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Intergenerational Support Exchange with their Adult Children on the Happiness of the Middle-aged Parents

성인자녀와의 지원교환이 중년부모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 Hong, Sung-Hee (Dept. of Consumer Information Studies, Keimyung University) ;
  • Kwak, In-Suk (Dept. of Senior Welfare, Woosuk University)
  • 홍성희 (계명대학교 소비자정보학과) ;
  • 곽인숙 (우석대학교 실버복지학과)
  • Received : 2014.01.01
  • Accepted : 2014.01.28
  • Published : 2014.02.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atterns of middle-aged parents' intergenerational support exchange with their adult children and its effects on the happiness of the parents. The sample consisted of 765 middle-aged parents selected from the National Survey of Korean Families by the Ministry of Equality and Family in 201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tergenerational support exchange between parents and their adult children was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depending on the provider of support: parents who exchanged no support with their children, parents who only received support from their children, parents who only provided support to their children, and parents who exchanged support with their children. Second, parents who exchanged no support with their children were high in instrumental support and those who both provided and received support were high in emotional support. Third, consciousness of their children significantly affected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The more the parents emphasize on the growth of their children, the more they were satisfied. Parents in the support exchange group were more satisfied when they received economic support from their children. With regard to instrumental and emotional support, parents were more satisfied when they provided support to or mutually exchanged support with their children. Forth,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consciousness of their children, and household's income more significantly affected the happiness of middle-aged parents than the patterns of intergenerational support exchange. With regard to economic support, parents who only received support from their children were less happy than the other groups. With regard to instrumental support, parents who exchanged no support with their children were happier than the other groups. With regard to emotional support, parents who provided support to their children were happier than the other groups.

