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시간 단축의 고용효과 분석: 기업규모별 추정을 중심으로

Analysis on Employment Effects of Working Hours Reduction with the Emphasis of Industry Size

  • 투고 : 2013.12.09
  • 심사 : 2014.03.02
  • 발행 : 2014.03.31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법정 근로시간 단축이 실 근로시간에 미친 영향과 실 근로시간 단축이 고용에 미친 영향을 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2004년부터 규모별로 순차적으로 적용된 점을 이용하여 추정한 결과 주당 1시간의 법정 근로시간 단축이 주당 실 근로시간을 약 0.44~1.05시간 단축시킨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실 근로시간 단축의 고용효과는 규모별로 상이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상이한 결과는 소규모의 경우 외국인 근로자가 반영되지 않은 자료의 한계에 기인한 것을 포함하여 다양한 이유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져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사업체 규모별로 다르게 추정된 결과는 실 근로시간 단축의 고용효과가 일률적이지 않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할 수 있다.

We use a set of Korea panel data to estimate effects of legal working hours reduction on actual hours worked and employment effects, through panel econometrics methods. Taking account of sequential decrease in legal hours worked since 2004, we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gal and actual working hours by size of industries. It is found that one hour reduction of legal hours per week caused 0.44 to 1.05 actual hours worked on average per week, depending on different industrial sizes. Also, estimated employment effects were not unanimously determined, rather they turn out to be clearly size-dependent, which provide different results from exiting literature. Our analysis proposed in this work can be restrictive as, for instance, there is significant lack of data for foreign workers, particularly in the small-sized industries. Subsequent empirical analysis is expect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