 하천 어메니티 향상을 위한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5. 양진우, 2009, 부산지역 해안 친수공간의 이용만족도 특성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학회, 17(1): 5-24.
  16. 전승훈, 김우람, 박상길, 2013, 한국형 하천환경 평가체계 정립을 위한 유형화 및 적용성 검토, 한국조경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106-108.
  17. 정정채, 이상석, 1998, 중소도시 하천의 친환경적 활용 잠재력 평가에 관한 연구: 전남 순천시 하천을 사례로, 한국조경학회지, 69: 96-112.
  18. 조현주, 나정화, 이현택, 구지나, 2009, 친수 휴양활동공간 계획을 위한 광역수준의 부지 적합성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37(2): 1-13.
  19. 최형선, 서은영, 이철수, 원제무, 2012, 노인요양시설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8(4): 131-147.
  20. 환경부, 2009, 수생태계 건강성 및 조사평가.
  21. 환경부, 2010, 하천자연도 평가기법 개발 및 적용방안 연구.
  22. 환경부 물환경정보시스템,: http://water.nier.go.kr/front/waterQuality/waterQualityInfo.jsp
  23. Frissell, C. A., Liss, W. J., Warren, C. E., and Hurley, M. D., 1986, A hierarchical framework for stream habitat classification: viewing streams in a watershed context, Environmental Management, 10(2): 199-214. https://doi.org/10.1007/BF01867358
  24. Fry, J., Steiner, F. R., and Green, D. M., 1994, Riparian evaluation and site assessment in arizona. Landscape Urban Planning, 28(2-3): 179-199. https://doi.org/10.1016/0169-2046(94)90007-8
  25. USDA, 1998, Stream Visual Assessment Protocal, National water and climate center technical note. 99(1): 3.

Cited by

  1. Development of Guideline to Select the Artistic and Safe Small Stream vol.16, pp.4, 2016, https://doi.org/10.9798/KOSHAM.2016.16.4.259
  2. Priority Ranking and Design for Development of Coast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Functions Using AHP Method vol.16, pp.2, 2016, https://doi.org/10.9798/KOSHAM.2016.16.2.149
  3. Measuring the Economic Value of Restoring Hampyeong Stream Space vol.29, pp.2, 2015, https://doi.org/10.13047/kjee.2015.29.2.292
  4. 하천 친수공간 평가·관리체계 개선을 위한 국내 법제도 분석 vol.24, pp.3, 2014, https://doi.org/10.7851/ksrp.2018.24.3.097
  5. 하천 친수환경 평가체계 구축 및 적용에 관한 연구 vol.24, pp.4, 2014, https://doi.org/10.7851/ksrp.2018.24.4.081
  6. AHP 기법을 활용한 훼손지 평가항목의 중요도 분석 vol.23, pp.6, 2014, https://doi.org/10.13087/kosert.2020.23.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