Keywords

References

  1. 고선강(2011). 중노년기 가정의 세대 간 자원이전 : 경제자원의 효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1), 157-175.
  2. 곽인숙(2011). 예비노인과 노인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9(1), 107-120.
  3. 곽인숙(2013). 노인과 예비노인의 가정건강성과 행복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51(1), 1-16.
  4. 권석만(2008). 긍정심리학. 서울 : 학지사.
  5. 권중돈.조주연(2000). 노년기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0(3), 61-76.
  6. 김명소.성은현.김혜원(1999). 한국 기혼여성들의 성격 특성과 주관적 삶의 질.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4(1), 41-55.
  7. 김명소.김혜원(2000). 우리나라 기혼여성들의 심리적 안녕감의 구조분석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5(1), 27-41.
  8. 김명소.김혜원.차경호.한영석.임지영(2003a). 한국 성인의 행복한 삶의 구성요인 탐색 및 척도개발.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8(2), 415-442.
  9. 김명소.김혜원.한영석.임지영(2003b). 한국인의 행복한 삶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 일반, 22(2), 1-33.
  10. 김명숙(2012). 한국인의 행복과 좋은 죽음에 대한 표상과 인식의 특징. 인문학연구, 86, 307-351.
  11. 김미혜.신경림.최혜경.강미선(2004).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후에 대한 경험. 한국노년학, 24(2), 79-95.
  12. 김상곤.김성중(2008). 지역주민의 행복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안산시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25, 325-351.
  13. 김수옥.박영주(2000).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 행위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노인간호학회지, 2(1), 59-70.
  14. 김순미.고선강(2012). 중년기 가정의 세대 간 경제적 자원이전과 노후생활준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59-76.
  15. 김승권.김유경.조애저.김혜련.임성은(2009). 2009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 보건.복지 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6. 김유정.안정신(2011). 중년기 성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대한 성인기 이전 생활사건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 한국노년학, 31(3), 445-461.
  17. 김정석.김익기(2000). 세대간 지원교환의 형태와 노인들의 생활만족도. 한국노년학, 20(2), 155-168.
  18. 김지경.송현주(2008). 결혼으로 분가한 자녀와 부모 간의 사적소득이전. 사회보장연구, 24(3), 77-89.
  19. 박경희(2005).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 의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배문조(2011). 중년기의 성공적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 및 노후생활준비의식이 노후생활 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6(1), 45-61.
  21. 백지은.최혜경(2005). 한국노인들이 기대하는 성공적인 노화의 개념, 유형 및 예측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3), 1-16.
  22. 삼성경제연구소(2011). 뉴시니어 세대의 3대키워드. SERI 경영노트. 삼성경제연구소.
  23. 서연숙(2010). 중년기 남녀의 건강행위와 건강수준 연구. 사회복지리뷰, 15, 35-51.
  24. 석재은.이기주(2010). 베이비붐 세대의 경제화동특성별 유형화와 다층 노후소득보장 전략. 한국사회보장학회 추계 정기학술대회 및 복지재정 DB학술대회 자료집, 25-74.
  25. 신희석(2002). 생의 의미가 중년 주부의 우울 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 여성, 7(1), 29-45.
  26. 안지선.전혜정(2012). 중년기 은퇴로의 전이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의 성차 : 가족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7(1), 65-85.
  27. 안현선.김효민.안진경.김양희(2009). 중년기여성의 노후준비도와 성공적 노후에 대한 인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 자원경영학회지, 13(3), 137-155.
  28. 양정선.고지영.이상림.이정화(2011). 경기도 베이비붐 세대의 가족생활 및 노 후준비.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29. 양정선.신용연(2013). 경기도민의 가족 및 생활환경 인식.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30. 어성연.고선강.조희금(2010). 전문직 미혼남녀의 만혼현상에 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2), 1-19.
  31. 옥선화.이기춘.이기영.이순형.공인숙(1991). 현대 산업 사회에 있어서 40대 중산층 주부가 지각한 가정생활의제 문제. 대한가정학회지, 29(2), 135-154.
  32. 유제민(2012). 성과 배우자 생존여부에 따른 한국 노인의 행복결정 요인 연구. 청소년학 연구, 19(3), 375-404.
  33. 유지영.김명자(1994). 중년기 부인의 사회적지원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3), 151-165.
  34. 이우경.방희정(2008). 성인기 여성의 스트레스, 마음 챙김, 자기-자기애, 심리적 안녕감 및 심리 증상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21(4), 127-146.
  35. 이윤정.고선강(2011). 어머니와 성인 자녀간 자원이전 : 경제적 자원과 돌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6), 137-151.
  36. 이인정(2009). 초고령 노인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1(1), 359-382.
  37. 임효연(2009). 일본 대도시 독거노인의 자녀와의 지원교환형태에 따른 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47(5), 59-66.
  38. 정경희.이소정.이윤경.김수봉.선우덕.오영희.김경래.박보미.유혜영.이은진(2010). 베이비부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9. 정경희.오영희.이윤경.박보미(2011). 베이비 부머의 삶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40. 정병은.이기홍(2010). 성공적 노화에 대한 세대별 인식 조사연구 : 사회관계를 중심으로. 조사연구, 11(2), 45-69.
  41. 통계청(2010). 사회조사를 통해 본 베이비붐 세대의 특징. 통계청.
  42. Andrew, F. M. & Withey, S. B.(1976). Social Indicators of Well-Being : America's Perception of Life Quality. New York: Plenum.
  43. Campbell, A(1976). Subjective measures of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2), 117-124.
  44. Campbell, A. Converse, P. E. & Rodgers, W. L(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New York : Russell Sage Foundation.
  45. Campbell, A.(1981). The sense of well-being in America : Recent patterns and trends. New York : MacGraw Hill.
  46. Clemente P. & Sauer, W. J.(1976). Life Satisfaction in the United States. Social Forces, 54, 621-631. https://doi.org/10.1093/sf/54.3.621
  47. Diener, E.(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 542-575. https://doi.org/10.1037/0033-2909.95.3.542
  48. Diener, E.(1994). Assessing subjective well-being: Progress and opportunities. Social Indicators Research, 31, 103-157. https://doi.org/10.1007/BF01207052
  49. Manicini, J. A. & Orthner, D. K.(1980). Situational influences on leisure satisfaction and moral in old age.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8, 466-471. https://doi.org/10.1111/j.1532-5415.1980.tb01121.x
  50. Newsom, J. T. & Schulz, R.(1996). Social support as a mediator n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Psychology and Aging, 11, 34-44. https://doi.org/10.1037/0882-7974.11.1.34
  51. Rowe, J. W. & Kahn, R. L.(1987). Successful aging. Gerontologist, 37, 433-441.